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2009)
Development of KRIVET Occupation Prospect Index(2009)
- 저자
- 정윤경 한상근 장혜정 김나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3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1.30
- 등록일
-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전망지표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 1. 연구내용 3 2. 연구방법 6 제3절 연구범위 9 제4절 용어의 정의 13 1. 직업전망 지표 13 2. 직업전문가 14 제2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 연구방법론 제1절 직업전망 지표와 실제 통계자료 분석 17 제2절 직업전망 지표의 구성 24 1. 직업전망 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24 2. 직업전망 지표 가중치 조사 28 제3절 직업전망 조사의 설계 32 1. 조사직업 선정 32 2. 직업전문가 DB 구축 34 제3장 제조ㆍ건설ㆍ이공계분야의 특징과 직업세계 제1절 제조 건설업 동향 39 1. 산업구조 39 2. 산업동향 43 제2절 제조ㆍ건설ㆍ이공계 직업세계의 변화추이 46 1. 취업구조 46 2. 산업별 취업구조 48 3. 직업별 취업구조 49 4. 고용형태별 취업구조 50 제3절 직종별 직업의 특징 52 1. 보상 영역: 임금현황 52 2. 고용안정 영역: 고용형태 58 3. 근무여건 영역: 근무시간 66 제4장 직업전망 지표의 주요 결과 제1절 조사 개요 69 제2절 현재의 직업전망지표 73 1. 종합 직업전망지표 73 2. 영역별 직업전망지표 78 3. 주요 영역간 교차 비교 92 4. 2007-2009 결과비교 101 제3절 10년 후의 직업전망지표 114 1. 종합 직업전망지표 114 2. 영역별 직업전망지표 117 3. 주요 영역간 교차 비교 131 4. 2007-2009 결과 비교 139 제4절 직업세계 변화 추세 151 1. 종합지표의 변화추이 151 2. 영역별 지표의 변화추이 160 3. 세부 영역별 지표의 변화추이 171 4. 2007-2009 결과 비교 189 제5장 이슈분석 및 조사결과 타당성 검토 제1절 여성 유망직업 195 1. 현재 시점의 양성평등 196 2. 10년 후 시점의 양성평등 199 3. 양성평등 영역과 종합 지표의 교차 비교 201 4. 여성 유망직업 발굴 205 제2절 고령자 유망직업 211 1. 현재 시점의 고령자 친화성 211 2. 10년 후 시점의 고령자 친화성 214 3. 고령자 친화성 영역과 종합 지표의 교차 비교 216 4. 고령자 유망직업 발굴 220 제3절 2007-2009 결과 비교 225 1. 여성 유망직업 비교 225 2. 고령자 유망직업 비교 228 제4절 조사결과 타당성 검토 232 제6장 요약 및 정책과제 제1절 요약 235 1. 현재의 직업전망 지표 236 2.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237 3. 현재와 10년 후 간의 직업전망 변화 238 4. 여성 및 고령자 유망직업 242 제2절 정책과제 245 1. 건설 산업 분야의 기능 인력 육성을 위한 특단의 대책 필요 245 2. 이공계 직업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진로교육 강화 246 3. 직업전망 통계 생성을 위한 범부처 협력 체제 구축 필요 247 제3절 향후과제 249 1. 직업전망 연구의 중장기 계획 249 2. 직업전망 지표 활용도 제고를 위한 시스템 구축 252 SUMMARY 255 <부록 1> 전문가의견 조사지(가중치 조사) 263 <부록 2> 웹 기반 설문조사 시스템 273 <부록 3> AHP기법을 통한 가중치와 일관성지수(C.I.)의 계산 279 <부록 4> 직업전망 지표 산출에 대한 추가 설명 285 <부록 5> 직업전망 지표의 변화추이(미래-현재)에 대한 추가 설명 291 <부록 6> 직업전망 지표 세부 항목별 상ㆍ하위 20개 직업 293 <부록 7> 지표 영역별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 목록 339 <부록 8> 종합 직업전망 지표 직업 세분류 분석결과 345 <부록 9> KRIVET 직업전망 지표 결과 웹페이지 347 <부록 10> KRIVET 직업전망 지표와 임금, 일자리창출 항목 비교 분석 348 참고문헌 353
직업세계는 기술발전과 사회변화, 경제활동의 변화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직업을 준비하고 있는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중.장년층의 고용 불안 심화, 비정규직의 확대 등 노동시장의 관행과 제도 변화가 심화되면서 취업의 질, 유망직업 혹은 괜찮은 직업(decent job) 사회적 관심과 요구는 계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직업의 다양한 가치를 반영한 종합적인 직업전망 지표를 주기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직업세계 변화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주도적인 진로설계를 지원하며, 정부의 인적자원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주요내용 - 제조.건설.이공계분야의 특징과 직업세계 - 현재 및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 현재와 10년 후 간의 적업전망 변화 - 여성 및 고령자 유망직업 - 직업전망 연구의 중장기 계획
