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Ⅱ)

미국·프랑스·핀란드·덴마크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Establishment of Career Education Model Linked to Curriculum(Ⅱ)] Integrated Curriculum Career Education in U.S., France, Finland and Denmark
저자
이지연 정윤경 김나라 최동선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35-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1.30
등록일
2009.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교과통합 진로교육
제1장  미국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1. 미국 교육시스템 및 진로교육의 특징 1
   가. 미국 교육시스템 1
   나. 미국 진로교육의 변화와 특징 7	
 2. 미국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괄 15
   가. 교과통합 진로교육 필요성 15
   나. 교과통합 진로교육 기본철학 18
   다. 교과통합 진로교육 기본요소 19
   라. 교과통합 진로교육 기본모형 21
 3. 미국 교과통합 진로교육 자료 사례 28
   가. Florida주 학습자원센터: Career Connection 28
   나. Ohio주 학습자원센터: Standard First! 38
   다. 워싱턴 주 학습자원센터: I-CANS 웹사이트 41
   라. 직업 정보 센터 50
 4. 미국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52
   가. 국가 수준 지원: 강력한 법적 지원 52
   나. 협회 및 연구 센터 수준의 전문적 R&D 지원 53
   다. 주(state level) 교육부 수준: 주 교육부 중심의 체계적 예산ㆍ행정 지원 61
   라. 단위 학교 65
 5. 시사점 67
참고문헌 70
제2장  프랑스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1. 프랑스 교육 시스템 및 진로교육 서비스 73
   가. 프랑스 교육 시스템 73
   나. 국가 교육 시스템에서 진로교육의 위치(위상) 83
   다. 진로교육 서비스의 특징 85
 2.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개요 86
   가. 교육과정 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 86
   나. 교육과정 통합 진로교육의 철학 87
   다. 교육과정 통합 진로교육의 기본 요소 88
 3.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사례 93
   가. Jacques Brel 중학교의 진로발견 프로그램 93
 4. 진로교육 지원 시스템 97
   가. 국가 수준 97
   나. 지역 수준 99
   다. 학교 수준 104
 5. 최근 진로교육의 이슈들 107
   가. 사회ㆍ경제적 배경과 진로교육 107
   나. 성별과 진로교육 108
   다. 장애 학생 및 이주 학생의 진로교육 109
   라. 대학에서의 진로교육 110
참고문헌 111
제3장  핀란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1. 핀란드 교육시스템 및 진로교육의 특징 113
   가. 핀란드의 교육시스템 113
   나. 핀란드 진로교육의 위치 및 특성 125
 2. 핀란드 교과통합 진로교육 개괄 129
   가. 국가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운영의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129
   나. 진로교육(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교과영역 133
 3. 핀란드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135
   가. 국가적 지원(법적 근거 포함) 135
   나. 지역(학습자원 넷 포함) 143
 4. 시사점 145
참고문헌 149
제4장  덴마크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1. 덴마크 교육시스템 및 진로교육의 특징 151
   가. 덴마크의 교육제도 151
   나. 덴마크의 진로교육 운영기관 153
 2. 덴마크 교과통합 진로교육 지원체제 158
   가. 진로교육 관련 법령 159
   나. 진로교육 목표 체계 162
   다.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의 위치 165
   라. 진로교육 담당인력 166
 3. 덴마크 교과통합 진로교육 사례 169
   가. 범교과통합 주제: 교육, 직업, 노동시장 입문 169
   나. 학습계획서(Educational Plan) 작성 175
 4. 시사점 180
참고문헌 183
  본 자료집은 3차년도에 걸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의 2차년도(2009년)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영모델 II' 연구 최종 산출물 중 하나로서, 4개 해외 선진 외국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핵심적 특징과 지원체제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우리나라에 접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표 1-1> 성공적인 교과통합에 기여하는 요소․21
