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입학사정관제도 도입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지원체제 연구
A Study on Career Education Support Systems in Schools with Consider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Admissions Officers
- 저자
- 이영대 김정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3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대학입학사정관제도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제3절 용어의 정의 9 제4절 연구의 제한 10 제2장 입학사정관제도의 추진과정과 주요쟁점 13 제1절 대학입시 자율화 정책의 배경 및 의의 13 제2절 입학사정관제도의 의의와 추진과정 18 제3절 입학사정관제도의 주요 쟁점 25 제3장 미국과 일본의 입학사정관제도 29 제1절 미국 대학의 입학사정관제도 운영 사례 29 제2절 일본 대학의 입학사정관제도 운영 사례 36 제4장 입학사정관제도의 도입과 학교진로교육에 주는 영향 41 제1절 입학사정관제도의 실제 운영 실태와 학교교육에 주는 영향 41 제2절 학교의 대응 48 제3절 학교진로교육과 지원체제의 현황 50 제4절 학교 진로지도 상황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견해 59 제5절 고등학교 상담교사 활용정도 69 제5장 입학사정관제도에서 비교과 영역의 활용증대 방안 71 제1절 비교과 영역의 중요성 71 제2절 비교과 영역의 기재 내용과 평가방안 78 제6장 입학사정관제도 도입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지원체제의 방향 97 제1절 진로교육지원체제의 개념과 구성요소 97 제2절 진로교육지원체제 요구분석 100 제3절 진로교육지원체제 구축방안 141 제7장 결론 171 SUMMARY 179 <부록 1> 주요대학 2010학년도 입학사정관 전형 187 <부록 2> 전문가 델파이 1차 질문지 191 <부록 3> 전문가 델파이 2차 질문지 195 <부록 4> 교사 대상 질문지 203 <부록 5>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예시 212 참고문헌 219
입학사정관 제도의 도입 이후 학교 현장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포트폴리오 작성 △포트폴리오와 관련한 학생별 종합적 정보 수집ㆍ구축 △특별 프로그램의 개설운영이다. 그러나 진로교육 전반에서의 변화와 이를 뒷받침하는 진로교육지원체제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앞으로 대학입시에서 정시모집보다 수시모집이 훨씬 더 많아지고 있으며 수시모집에서도 입학사정관제도가 더욱 많이 도입될 전망이다. 더구나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에서 입학사정관 제도가 도입될 계획이다. 입학사정관제도의 핵심은 학생부의 비교와 영역에 대한 강조를 통한 진로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입학사정관제도에 대비하려면 학교의 진학 진로지도, 진로 및 진학상담활동, 심리검사, 계열선택지도, 학부모 회의, 강연회, 입시설명회, 진로 직업탐색 프로그램, 체험위주의 진로 교육, 진로교육 설계 활동, 진로정보 제공 등이 이루어 져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각급 학교에서 진로지도 보다는 진학위주로 운영되어 왔다. 때문에 현재까지 입학사정관제도의 취지에 맞는 진로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른 진로교육 지원체제구축은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라 학교교육이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7개 대영역(학생부 기록, 포트폴리오작성,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위한 교육, 진로관련 심리검사와 상담, 진로프로그램 운영,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정보제공, 진학지원단 등 교사교육 관련)의 43개 중간 영역, 162개의 하위 영역의 과제를 추출하였다. 정부에서는 학생ㆍ학부모ㆍ학교의 혼란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노력으로서, 일관성 있는 진로지도 체계를 구축하여 보급하여야 하며, 다양한 활동 체제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 연수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스펙을 관리하고 상담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학생 개개인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 of career education due to South korea's admission of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s. In korea, admission of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s started in 2009 and there must be many changes occurred in school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upport system for these changes especially in career education. Because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process by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career education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the purpose various methods was adopted such as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review, advisory meeting of related professionals, school visits, attending related meetings, attended, delphi survey of 20 professionals, and a survey of teachers (181 schools 865 people) was conducted. ...
