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 (II)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 (II) : 총괄보고서

[Establishment of Career Education Model Linked to Curriculum (Ⅱ)] Establishment of Career Education Model Linked to Curriculum (Executive Report)
저자
이지연 이영대 정윤경 최동선 김나라 장석민 정영근 남미숙 이건남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35-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1.30
등록일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진로교육교과통합 진로교육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1. 2차년도 연구 내용 6
   2. 연구 방법(인쇄자료 e-learning 자료 개발 방법) 8
   3. 자료개발 추진 전략 11
제2장  교과통합 진로교육 이해
 제1절  교과통합 진로교육 유용성 17
   1. 개념정의 17
   2. 교과통합 진로교육 철학 20
   3. 교과통합 모형 및 연속선 21
   4. 교과통합 진로교육 유용성 29
   5. 결론 31
 제2절  교과통합 진로교육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33
   1. 개념정의 33
   2. 진로개발 역량 추출 과정 34
   3. 진로개발 역량 범주화 39
   4. 진로개발 역량 상세화 41
   5. 5개 주요 교과목 관련 직업 58
   6. 학교급별 진로개발 역량 수준 59
   7. 2009년 진로개발 역량 범주화에 따른 1차년도 자료시안 빈도 61
   8. 2009년 자료개발에 나타난 진로개발 역량 76
   9. 결론 79
 제3절  교과통합 진로교육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81
   1. 개념 정의 81
   2. 교과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 방법론 82
   3. 일반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84
   4. 과목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법론 102
   5. 2009년 자료개발을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법론 선택 준거 113
   6. 결론 116
 제4절  교과통합 진로교육 어떻게 운영 평가해야 하는가 ? 117
   1.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전반적 학교 운영 절차 117
   2.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세부 수업 운영 방식 126
   3.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평가 132
   4. 결론 137
제3장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개발 
 제1절  자료개발 준비ㆍ과정ㆍ종결 단계 139
   1. 자료개발 준비 단계 139
   2. 자료개발 과정 단계 158
   3. 자료개발 종결 단계 161
   4. 결론 164
 제2절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발 인쇄 자료개발의 과목별 특징 165
   1. 국어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개발 165
   2. 수학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개발 183
   3. 사회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개발 192
   4. 도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개발 206
   5. 기술ㆍ가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개발 217
   6. 초등교육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개발 221
   7. 결론 231
제4장  외국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제1절  미국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33
   1. 미국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괄 233
   2. 미국 교과통합 진로교육 사례 238
   3. 미국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40
   4. 시사점 248
 제2절  프랑스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51
   1. 프랑스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괄 251
   2. 프랑스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56
   3. 시사점 260
 제3절  핀란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62
   1. 핀란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괄 262
   2. 핀란드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68
   3. 시사점 278
 제4절  덴마크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81
   1. 덴마크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괄 281
   2. 덴마크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283
   3. 시사점 289
제5장  교과통합 진로교육 활성화 전략
 제1절  3차년도 연구를 위한 연구학교 운영 293
   1. 2010학년도 정책연구학교 운영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내용 293
   2. 2010학년도 정책연구학교 운영 전략 295
   3. 2010학년도 정책연구학교 운영 평가 303
   4. 결론 303
 제2절  학교 교육과정 상의 진로교육 방향 304
   1. 학교 교육과정 상의 진로교육의 위치와 변화 304
   2. 국가 교육과정 체제 하의 진로 교육과정 구성 현황 307
   3. 학교 교육과정 상의 진로 교육과정 재구상 323
   4. 결론 341
 제3절  진로교육  활성화 전략 342
   1. 국가 및 교과부 차원의 활성화 지원 전략 343
   2. 지방 교육청 차원의 활성화 지원 전략 354
   3. 일선 학교 차원의 활성화 전략 362
   4. 요약 368
제6장  결론 및 제언
SUMMARY 377
<부록 1> 2010학년도 연구학교 운영 계획 381
참고문헌 387
  본 연구의 핵심 목표는 교사지침서 및 학생활동지의 인쇄자료와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효과적 교수-학습 방법을 도와주는 e-learning 매체를 개발하여 3차년도 시범적용 및 보급·확산의 완결성을 지향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as the second year of research work in continuing 3 years of series(2008-2010) with the cooperation of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t begins with the purpose of revitalizing career education responding to rapidly social change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school practitioners. To achieve these purposes, educational goal and motivation in each general subject was integrated with ‘career competency elements’ at the first year of this research(2008).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of research, curriculum for the integrated career education focused on the subject such as ‘Korean Literature’, ‘Mathematics’, ‘Sociology’,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Ethic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level was developed at this second year(2009). Therefore, 6 types of printed and 26 e-learning materials of integrated career education were developed. In addition, both report of ‘international advanced cases for integrated career education’, and ‘comprehensive sum-up research work of 2009’ were published at this year.      