<표 1-2> 교과통합 진로교육 수업자료: ‘작문’과목 주 규준 및 핵심작업기술․32
<표 1-3> Perkins 법안의 목적․53
<표 1-4> Math-in CTE 시행 핵심 원칙․57
<표 1-5> 진로교육 통합교과를 위한 미국 주 교육부의 정책 현황․64
<표 2-1> 일반 및 기술고등학교의 일반교육과정․78
<표 2-2> 일반 및 기술고등학교의 기술교육과정․78
<표 2-3> 직업고등학교의 교육과정․80
<표 2-4> 진로발견 과목의 교육내용․92
<표 2-5> 진로발견 프로그램의 학생 현황(2007.9~2008.8)․93
<표 2-6> 연도별 6시간의 진로발견 프로그램 참여 학생․93
<표 3-1> 종합학교 학교수 및 학생수․116
<표 3-2> 기초교육(종합학교) 의무교육과정의 과목별 최소 이수단위표․117
<표 3-3> 기초교육 직후 종합학교 졸업자의 계속교육 선택 추이․119
<표 3-4> 일반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이수 편성표․122
<표 3-5> 일반고등학교 학생수 및 졸업시험 합격자수 ․123
<표 3-6> 핀란드 진로교육 관련 법령 및 조항․137
<표 4-1> 청소년 진로지도센터 및 지역 진로지도센터의 개요․158
<표 4-2> 덴마크 학교교육법에서의 진로교육 관련 규정․160
<표 4-3> 덴마크 진로지도법의 개요․161
<표 4-4> 덴마크의 진로교육 목표 체계․163
<표 4-5> 덴마크 의무교육기간의 교육과정․166
<표 4-6> 덴마크 진로교육 담당인력의 학사학위 프로그램 구성․168
<표 4-7> 덴마크 진로교육 담당인력의 석사학위 프로그램 구성․169
<표 4-8> 교육․직업․노동시장 입문 지도안: 1~3학년․171
<표 4-9> 교육․직업․노동시장 입문 지도안: 4~6학년․172
<표 4-10> 교육․직업․노동시장 입문 지도안: 7~9학년․174
<표 4-11> 학습계획서에 관한 시행령 개요․175
<표 4-12> 6학년 학습계획서 작성 활동․177
<표 4-13> 7학년 학습계획서 작성 활동․178
<표 4-14> 8학년 학습계획서 작성 활동․179
[그림 1-1] 미국 일반 교육체제 구조 ․ 2
[그림 1-2] 미국 연방 교육부 조직 구조 ․ 3
[그림 1-3] 미국의 학제 ․ 5
[그림 1-4] 미국 진로교육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주요 이슈 ․ 10
[그림 1-5] 미국 중고등학교 교육 분류 - 진로․기술교육의 위치 ․ 13
[그림 1-6] 전통적인 학교 교실과 SCANS 교실의 비교 ․ 18
[그림 1-7] 통합교과모형 ․ 22
[그림 1-8] 통합교과연속선 ․ 25
[그림 1-9] 플로리다의 학습자원센터 메인 페이지: Career Connection ․ 29
[그림 1-10] CTE/FCAT 연계 프로젝트 예시: <자기 평가하기> ․ 31
[그림 1-11] CTE/FCAT 연계 프로젝트의 예시: 프로젝트 소개 ․ 33
[그림 1-12] CTE/FCAT 연계 프로젝트의 예시: 작문 수업 ․ 34
[그림 1-13] Career Connection 웹사이트: 일-기반자료 ․ 36
[그림 1-14] Career Connection 웹사이트: CTE 학과별 가이드 ․ 37
[그림 1-15] Career Connection 웹사이트: 진로 및 직업교육 수업계획자료 ․ 37
[그림 1-16] Standard First 웹사이트: 수업자료 검색 ․ 40
[그림 1-17] Standard First 웹사이트: 영어교과목 수업 자료 예시 ․ 41
[그림 1-18] I-CANS 웹사이트: 목차 ․ 43
[그림 1-19] I-CANS 프로젝트: 교과통합 수업 운영에 필요한 교사 역량 ․ 44
[그림 1-20] I-CANS 주제학습 과정: 교사용 수업 활동 예시 ․ 45
[그림 1-21] I-CANS 수업 활동 예시 ․ 46
[그림 1-22] I-CANS 수업 활동 자료: 브레인스토밍 ․ 46
[그림 1-23] I-CANS 웹사이트: 평가(assessment)자료 목록 ․ 47
[그림 1-24] I-CANS 프로그램 평가 필요성 ․ 48
[그림 1-25] I-CANS 평가 체계 ․ 49
[그림 1-26] I-CANS 평가 자료 예시: 포트폴리오 색인 ․ 50
[그림 1-27] 직업 정보 센터(Vocational Information Center) 웹사이트 ․ 51
[그림 1-28] NRC 모형: 수학 향상 수업의 일곱 가지 요소 ․ 58
[그림 1-29] Math-in CTE 수업 예시: 피타고라스 정리 ․ 58
[그림 1-30] Math-in CTE 수업 예시: 자동차 기술 영역 ․ 60
[그림 1-31] 미국의 교과통합 지원체계 ․ 69
[그림 2-1] 프랑스 교육체계 ․ 74
[그림 3-1] 핀란드의 교육 학제 ․ 115
[그림 3-2] 온라인 종합지원시스템 ․ 120
[그림 3-3] 핀란드의 진로교육 체계 개요도 ․ 127
[그림 3-4] 기초교육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진로지도 제공에 관한 가이드라인 ․ 131
[그림 3-5] 고등학교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진로지도 제공에 관한 가이드라인 ․ 132
[그림 3-6] 핀란드의 학교상담자 인력양성 경로 ․ 139
[그림 3-7] 국가별 진로지도 담당교사 활용 유형 ․ 140
[그림 3-8] CIMO의 조직체계 ․ 142
[그림 3-9] 웹 기반 직업체험 지원 시스템 ․ 144
[그림 4-1] 덴마크의 교육 체계 ․ 152
[그림 4-2] 덴마크의 진로교육 운영 체계 ․ 15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Ⅱ) 2009.01.01~2009.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