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고등교육의 양적 변화ㆍ8
<표 1-2> 표본틀ㆍ13
<표 1-3> 표본크기 및 표본추출률ㆍ13
<표 1-4> 표본 추출 대학과 졸업생 현황ㆍ14
<표 1-5> 졸업연도별 상세 조사 현황ㆍ15
<표 1-6> 실태조사 표본수ㆍ16
<표 2-1> 학생들의 기대교육 수준ㆍ25
<표 2-2>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받으려는 목적ㆍ26
<표 2-3> 고교졸업자 대비 대학 입학생 수의 변화 추이ㆍ28
<표 2-4> 고교졸업자 대비 대학진학 희망자수 추이ㆍ30
<표 2-5> 대학진학 희망비율과 대학진학률의 추이ㆍ31
<표 2-6> 고교졸업자 및 대학진학자 대비 대학정원의 추이ㆍ33
<표 2-7> 고등교육에 대한 초과수요ㆍ34
<표 2-8> 고등교육 이수자의 성별 비중 변화ㆍ36
<표 2-9> 고등교육 수요 선택 시점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ㆍ37
<표 2-10> 고등학교 계열에 따른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ㆍ38
<표 2-11> 고등학교 학업성적별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ㆍ39
<표 2-12>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교시절 사교육 경험 비율ㆍ40
<표 2-13> 고등교육 이수자의 상급 단계 진학 비율ㆍ41
<표 2-14> 고등교육 이수자 부친의 학력 분포 변화ㆍ43
<표 2-15> 고등교육 이수자 부친의 직업 분포 변화ㆍ44
<표 2-16> 고등교육 이수자의 생활환경 변화ㆍ46
<표 2-17> 고등교육이수자의 부모 및 본인의 건강 고려 정도 변화ㆍ46
<표 2-18> 고등교육 수요의 영향 요인ㆍ52
<표 3-1> 대학입학전형제도의 변화ㆍ63
<표 3-2> 학교 급별ㆍ성별 개인 교육투자수익률 변화 추세(1980~1994)ㆍ74
<표 3-3> 고등학교 졸업자 대비 대학입학정원ㆍ74
<표 4-1> 교육 투자수익률 추정치: 전체 표본ㆍ97
<표 4-2> 투자 수익률의 남녀 간 차이ㆍ99
<표 4-3> 투자수익률의 비선형성: 식(4-7) 및 식(4-8)의 결과ㆍ100
<표 4-4> 투자수익률의 비선형성: 준모수적 접근ㆍ101
<표 4-5> 전공출신별 대학원 재투자 수익률ㆍ102
<표 4-6> 가구의 상대소득수준과 교육 재투자와의 관계ㆍ105
<표 5-1> 대졸 대비 대학원졸의 투자수익률 추정 결과(임금 기준)ㆍ128
<표 5-2> 대졸 대비 대학원졸의 투자수익률 추정 결과(시간당 임금 기준)ㆍ130
<표 5-3> 졸업학점의 투자수익률 추정 결과(임금 기준)ㆍ132
<표 5-4> 교수 1인당 학생수의 투자수익률 추정 결과(2002년 졸업생)ㆍ133
<표 5-5> 대학시설 면적 및 도서관 예산액의 투자수익률 추정 결과(2002년 졸업생)ㆍ134
<표 5-6> 복수전공ㆍ연계전공ㆍ부전공의 임금효과 추정 결과(임금 기준)ㆍ136
<표 6-1> 전공계열별 임금식 회귀 추정결과: 졸업연도별ㆍ154
<표 6-2> 전공계열별 임금식 회귀 추정결과: 졸업연도별, 자영업자 포함ㆍ157
<표 6-3> 전공계열별 임금률 회귀 추정결과: 졸업연도별, 임금근로자ㆍ158
<표 6-4> 졸업 후 커리어 직장 입직까지의 대기기간, 군복무 기간, 교육 기간ㆍ160
<표 6-6> 전공계열별 임금식 회귀 추정결과: 자영 포함, 임금상위 25%집단ㆍ170
<표 6-7> 졸업-CJ입직까지의 소요기간: 전공계열별, 임금상위 25%집단ㆍ172
<표 6-8> 전공계열별 연봉상위 25% 직장을 취득할 확률ㆍ172
<표 7-1> 대학 졸업생의 소득수준: 전공과 직업일치ㆍ187
<표 7-2> 대학 졸업생의 소득수준: 전공직업일치 및 이직횟수ㆍ188
<표 7-3> 대학 졸업생의 전공별 전공직종일치 비중ㆍ188
<표 7-4> 졸업연도별 현 직장 전공일치도ㆍ191
