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Measures for Career Development of Drop-out Youths
- 저자
- 최동선 이상준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2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학교중단 청소년진로개발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1. 연구의 내용 4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청소년 학교중단의 실태 제1절 학교중단 청소년의 개념 및 현황 11 1. 학교중단 청소년의 개념 11 2. 학교중단 청소년의 규모 14 제2절 학교중단의 원인 및 과정 20 1. 학교중단의 원인 20 2. 학교중단의 과정 24 3. 학교중단 청소년의 학교중단 결정요인 분석 29 제3절 학교중단 청소년의 유형 43 1. 기존의 논의 43 2. 대안적인 유형의 탐색 47 제3장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국내 외 정책 및 관련 사례 제1절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정책의 흐름 51 1. 학교중단 청소년 관련 법령 51 2. 관련 정부 부처별 정책 동향 54 제2절 국내 관련 사례 64 1.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해밀’ 64 2. 한국청소년상담원의 두드림존 프로젝트 65 3. 청소년 뉴스타트 프로젝트 74 4. 지역사회 청소년통합지원체계(CYS-net) 79 5. 청소년쉼터 85 6. 대안학교 95 제4장 학교중단 청소년들의 실태 및 요구 제1절 학교중단에 이르기까지 125 1. 재미없고 귀찮은 학교생활 125 2. 학교중단과 가정환경 134 3. 준비 없는 학교중단과 학교중단 직후의 높은 만족도 136 제2절 학교중단 이후의 생활 137 1. 학교중단 청소년들의 다양한 아르바이트 경험 137 2. 학교중단? 학업중단? 144 3. 학교 졸업장에 대한 집착과 검정고시 151 제3절 학교중단 청소년의 진로계획 153 1. 막연한 미래와 진로 153 2. 진로포부에서의 ‘편식’ 현상 155 3. 진로계획의 구체성 및 실현가능성 결여 157 4. 뭘 잘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161 5. 제한적인 진로정보 162 6. 진로계획 실천에서의 주도성 상실 163 7. 진로탐색 및 진로개발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의 제한 165 제4절 학교중단 청소년의 진로개발 서비스 요구 167 1. 진로탐색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 167 2. 학업과 일자리가 병행된 기회 제공의 가능성 171 3. 진로개발을 위한 사회적인 안전망 활성화 필요 172 제5장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제1절 학교중단의 예방을 위한 정규학교 중심의 대응 방안 176 1. Wee 센터 및 Wee 클래스의 활성화 176 2. 청소년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 179 3.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아웃리치 프로그램 활성화 180 4. 학교중단의 예방을 위한 학교 문화의 개선 180 제2절 안정적인 삶의 영위 및 원활한 진로개발 전개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대응 방안 181 1. 학교중단 청소년 1:1 멘토링 서비스의 강화 181 2. 학교중단 청소년 지원기관에서의 진로상담 기능 강화 182 3. 진로탐색 및 진로개발 프로그램의 개발ㆍ보급: 학교중단 청소년의 진로개발 역량 강화 183 4. 학교중단 청소년의 안정적인 아르바이트 기회 제공을 위한 지원 체제 강화 186 5. 학교중단 청소년의 학업ㆍ일자리 병행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확대ㆍ보급 186 6.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교육ㆍ직업ㆍ진로 정보망 강화 187 7. 복교지원 프로그램의 강화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 188 SUMMARY 189 <부록> 학교중단 청소년 대상 심층인터뷰 조사항목(안) 197 참고문헌 205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학교를 중단한 청소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현행 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함으로써,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① 학교중단 청소년의 유형별 접근을 통하여 학교중단의 과정 및 학교중단 이후의 생활에 관한 현황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②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현행 지원체제의 실태를 분석하고, 현행 지원체제에서의 한계와 보완의 필요성을 도출하며, ③ 학교중단 청소년의 예방 및 학교중단 이후의 적극적인 지원을 위한 교육적, 사회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학교중단 청소년들이 학교중단 이후에 원활한 진로개발을 전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한국청소년패널(KYPS)의 원자료 분석을 통한 학교중단 청소년의 특성 분석, 학교중단 청소년 대상의 심층인터뷰, 전문가협의회 및 면담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진로개발과 관련하여 학교중단 청소년들의 진로계획은 막연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충분한 교육적·사회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중단 결정에서의 높은 주도성, 특히 학교생활에 대한 극도의 반감을 표출한 것에 비하여 학교중단 이후의 진로경로에서의 주도성은 상당히 줄어드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학교중단 청소년들의 진로개발 특성 및 요구를 토대로 학교중단 예방 및 안정적인 삶의 영위와 원활한 진로개발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주요내용 - 청소년 학교중단 실태 -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국내·외 정책 및 관련 실태 - 학교중단 청소년들의 실태 및 요구 -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various alternatives for drop-out youths based up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 to identify the drop-out processes and the drop-out youths' needs through the typological approach, (b)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systems for drop-out youths, and (c) to suggest several educational and social policy measures for career development of drop-out youths. For these objectives, this study used following methodologies: literature review, statistical analysis of the Korea Youth Panal Survey for identification of drop-out youths' characteristics, in-depth interview for drop-out youths', and discussion with some professionals and practitioners. ...