The unemployment ratio among the rising generation and the anxiety of the insecurity of their occupations among the elderly are being aggravat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casual workers(non-regular workers), to be faced with the worldwide economic crisis. The nation needs the information for more secure occupations, promising occupations in the future's work world that are unpredictable, as the employment quality is growing worse. For this reason, to develop a path for the nation, we are willing to provide an output of Occupation Prospect Index that will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world and the work world, which is an important data for the subject of the economy to encounter the changes of the work world more actively and effectively. The following is our research method. Firs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tual statistical data of the 2007-2008 KRIVET Occupation Prospect Index result.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that are related with the evaluation field and item details of the Occupation Prospect Index. Third, the specialist survey for additive computation of the evaluation field and item details of the index along with the Occupation Prospect Index survey after 2007, of the occupations that belong to the major industries of manufacture, construction, science and engineering. Then, the fourth is to calculate each indexes based on synthesis prospect index and field prospect index to find out promising occupations or promising occupations for the aged/woman. Then,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of all the above, we will present a long term strategic plan and policy implication of the Occupation Prospect Index henceforth. ...
<표 1-1> 설문조사지의 세부 항목과 설명․8 <표 1-2> 연도별 직업전망 지표 조사대상 직업․10 <표 2-1> 직업전망 지표와 기존 통계자료 비교표․19 <표 2-2> 지표 및 OES 임금간 차이 분석을 위한 변수 생성․21 <표 2-3> 지표 임금과 OES 임금 변수간의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21 <표 2-4> 지표 및 OES 임금 변수간에 이상 차이를 보이는 직업․21 <표 2-5> 직업전망 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설명․27 <표 2-6> 2009년 평가영역별 세부항목별 가중치 산정 결과․29 <표 2-7> 2009년 평가영역별 세부항목별 가중치 산정 결과․30 <표 2-8> 2006년과 2009년의 각 항목별 가중치 및 순위변동․31 <표 2-9> 2009년도 조사대상 직업․33 <표 2-10> 2007년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현황․35 <표 2-11> 2007년 제조건설업 중분류직업별 응답자 현황․36 <표 2-12> 중분류 직업별 조사 가능성 검토․37 <표 2-13> 직업전문가 DB에 포함된 변수․38 <표 3-1> 산업구조의 변동추이(명목, 총부가가치 기준)․40 <표 3-2> 경제활동별 성장률(전기 대비)․41 <표 3-3> 제조업 업종별 성장률(전기 대비)․42 <표 3-4> 주요 업종별 생산․내수․수출실적․44 <표 3-5>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및 실업자 동향․47 <표 3-6> 산업별 취업자 구성비․48 <표 3-7>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50 <표 3-8> 고용형태별 취업자 구성비․51 <표 3-9> 직종별 월평균 소득 : 성별․53 <표 3-10> 직종별 월평균 소득 : 근속년수․55 <표 3-11> 최고 월평균 소득의 근속년수․57 <표 3-12> 직종별 상위 20% 근로소득․58 <표 3-13> 고용형태별 취업분포․59 <표 3-14> 직업별 취업자 수(중분류 기준)․61 <표 3-15> 직종별 고용형태 : 임금/비임금․62 <표 3-16> 직종별 고용형태 : 남성․64 <표 3-17> 직종별 고용형태 : 여성․65 <표 3-18> 직종별 주당 평균 근무시간․67 <표 4-1> 응답자 현황․71 <표 4-2> 본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72 <표 4-3>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지표․73 <표 4-4> 현재의 세분류 직업별 직업전망지표 상․하위 20개 직업․77 <표 4-5>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79 <표 4-6>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81 <표 4-7>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83 <표 4-8>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85 <표 4-9>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87 <표 4-10>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89 <표 4-11>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91 <표 4-12> 현재의 보상-고용현황 교차 비교 직업군․94 <표 4-13> 현재의 보상-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군․96 <표 4-14> 현재의 