  Even this research was placed upon an inter-mediate phase of full three-year research, the second year of this research plays an essential role for sustaining persistency from the result of first-year research and making continuation to the completion of final-year one.
...
<표 1-1>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연구 세부 목표․5
<표 1-2> 문헌 검토 세부 주제․8
<표 1-3> 워크숍 일정 및 주요 논의 주제․10
<표 1-4> 26개  e-learning 자료 제작방법 및 내용․13
<표 2-1> 진로개발 역량의 하위 요소(초안) - 델파이 조사 제시 자료․36
<표 2-2> 진로교육 관련 주요 개념 정의의 적절성․37
<표 2-3>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진로개발 역량의 하위 요소 및 정의․38
<표 2-4> 자기 이해 및 긍정적 자아개념과 태도 형성 영역에 대한 상세화․46
<표 2-5> 직업세계의 이해 및 긍정적 가치․태도 형성 영역에 대한 상세화․49
<표 2-6>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진로정보 탐색․해석․활용 영역 상세화․52
<표 2-7> 진로계획의 수립․관리․실천 영역에 대한 상세화․54
<표 2-8> 진로 및 개인 삶의 목표달성을 위한 평생학습 참여영역의 상세화․57
<표 2-9> 5개 주요 교과목 관련 직업․59
<표 2-10> 중 1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64
<표 2-11> 중 2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65
<표 2-12> 고 1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66
<표 2-13> 초등 1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67
<표 2-14> 초등 2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68
<표 2-15> 초등 3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69
<표 2-16> 초등 4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70
<표 2-17> 초등 5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71
<표 2-18> 초등 6학년 교과․단원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72
<표 2-19> 학년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 종합․73
<표 2-20> 학년별, 교과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 종합․74
<표 2-21> 학년별, 교과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가능 빈도 종합․75
<표 2-22>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발자료(교과별 16차시)에 포함된 진로개발 역량 빈도-중․고등․76
<표 2-23> 2009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발자료(과목별 16차시) 내에 포함된 진로개발 역량 빈도-초등․77
<표 2-24> 2009년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발자료(과목별 16차시) 내에 포함된 진로개발 역량 빈도 종합․78
<표 2-25> 교수 유형(전략)별 특징․89
<표 2-26> 과목별 교과목표, 교수학습방법 및 진로교육과의 연관성․103
<표 2-27> 2008 교과통합 진로교육 모델 시안 과목별 교수학습법․109
<표 2-28> 1차년도 교과통합 진로교육 모델 시안 과목별 교수학습법 유형별 분류․112
<표 2-29> 교과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 방법 선택․115
<표 2-30> 교과 수업시간 활용 방법의 장․단점․128
<표 2-31> 초등학교의 교과 수업시간 활용 운영 방안(중기)․130
<표 2-32> 중․고등학교의 교과 수업시간 활용 운영 방안(중기)․130
<표 2-33>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을 활용하는 방법․131
<표 2-34>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시간․132
<표 2-35>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안)․136
<표 3-1> 자료개발 준비과정 워크숍 일정 및 주요 논의 내용․140
<표 3-2> 1차 워크숍 진행 순서․142
<표 3-3> 1차년도 자료 시안 검토 설문 및 심층면담 결과 - 중․고등학교․143
<표 3-4> 1차년도 자료 시안 검토 설문 결과 - 초등학교․147
<표 3-5> 2차 워크숍 진행 순서․150