<표 7-5> 전공별 경력기간별 현 직장 전공일치도ㆍ192
<표 7-6> 1982년 졸업생의 경력기간별 전공일치도ㆍ193
<표 7-7> 졸업연도별 전공별 전공일치도에 따른 임금차이ㆍ201
<표 7-8> 전공별 전공일치에 따른 임금차이(ANOVA 결과)ㆍ202
<표 7-9> 이직경력별 전공일치 취업과 비전공일치 취업 간 임금 차이ㆍ203
<표 7-10> 비이직 경력자 중 숙련축적지수별 평균임금 차이ㆍ204
<표 7-11> 2회 이상 이직자의 숙력축적수준별 평균임금 수준ㆍ204
<표 7-12> 전공-직업일치에 따른 임금효과 분석(1982, 1992, 2002년 코호트 전체)ㆍ210
<표 7-13> 코호트별 전공-직업일치에 따른 임금효과 분석(1982, 1992, 2002년)ㆍ217
<표 7-14> 전공별 전공-직업일치에 따른 임금효과 분석ㆍ220
<부표 6-1> <표 6-2>의 제3열 모형 추정결과ㆍ233
<부표 7-1> 비이직 경력자의 전공일치도에 따른 평균 임금 차이ㆍ234
<부표 7-2> 1회 이상 이직 경력자의 전공일치도에 따른 평균 임금 차이ㆍ235
[그림 1-1] 3개년 연구 계획 및 내용ㆍ6
[그림 1-2] 연구의 주요 방향ㆍ9
[그림 1-3] 데이터의 생성ㆍ11
[그림 1-4] 실태조사 방안 및 절차ㆍ12
[그림 1-5] 졸업연도별 콘택트 현황ㆍ16
[그림 2-1] 한국의 대학 진학률 추이ㆍ24
[그림 2-2] 주요국의 고등교육 이수자 비중(2005년)ㆍ24
[그림 2-3] 교육투자의 결정ㆍ38
[그림 3-1] 대학입학전형제도와 학생 선발, 대학 교육, 노동시장 간 관계ㆍ60
[그림 5-1] 교수 1인당 학생수ㆍ116
[그림 5-2]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인원ㆍ116
[그림 5-3] 학생 1인당 학비감면 수혜인원ㆍ117
[그림 5-4] 학생 1인당 도서관 예산ㆍ117
[그림 5-5] 교육투자-소득 간 관계ㆍ122
[그림 6-1] 이공계의 비중 변화 추이ㆍ151
[그림 6-2] 이공계와 인문사회계의 경쟁률 비교ㆍ152
[그림 6-3] 근속 연수별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전공 출신의 성과 차이: 1982년 졸업생ㆍ167
[그림 6-4] 근속 연수별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전공 출신의 성과 차이: 1992년 졸업생ㆍ167
[그림 6-5]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사이의 현재가치 차이의 졸업생 코호트 간 비교ㆍ169
[그림 6-6] 고소득 직장에서의 근속 연수별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전공 출신자 사이의 성과 차이: 1982년 졸업생ㆍ174
[그림 6-7] 고소득 직장에서의 근속 연수별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전공 출신자 사이의 성과 차이: 1992년 졸업생ㆍ174
[그림 6-8] 고소득 직장에서의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사이의 현재가치 차이의 졸업생 코호트 간 비교ㆍ175
[그림 7-1] 경력기간별 전공일치도ㆍ193
[그림 7-2] 비이직 경력자의 현 직장 전공일치도 비교ㆍ195
[그림 7-3] 이직 경력자의 현 직장 전공일치도 비교ㆍ195
[그림 7-4] 2회 이상 이직 경력자의 이직단계별 전공일치도ㆍ196
[그림 7-5] 3회 이상 이직 경력자의 이직단계별 전공일치도ㆍ196
[그림 7-6] 2회 이상 이직 공학전공자 및 이학전공자 전공일치도ㆍ197
[그림 7-7] 전공별 숙련축적지수 비교ㆍ198
[그림 7-8] 이공계와 비이공계의 숙력축적도 비교ㆍ198
[그림 7-9] 졸업연도별 전공별 숙련축적지수 비교ㆍ199
[그림 7-10] 비이직자 및 2회 이상 이직경력별 숙련축적지수 비교ㆍ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