보상-근무여건 교차 비교 직업군․98 <표 4-15> 현재의 고용현황-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군․100 <표 4-16> 중분류 직업별 종합 직업전망지표 변화: 전체 평균․101 <표 4-17> 중분류 직업별 종합 직업전망지표 변화: 하위영역․102 <표 4-18> 세분류 직업별 종합 직업전망지표 상․하위 직업변화․103 <표 4-19>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04 <표 4-20>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06 <표 4-21>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07 <표 4-22>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09 <표 4-23>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10 <표 4-24>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12 <표 4-25>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13 <표 4-26>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지표․115 <표 4-27> 10년 후의 세분류 직업별 종합지표 상․하위 20개 직업․116 <표 4-28>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118 <표 4-29>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120 <표 4-30>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122 <표 4-31>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124 <표 4-32>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126 <표 4-33>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128 <표 4-34>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130 <표 4-35> 10년 후의 보상-고용현황 교차 비교 직업군․133 <표 4-36> 10년 후의 보상-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군․135 <표 4-37> 10년 후의 보상-근무여건 교차 비교 직업군․137 <표 4-38> 10년 후의 고용현황-고용안정 교차 비교 직업군․139 <표 4-39> 10년 후의 세분류 직업별 종합지표 상, 하위권 변동사항(2007년 조사와 2009년 조사의 비교)․141 <표 4-40>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 - 10년 후․142 <표 4-41>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 - 10년 후․143 <표 4-42>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 - 10년 후․144 <표 4-43>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 - 10년 후․145 <표 4-44>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 - 10년 후․146 <표 4-45>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 - 10년 후․147 <표 4-46>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 - 10년 후․148 <표 4-47> 10년 후의 보상-고용현황 교차 비교 직업군(2007년 조사와 2009년 조사의 비교)․150 <표 4-48> 현재와 10년 후 직업전망지표의 스피어만 상관계수․152 <표 4-49> 종합 직업전망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153 <표 4-50>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에 따른 직업분류표․155 <표 4-51> 현재, 미래 모두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Ⅰ분면)․156 <표 4-52> 현재, 미래 모두 직업전망이 어두운 직업목록(Ⅲ 분면)․157 <표 4-53> 현재 직업전망은 보통이나 미래는 밝은 직업목록(Ⅵ 분면)․158 <표 4-54> 현재 직업전망은 어두우나 미래는 보통인 직업목록(Ⅶ 분면)․158 <표 4-55> 현재 직업전망은 밝으나 미래는 보통인 직업목록(Ⅴ 분면)․159 <표 4-56> 현재 직업전망은 보통이나 미래는 어두워질 직업목록(Ⅷ 분면)․159 <표 4-57> 영역별 직업전망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161 <표 4-58> 지표영역별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Ⅰ분면)․167 <표 4-59> 지표영역별 현재와 미래 직업전망이 어두운 직업목록(Ⅲ분면)․169 <표 4-60>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창출 영역 비교 직업목록․173 <표 4-61>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성장 영역 비교 직업목록․176 <표 4-62> 현재와 10년 후의 취업경쟁 영역 비교 직업목록․179 <표 4-63> 현재와 10년 후의 자기개발가능성 영역비교 직업목록․182 <표 4-64> 현재와 10년 후의 승진 가능성 영역 비교 직업목록․185 <표 4-65> 현재와 10년 후의 직장이동 가능성 영역 비교 직업목록․188 <표 4-66> 2007-2009 종합지표 직업세분류 분석 결과 비교표․190 <표 4-67> 2007-2009 영역별지표 직업세분류 분석 결과 비교표(I 분면 직업)․192 <표 5-1> 양성평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198 <표 5-2> 양성평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200 <표 5-3> 양성평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 