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직 자격취득자의 계속전문교육 개선방안 연구

Improving Measure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CPD) of Certified Professionals, with Focus on Medical Doctors, Professional Engineers, Lawyers, and Accountants
저자
조정윤 이동임 배을규 최돈민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2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09.30
등록일
2009.09.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계속전문교육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제2절  연구방법 5
   1. 국내 외 문헌연구 및 현황조사 5
   2. 전문가 협의회 개최 및 면담조사 6
 제3절  연구 범위 7
 제4절  용어의 정의 8
   1. 계속전문교육 8
   2. 전문직 11
 제5절  선행연구 분석 12
제2장  계속전문교육의 이론적 고찰 17
 제1절  계속전문교육의 현황 20
   1. 목적 20
   2. 개념 및 구성요소 23
 제2절  계속전문교육의 과제 30
   1. 교육과정 30
   2. 전달 체계 36
   3. 질 관리 41
   4. 파트너십 50
 제3절  계속전문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방향 58
제3장  국내 계속전문교육 현황과 문제점 65
 제1절  의사 65
 제2절  기술사 79
 제3절  변호사 87
 제4절  회계사 96
 제5절  문제점 종합 106
제4장  외국 계속전문교육 현황과 시사점 115
 제1절  독일의 계속전문교육 115
   1. 의사 115
   2. 변호사 132
   3. 회계사 143
   4. 시사점 156
 제2절  미국의 계속전문교육 161
   1. 의사 161
   2. 기술사 168
   3. 변호사 173
   4. 회계사 175
   5. 시사점 184
 제3절  일본의 계속전문교육 188
   1. 의사 188
   2. 기술사 191
   3. 변호사 200
   4. 회계사 206
   5. 시사점 211
 제4절  종합 시사점 216
제5장  개선방안 225
제6장  정책제언 245
SUMMARY 255
부록 261
참고문헌 301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 자격취득자에게 전문가로서 능력의 유지내지는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어 계속전문교육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왜냐하면 국내적으로는 전문직 자격취득자의 서비스 질 향상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함이며, 국외적으로는 FTA 등의 체결로 인하여 전문직 자격의 상호인정(MRA)을 통한 전문직 서비스 시장개발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나라 의사 자격의 경우 계속전문교육 이수시간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있으며, 기술사의 경우에는 계속전문교육제도를 폐지했다가 최근에 부활하는 등 동 제도에 대한 정책입안자나 전문직 자격취득자 당사자 모두 제대로 된 개념 정립이 부족하고 이를 시행하기 위한 제도 마련도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우리나라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 자격의 계속전문교육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추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계속전문교육의 이론적 고찰
   - 국내 및 외국 계속전문교육 현황과 시사점
   - 개선방안 및 정책 제언
  This research surveys and analyzes the current conditions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hereafter, CPD) of Korea’s highly represented professions, medical doctors, professional engineers, lawyers, and accountants, in order to execute in substantiating and activating plans. This research then looks at the CP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tified professionals by examining precedent studies in countries like Korea,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It specifically analyzed and collected materials on CPD of doctors, professional engineers, lawyers, and accountants from advanced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It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contents and problems of CPD th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tified professionals face with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through 'Current Situation Analyzing Framework for CPD of Certified Professionals'. A conference was organized in order to bring up many opinions on the current situation, problems, and prospects of CPD. To know the current situations of advanced countries, we sent 'Current Situation Analyzing Framework' to the representatives in charge of each country's qualification association, and telephone conferences were held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dures and detailed information on CPD if it was necessary. A final conference was held to gather all the information researched.
  This research presented detail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alyzing Framework for CPD of Certified Professionals' that have looked into its current conditions. First, Korea's highly recognized professions started CPD much later than the rest of the advanced countries, where the CPD for doctors and accountants in Korea started during 1980s, while professional engineers and lawyers started during the 1990s. Second, the amount of time needed to be certified varies from each certified professionals ranging from 8 hours to 40 hours, and this indicates how the efforts to have a logical and systematic approach in finding an appropriate length of education has been insufficient. Third, the way the contents of penal clauses are selected for CPD is insufficient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and relevance. Fourth, there are professions that have curriculum, while some do not, and so, it needs to execute need analysis to develop such curriculum, but it systematically has not been taken place. Fifth, an internal mechanism is being executed in order to control quality of education contents. Sixth, there are different methods used to deliver education and training such as formal education, informal education that includes seminars, presentations and participation of academic conferences, and non-formal education methods like internet, video, DVD, mail and fax, which are all being accepted as part of CPD. Seventh, along with the institutions that implement CPD for four professions, there are other institutions that have been executing education training. Eighth, in order to develop CPD, it has been making plans like increasing the number of advertisements and mobilizing e-learning plans to encourage participation.
...
<표 1-1> 전문교육/계속교육/계속전문교육 비교․9
<표 1-2> 기술사 CPD 인증범주 및 내용․12
<표 3-1> 국내 의사 계속전문교육․72
<표 3-2> 국내 기술사 계속전문교육․84
<표 3-3> 국내 변호사 계속전문교육․93
<표 3-4> 국내 회계사 계속전문교육․103
<표 3-5> 국내 전문직 자격의 주요 계속전문교육 현황 비교․111
<표 4-1> 독일 의사 계속전문교육․128
<표 4-2> 전문변호사 집중강의 소요비용 추산․140
<표 4-3> 독일 변호사 계속전문교육․141
<표 4-4> 독일 회계사 계속전문교육․153
<표 4-5> 독일 전문직 자격의 주요 계속전문교육 현황 비교․160
<표 4-6> 미국 의사 계속전문교육․165
<표 4-7> 미국 기술사 계속전문교육․171
<표 4-8> 미국 변호사 계속전문교육․175
<표 4-9> 미국 회계사 계속전문교육․181
<표 4-10> 미국 전문직 자격의 주요 계속전문교육 현황 비교․187
<표 4-11> 일본 의사 계속전문교육․190
<표 4-12> 일본 기술사 계속전문교육․197
<표 4-13> 일본 변호사 계속전문교육․203
<표 4-14> 일본 회계사 계속전문교육․209
<표 4-15> 일본 변호사, 회계사 계속전문교육 비교․214
<표 4-16> 일본 전문직 자격의 주요 계속전문교육 현황 비교․215
<표 4-17> 외국의 계속전문교육 실시 근거․217
<표 4-18> 외국의 계속전문교육 의무시간․218
<표 4-19> 외국의 모범사례․224
<표 5-1> 계속전문교육 용어 관련 전문자격법 개정(안)․227
<표 5-2> 자격별 계속전문교육 요구 학점․232
<표 5-3> UIA에서 권고하는 건축사 계속전문교육과정 수준등급․234
<표 6-1> 계속전문교육 발전을 위한 단기 및 중장기 발전계획(안)․251
[그림 1-1] 연구 접근틀․4
[그림 1-2] 연구절차․5
[그림 5-1] 전문직자격취득자 등록제도의 활용 사례․229
[그림 5-2] 계속전문교육인정위원회 역할과 기능 사례․236
[그림 5-3] 수요조사와 교육과정개발의 연관 관계․239
[그림 5-4] 계속전문교육과 자격의 갱신제도 연계․24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직 자격취득자의 계속전문교육 개선방안 연구 2009.01.01~2009.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