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커리어 패스 형성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Creative Career Paths
- 저자
- 한상근 박서연 김나라 이지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2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창의적 커리어 패스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 방법 개관 5 제3절 면담 조사 및 자료 분석 8 제4절 사례 선별 16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제1절 창의적 커리어 패스 분석을 위한 사례 연구 23 제2절 사례 연구를 활용한 선행 연구 검토 27 제3절 창의성 연구의 동향 35 제4절 탈산업 사회의 커리어 패스 44 제5절 창의적 커리어 패스의 개념 48 제3장 창의적 커리어 패스 분석 제1절 참여자의 커리어 패스 57 제2절 청소년기의 꿈과 진로 준비 73 제3절 일의 만족도와 삶의 비전 95 제4장 쟁점: 창의적 커리어의 고난과 성취 제1절 참여자의 촉진 요인 112 제2절 참여자의 고난 요인 135 제3절 참여자의 극복 요인 149 제4절 종합논의 163 제5장 결론과 정책 제언 제1절 심층 면담의 과정과 결과 171 제2절 정책 제언 176 제3절 면담 결과에 관한 논의 182 제4절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187 SUMMARY 189 <부록 1> 연구 참여자 동의서 195 <부록 2> 1차 면담 질문지 197 <부록 3> 2차 면담 질문지 199 <부록 4> 생애 이력표 201 <부록 5> 참여자들의 정책적 제안 203 참고문헌 215
본 연구는 기존의 직업 영역, 전통적 편견이나 고정관념, 학력과 성, 신체적 장애, 그리고 국경 등의 한계를 넘어 창의적인 커리어 패스(career path)의 가능성을 보여준 인물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새로은 직업 영역을 선도적으로 개척한 사람들, 직업에 관한 기존의 선입견을 넘어선 선구자들의 사례를 발굴하고 , 이 사례들에 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심층면담의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커리어를 가진 사람들의 학창시절 꿈과 진로, 성공과 고난 요인, 삶의 비전, 진로 준비, 자기 개발, 직업전환 등에 대하여 분석한다. ○ 주요내용 - 창의적 커리어 패스의 개념과 유형 현황 - 창의적 커리어 패스의 사례 분석 - 창의적 커리어의 고난과 성취 - 창의적 커리어 패스 육성을 위한 정책 제언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sons who have the creative career paths that go over various barriers such as existing career domain, educational backgrounds, gender or physical handicap and so on. The study consists of four main parts: First, we would pick out the cases that build up life-long careers creatively. The cases might go over various barriers such as existing career domain, educational backgrounds, gender or physical handicap and so on. Second, we would analyze the environment, conditions and concrete processes that mold creative career paths. Third, we would analyze factors that facilitate the persons to go over existing career domain, educational backgrounds, gender or physical handicap and so on. Fourth, we would prepare back data of creative career paths to inform people. ...
<표 1-1> 심층 면담 항목의 영역별 세부 내용ㆍ9 <표 1-2> 심층 면담 현황표ㆍ12 <표 1-3> 심층 면담 분석회의 진행과정ㆍ15 <표 1-4> 심층 면담 참여자의 인적사항ㆍ19 <표 2-1> 국내 선행연구 심층 면담 구조 비교표ㆍ29 <표 2-2> 산업사회와 탈산업사회의 커리어 패스 비교ㆍ46 <표 2-3> 다양한 커리어 패스의 유형들ㆍ47 <표 4-1> 참여자 13인의 촉진 요인ㆍ113 <표 4-2> 개척 지향형 촉진 요인ㆍ114 <표 4-3> 도전 지향형 촉진 요인ㆍ123 <표 4-4> 가치 지향형 촉진 요인ㆍ130 <표 4-5> 참여자 13인의 고난 요인ㆍ135 <표 4-6> 개척 지향형 고난 요인ㆍ136 <표 4-7> 도전 지향형 고난 요인ㆍ141 <표 4-8> 가치 지향형 고난 요인ㆍ147 <표 4-9> 참여자 13인의 극복 요인ㆍ150 <표 4-10> 개척 지향형 극복 요인ㆍ150 <표 4-11> 도전 지향형 극복 요인ㆍ155 <표 4-12> 가치 지향형 극복 요인ㆍ160 <표 4-13> 참여자 13인의 유형별 촉진 및 극복 요인의 유사성ㆍ167 <부록 표 1> 전문직 육성을 위한 정책 제안ㆍ205 <부록 표 2> 커리어 개발과 관련된 정책 제안ㆍ207 <부록 표 3> 교육개혁을 위한 각종 정책안ㆍ209 <부록 표 4> 사회인식 변화에 관한 정책 제언ㆍ211 <부록 표 5> 전문 분야별 정책 제언ㆍ213 [그림 1-1] 탈산업 사회의 복선형 생애주기ㆍ3 [그림 1-2]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ㆍ6 [그림 1-3] 심층 면담 진행 절차 및 면담 분석 과정ㆍ11 [그림 2-1] 어번의 창의성 요소 모델ㆍ42 [그림 2-2] 창의성에 관한 총체적 접근ㆍ43 [그림 2-3] 커리어 격자ㆍ52 [그림 2-4] 창의적 커리어 패스의 개념화ㆍ54 [그림 3-1] 사례 A의 생애 이력ㆍ58 [그림 3-2] 사례 B의 생애 이력ㆍ59 [그림 3-3] 사례 C의 생애 이력ㆍ60 [그림 3-4] 사례 D의 생애 이력ㆍ62 [그림 3-5] 사례 E의 생애 이력ㆍ63 [그림 3-6] 사례 F의 생애 이력ㆍ64 [그림 3-7] 사례 G의 생애 이력ㆍ65 [그림 3-8] 사례 H의 생애 이력ㆍ66 [그림 3-9] 사례 I의 생애 이력ㆍ67 [그림 3-10] 사례 J의 생애 이력ㆍ68 [그림 3-11] 사례 K의 생애 이력ㆍ69 [그림 3-12] 사례 L의 생애 이력ㆍ71 [그림 3-13] 사례 M의 생애 이력ㆍ72 [그림 4-1] 참여자의 촉진·극복·고난의 순환적 관계ㆍ169 [그림 5-1] 심층 면담 결과의 정리ㆍ184 [그림 5-2] 총체적 관점으로 본 창의적 커리어 패스ㆍ18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창의적 커리어 패스(career path) 형성에 관한 기초 연구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