<표 3-6> 자료의 전반적인 구성․151
<표 3-7> 사회교과의 진로교육 내용․153
<표 3-8> 3차 워크숍 진행 순서․155
<표 3-9> 인쇄 자료 구성 형식(도덕과 예시)․156
<표 3-10> 4차 워크숍 진행 순서․158
<표 3-11> 교과별 집중 검토작업 일정 및 논의사항․160
<표 3-12> 초등 및 5개 교과별 교과통합진로교육 디자인․161
<표 3-13> 진로개발 역량과 관련 있는 국어과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요소․168
<표 3-14> 국어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16차시의 교육과정 영역 및 내용요소․181
<표 3-15> 수학과 진로개발 역량 관련성․186
<표 3-16> 사회교과 진로개발 역량 관련성․197
<표 3-17> 도덕과 내용 영역의 명칭과 구성방향․209
<표 3-18> 도덕과 진로개발 역량 관련성․210
<표 3-19> 도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자료 차시별 진로개발영역․216
<표 3-20> 초등교육 진로개발 역량 관련성․226
<표 3-21> 초등학교 학년․교과별 진로개발 역량․230
<표 4-1> Perkins 법안의 목적․241
<표 4-2> 진로교육 통합교과를 위한 미국 주 교육부의 정책 현황․247
<표 4-3> 핀란드 진로교육 관련 법령 및 조항․270
<표 4-4> 덴마크 학교교육법에서의 진로교육 관련 규정․284
<표 4-5> 덴마크 의무교육기간의 교육과정․287
<표 5-1> 운영 규모․299
<표 5-2> 교당 지원 금액․300
<표 5-3> 학교 급별 진로교육 관련 목표․310
<표 5-4>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진로교육 관련 교육목표․313
<표 5-5> 서울시 교육감 인정 진로교육 관련 인정 교과서․322
<표 5-6> 각 교과의 진로교육 주제 및 요소 반영 상황․330
[그림 1-1]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연구의 주요 내용․방법․7
[그림 1-2] e-learning 매체별 제작 장․단점․12
[그림 1-3]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연구의 추진 전략․16
[그림 2-1] 통합교과모형․23
[그림 2-2] 통합교과 연속선․27
[그림 2-3] 전통적인 학교 교실과 SCANS 교실의 비교․31
[그림 2-4] 진로 개발 역량의 하위 요소 추출 과정․35
[그림 2-5] 1차년도 연구에서 제시된 진로개발 역량의 통합을 통한 범주화․41
[그림 2-6] 진로개발 역량 상세화 과정․42
[그림 2-7] 진로개발 역량 상세화 요소․44
[그림 2-8] 학교급별 진로개발 역량의 수준․60
[그림 2-9] 교수학습구조․85
[그림 2-10] 일반적 교수학습의 4가지 모형․86
[그림 2-11] 학습 구성의 주체성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유형․88
[그림 2-12] 교수학습 유형 또는 전략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94
[그림 2-13]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 선택 판단준거․113
[그림 2-14]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과정․121
[그림 3-1] 도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인쇄책자 표지․162 
[그림 3-2] e-learning 수업보조자료 예시: 초3 국어 ‘영미가 아파요’․163
[그림 4-1] 미국 진로교육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주요 이슈․236
[그림 4-2] I-CANS 프로젝트: 교과통합 수업 운영에 필요한 교사 역량․239
[그림 4-3] NRC 모형: 수학 향상 수업의 일곱 가지 요소․243
[그림 4-4] 미국의 교과통합 지원체계․250
[그림 4-5] 프랑스 교육제도․252
[그림 4-6] 기초교육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진로지도 제공에 관한 가이드라인․264
[그림 4-7] 고등학교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진로지도 제공에 관한 가이드라인․265
[그림 4-8] 핀란드의 학교상담자 인력양성 경로․272
[그림 4-9] 국가별 진로지도 담당교사 활용 유형․273
[그림 4-10] CIMO 조직체계․275
[그림 4-11] 웹 기반 직업체험 지원 시스템․277
[그림 5-1] 연구학교 지정 절차․296
[그림 5-2] 진로 교육과정 구성 근거의 수준 및 차원․308
[그림 5-3] 진로 개발 역량과 진로교육․325
[그림 5-4] 교과 통합 진로교육 개념도․329
[그림 5-5] 진로개발 핵심 역량 기반 교과 통합 주제 및 요소 추출․331
[그림 5-6] 범교과 통합 진로교육 기본 개념도․334
[그림 5-7] 학교 교육과정 상의 진로교육 체계․33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Ⅱ) 2009.01.01~2009.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