<표 1-1> 학교중단 청소년 대상 심층인터뷰 문항․7 <표 1-2> 학교중단 청소년 심층인터뷰 참여 현황․8 <표 1-3> 정책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협의회 추진 사항․10 <표 2-1> 성별 학교중단 청소년의 규모․17 <표 2-2> 학년별 학교중단 청소년의 규모․19 <표 2-3> 학교중단 고교생의 사유․21 <표 2-4> 이숙영․남상인․이재규(1997)의 학교중단의 과정․25 <표 2-5> 파생변수의 종류 및 구성 항목․32 <표 2-6> 학교중단 요인 분석을 위한 기초 통계량․35 <표 2-7> 표준 점수를 이용한 학교중단 결정 요인 분석․41 <표 2-8> 학생의 희망직업 취득 가능성․42 <표 2-9> 직업성공의 요인에 대한 인식․43 <표 2-10> 이숙영․남상인(1997)의 학교중단 청소년의 유형화․45 <표 2-11> 박창남 등(2001)의 학교중단 청소년의 유형화․46 <표 3-1> 학교중단 청소년 지원 관련 법령․52 <표 3-2>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년)에서의 학교중단 청소년 관련 정책 영역 및 과제․57 <표 3-3> 두드림존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68 <표 3-4> 두드림존 프로그램 운영자의 자격요건․69 <표 3-5> 두드림존 프로젝트 사업 실적 총괄표(2007~2008년)․71 <표 3-6> 뉴스타트 대상별 판단 기준․75 <표 3-7> CYS-Net 운영지역 및 서비스 이용 인원․82 <표 3-8> 1388 청소년지원단의 역할 및 참여 기관․83 <표 3-9> Help Call 청소년전화 1388 주요 실적․84 <표 3-10> 청소년 쉼터의 유형․87 <표 3-11> 중장기 청소년 쉼터의 주요 서비스 내용․93 <표 3-12> 청소년 쉼터 현황․94 <표 3-13> 특성화학교 교과내용․98 <표 3-14> 특성화학교의 교육과정․99 <표 3-15> 특성화 대안학교의 현황(2008. 3월 기준)․100 <표 3-16> 전국 위탁형 대안학교 기본 현황(2006년 기준)․106 <표 3-17> 전원형 대안학교의 교육과정․111 <표 3-18> 전원형 대안학교 현황․112 <표 3-19> 전국 도시형 대안학교 현황․119 <표 3-20> 통합형 대안학교 현황․123 <표 5-1>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지원 방안 및 지원 주체․175 [그림 1-1] 연구의 내용 및 절차․10 [그림 2-1] 학교중단 중․고교생 규모 및 학교중단율․15 [그림 2-2] 학교중단 중․고교생의 구성 비율․16 [그림 2-3] 학교중단 시기별 비율․19 [그림 2-4] 김혜영(2002)의 학교중단 과정․26 [그림 2-5] 학교중단의 원인 및 학교중단 이후의 경로 개요도․28 [그림 2-6] 학교중단 요인별 커넬 밀도 함수 분포도․38 [그림 2-7] 생활영역 기반의 학교중단 청소년 재유형화 방안․48 [그림 2-8] 수요자 요구에 기반한 학교중단 청소년 유형화 방안․50 [그림 2-9] 학교중단 청소년 심층인터뷰를 위한 유형화 방안․50 [그림 3-1]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해밀’의 업무체계도․65 [그림 3-2] 두드림존 프로젝트의 단계별 모형․67 [그림 3-3] 청년층 뉴스타트 프로젝트 추진 체계․79 [그림 3-4] 위기청소년 상담지원체계 흐름도․81 [그림 3-5] 청소년 쉼터 체계도․88 [그림 3-6] 일시청소년 쉼터의 운영 모형․89 [그림 3-7] 단기청소년 쉼터의 운영 모형․91 [그림 3-8] 중장기청소년 쉼터의 운영 모형․92 [그림 5-1] Wee 프로젝트 체계도․177 [그림 5-2] Wee 센터의 운영도․17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