결과표(현재)․203 <표 5-4> 양성평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 결과표(10년 후)․205 <표 5-5> 여성 유망직종의 변화 정리표․206 <표 5-6> 양성평등-일자리 창출을 바탕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여성 유망직업 목록(Ⅰ사분면 포함 여부기준)․209 <표 5-7> ‘양성평등-임금수준’을 바탕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여성 유망직업 목록(1 분면 포함 여부 기준)․210 <표 5-8> 고령자 친화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현재․213 <표 5-9> 고령자 친화성 항목의 상․하위 20개 직업 - 10년 후․215 <표 5-10>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 결과표(현재)․217 <표 5-11>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 결과표(10년 후)․219 <표 5-12> ‘고령자 친화성-일자리 창출’을 기준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고령자 유망직업 목록(1 분면 포함 여부 기준)․222 <표 5-13> ‘고령자 친화성-임금수준’을 기준으로 한 현재 및 미래의 고령자 유망직업 목록(1 분면 포함 여부 기준)․224 <표 5-14> 2007년과 2009년의 양성평등-종합지표 교차 비교(현재, Ⅰ분면)․227 <표 5-15> 2007년과 2009년의 고령자 친화성-종합지표 교차 비교(10년 후, Ⅰ분면)․230 <표 5-16> 직업전망 지표의 타당성 검토결과(임금, 정규고용 보정 전)․234 <표 5-17> 직업전망 지표의 타당성 검토결과(임금, 정규고용 보정 후)․234 <표 6-1> 현재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상위 20개)․236 <표 6-2> 10년 후 직업전망이 밝은 직업목록(상위 20개)․238 <표 6-3> 현재, 미래 모두 전망이 밝은 직업목록․239 <표 6-4> 현재, 미래 모두 전망이 어두운 직업목록․240 <표 6-5> 여성에게 유망한 직업(‘양성평등-일자리 창출’을 기준)․242 <표 6-6> 여성에게 유망한 직업(‘양성평등-임금수준’을 기준)․242 <표 6-7> 고령자에게 유망한 직업(‘고령자 친화성-일자리 창출’을 기준)․243 <표 6-8> 고령자에게 유망한 직업(‘고령자 친화성-임금수준’을 기준)․243 [그림 1-1] 직업전망 지표의 생성 과정․12 [그림 3-1] 산업구조의 변화․40 [그림 3-2] 정보통신산업의 성장률 및 GDP 성장기여도․43 [그림 3-3] 주요 제조업종의 경기 국면별 위치(2008년 4/4분기 현재)․45 [그림 3-4] 주요 고용관련 지표․47 [그림 3-5] 산업별 취업구조․49 [그림 3-6] 고용형태별 취업구조․51 [그림 4-1] 현재 보상과 고용현황 교차 비교․93 [그림 4-2] 현재 보상과 고용안정 교차 비교․95 [그림 4-3] 현재 보상과 근무여건 교차 비교․98 [그림 4-4] 현재 고용현황과 고용안정 교차 비교․100 [그림 4-5] 10년 후 보상과 고용현황 교차 비교․131 [그림 4-6] 10년 후 보상과 고용안정 교차 비교․134 [그림 4-7] 10년 후 보상과 근무여건 교차 비교․136 [그림 4-8] 10년 후 고용현황과 고용안정 교차 비교․138 [그림 4-9] 현재와 10년 후의 종합지표 직업별 변동․155 [그림 4-10] 현재와 10년 후의 보상영역지표 직업별 변동․163 [그림 4-11]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현황영역지표 직업별 변동․163 [그림 4-12]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안정영역지표 직업별 변동․164 [그림 4-13] 현재와 10년 후의 발전가능성영역지표 직업별 변동․164 [그림 4-14] 현재와 10년 후의 근무여건영역지표 직업별 변동․165 [그림 4-15] 현재와 10년 후의 직업전문성영역지표 직업별 변동․165 [그림 4-16]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평등영역지표 직업별 변동․166 [그림 4-17]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창출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72 [그림 4-18] 현재와 10년 후의 일자리 성장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74 [그림 4-19] 현재와 10년 후의 취업경쟁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78 [그림 4-20] 현재와 10년 후의 자기개발 가능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81 [그림 4-21] 현재와 10년 후의 승진 가능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84 [그림 4-22] 현재와 10년 후의 직장이동 가능성 영역 지표 직업별 변동․187 [그림 5-1] 양성평등과 종합지표 교차 비교(현재)․202 [그림 5-2] 양성평등과 종합지표 교차 비교(10년 후)․204 [그림 5-3] 양성평등과 일자리창출(현재시점)․207 [그림 5-4] 양성평등과 일자리창출(미래시점)․207 [그림 5-5] 양성평등과 임금수준(현재시점)․208 [그림 5-6] 양성평등과 임금수준(미래시점)․208 [그림 5-7]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현재)․217 [그림 5-8] 고령자 친화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10년 후)․219 [그림 5-9] 고령자친화성과 일자리창출(현재시점)․221 [그림 5-10] 고령자친화성과 일자리창출(미래시점)․221 [그림 5-11] 고령자친화성과 임금수준(현재시점)․223 [그림 5-12] 고령자친화성과 임금수준(미래시점)․223 [그림 6-1] 2년 주기의 직업전망 연구체제․25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2009) | 2009.01.01~2009.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