<표 1-1> 델파이 조사 절차․6 <표 1-2> 델파이 조사 대상․6 <표 1-3> 설문조사 응답자 일반 현황․7 <표 1-4> 각종 세미나 발표자료 수집․8 <표 1-5>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른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인식조사․9 <표 2-1> 대학입시자율화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대선공약․15 <표 2-2> 대학입시 3단계 자율화 과정․16 <표 2-3> 입학사정관제도 3단계 정착방안․21 <표 2-4> 2009년도 선도․계속․신규지원대학과 입학사정관 전문양성․훈련프로그램 지원 대상 대학․25 <표 4-1> 대학내 입학사정관제도 실시 방법․42 <표 4-2> 학생선발에서 검토하는 기준의 우선순위․43 <표 4-3>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인식 기술통계․44 <표 4-4> 대입자율화가 학교교육에 준 영향․46 <표 4-5> 대입자율화가 향후 학교교육에 줄 영향 예측․47 <표 4-6> ‘진로와 직업’ 교과 편성 비율․50 <표 4-7> 교과활동 이외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51 <표 4-8> 진로교육 관련 자격별 시험과목 또는 이수과목․53 <표 4-9> 전문상담교사 배치 현황(2009. 3 기준)․53 <표 4-10> 진학지도에 대해 충분하다고 느끼는 비율․61 <표 4-11> 학생과 학부모의 고교 진학지도에 대한 만족도 비교․61 <표 4-12> 학년에 따른 학부모들의 진학지도에 대한 만족도 변화․62 <표 4-13> 학교 진로교육의 체계성에 대해 만족하는 비율․62 <표 4-14> 진로선택을 위한 검사 및 자료제공에 대한 만족도․64 <표 4-15> 진로․직업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67 <표 4-16> 진로지도 체계성에 대한 의견․68 <표 4-17> 고교 설립구분에 따른 상담전문가 보유 현황․70 <표 4-18> 고교 유형에 따른 상담전문가 보유 현황․70 <표 5-1> 학교생활기록부 각 영역의 개선에 관한 요구 조사․72 <표 5-2> 비교과 영역 종합지원 시스템 향후 추진 계획․77 <표 5-3> 주요 비교과 영역과 내용․78 <표 5-4> 현 학교생활기록부 출결사항 기재 예시․79 <표 5-5> 출결사항․80 <표 5-6> 현 학교생활기록부 수상경력 기재 예시․80 <표 5-7> 수상경력 기재 내용(안)․82 <표 5-8> 현 학교생활기록부 자격증 기재 예시․82 <표 5-9> 현 학교생활기록부 창의적 재량활동 기재 예시․84 <표 5-10> 현 학교생활기록부 특별활동 기재 예시․85 <표 5-11> 특별활동 평가기록표(안) 예시․87 <표 5-12> 현 학교생활기록부 봉사활동실적 기재 예시․89 <표 5-13> 봉사활동 시간 반영 비율 점수․89 <표 5-14> 봉사활동 점수 환산 표(안)․90 <표 5-15> 현 학교생활기록부 교외체험학습 상황 기재 예시․91 <표 5-16> 현 학교생활기록부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기재 예시․92 <표 5-17> 독서활동 기재사항․94 <표 6-1> 각 기관별 대학입시자율화를 위한 과제․99 <표 6-2> 델파이 조사 기간 및 회수율․101 <표 6-3> 2차 델파이 질문문항․102 <표 6-4> 학생부기록 철저의 하위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104 <표 6-5> 포트폴리오 등 각종 서류 작성 및 기록 철저의 하위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106 <표 6-6> 학생․학부모 인식 교육 강화 하위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108 <표 6-7> 심리․상담 검사 강화 하위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109 <표 6-8> 각종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고교 차별화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110 <표 6-9> 각종 정보(입시제도 분석)제공 강화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113 <표 6-10> 진학지원 체제 구축(교사교육 등)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114 <표 6-11> 학생부기록 철저 하위요인의 중요도․119 <표 6-12> 포트폴리오 등 각종 서류 작성 및 기록 철저의 하위요인의 중요도․124 <표 6-13> 학생․학부모 인식 교육 하위요인의 중요도․127 <표 6-14> 심리․상담 검사의 하위요인의 중요도․129 <표 6-15> 각종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고교 차별화 하위요인의 중요도․133 <표 6-16> 각종 정보(입시제도 분석)제공 강화의 중요도․136 <표 6-17> 진학지원 체제 구축(교사교육 등)의 중요도․140 <표 6-18>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른 학생의 역할․156 <표 6-19>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른 교사의 역할․158 <표 6-20>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른 학부모의 역할․160 <표 6-21>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른 학교의 역할․163 <표 6-22> 입학사정관제도에 따른 중앙부처의 역할․168 [그림 1-1] 입학사정관제도의 학생 선발․3 [그림 1-2] 연구내용 체계도․4 [그림 4-1] 입학사정관제도를 대비한 학생 프로파일의 작성 및 활용지도․49 [그림 4-2] 단위 학교에서의 교원연수 주제별 현황․54 [그림 4-3] 진로교육 책임자(PISA 2006)․55 [그림 4-4] 꿈 설계도․59 [그림 5-1] 비교과 영역 종합지원 시스템(안) 흐름도․77 [그림 6-1] 학생부기록 철저의 하위요인의 세부 실천방안․105 [그림 6-2] 포트폴리오 등 각종 서류 작성 및 기록 철저의 하위요인의 세부 실천방안․107 [그림 6-3] 학생․학부모 인식교육 강화 하위요인의 세부 실천방안․108 [그림 6-4] 심리․상담 검사 강화 하위요인의 세부 실천방안․109 [그림 6-5] 각종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고교 차별화의 세부 실천방안(1)․111 [그림 6-6] 각종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고교 차별화의 세부 실천방안(2)․112 [그림 6-7] 각종 정보(입시제도 분석)제공 강화의 세부 실천방안․113 [그림 6-8] 진학지원 체제 구축(교사교육 등)의 세부 실천방안․11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대학 입학사정관제도 도입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지원체제 연구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