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 실태분석 및 경쟁력 제고 방안

산업인력 수요와 민간직업능력 개발시장의 인력양성 구조 분석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Vocational Skills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Vocational Skills Competitiveness] Analysis of Industrial Manpower Demand and Privat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Market's Manpower Development Structure
저자
장홍근 김수원 권순원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36-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산업인력 수요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3
 제3절  연구의 방법과 자료 3
 제4절  연구의 한계 4
제2장  산업인력 수요와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 인력공급의 비교 분석
 제1절  분석의 의의와 방법 5
 제2절  산업인력 수요 구조 7
 제3절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인력양성 공급 구조 49
 제4절  소결 91
제3장  산업현장 요구 직능수준과 훈련공급 수준의 비교
 제1절  분석의 의의와 방법 95
 제2절  한국 기업의 숙련 문제 99
 제3절  3개 직종별 직능수준별 인력 수요와 훈련공급 103
 제4절  지역별ㆍ직종별ㆍ직능수준별 인력 수요와 훈련공급 119
 제5절  소결 130
제4장  향후 산업발전의 전망과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과제
 제1절  향후 산업발전의 전망 133
 제2절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과제 137
 제3절  소결 142
제5장  요약 및 정책 제언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145
 제2절  시사점 및 정책 제언 148
참고문헌 151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의 실태 및 경쟁력 제고방안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산업인력 수요에 대해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이 어느 정도 부응하고 있는지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민간직업훈련시장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표 2-1> 지역별 채용인원의 산업별 분류 Ⅰ․9
<표 2-2> 지역별 채용인원의 산업별 분류 Ⅱ․12
<표 2-3> 지역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 Ⅰ․15
<표 2-4> 지역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 Ⅱ․16
<표 2-5>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Ⅰ․19
<표 2-6>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Ⅱ․20
<표 2-7> 서울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22
<표 2-8> 부산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24
<표 2-9> 대구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26
<표 2-10> 인천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28
<표 2-11> 광주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29
<표 2-12> 대전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30
<표 2-13> 울산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33
<표 2-14> 경기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34
<표 2-15> 강원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36
<표 2-16> 충북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37
<표 2-17> 충남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39
<표 2-18> 전북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41
<표 2-19> 전남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43
<표 2-20> 제주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44
<표 2-21> 경북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46
<표 2-22> 경남지역: 산업분야별 채용인원의 사업체 규모별 분류․48
<표 2-23> 지역별 직업훈련 인원의 훈련직종별 분류Ⅰ(훈련분류 코드 대)․51
<표 2-24> 지역별 직업훈련 인원의 훈련직종별 분류Ⅱ(훈련분류 코드 대)․54
<표 2-25> 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57
<표 2-26> 전국지역-훈련유형별 인원 Ⅰ․59
<표 2-27> 전국지역-훈련유형별 인원 Ⅱ․60
<표 2-28> 서울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62
<표 2-29> 부산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64
<표 2-30> 대구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66
<표 2-31> 인천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68
<표 2-32> 광주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70
<표 2-33> 대전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72
<표 2-34> 울산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74
<표 2-35> 경기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75
<표 2-36> 강원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77
<표 2-37> 충북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79
<표 2-38> 충남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80
<표 2-39> 전북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82
<표 2-40> 전남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84
<표 2-41> 제주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86
<표 2-42> 경북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88
<표 2-43> 경남지역-훈련분류에 따른 훈련유형별 인원․90
<표 3-1> 3개 분야 훈련직종 코드와 고용직업분류 코드의 연계코드․98
<표 3-2> 숙련부족 근로자가 있는 기업․100
<표 3-3> 숙련부족 근로자가 회사경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101
<표 3-4> 숙련부족 근로자로 인한 영향․102
<표 3-5> 숙련부족 근로자에 따른 영향 해소 노력․103
<표 3-6>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기계․장비 분야 전체․104
<표 3-7>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기계가공, 조립 분야․105
<표 3-8>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설계, 제도 분야․105
<표 3-9>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정비, 설비 분야․106
<표 3-10>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운전 분야․107
<표 3-11>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용접, 판금 분야․108
<표 3-12>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기타 기계․장비 분야․109
<표 3-13>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구조_전기, 전자 분야 전체․110
<표 3-14>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전기전자 기기, 설비, 제어․110
<표 3-15>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전기전자 조립, 가공 등․111
<표 3-16>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동력 생산․112
<표 3-17>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전기공사․113
<표 3-18>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기타 전기, 전자․113
<표 3-19>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정보통신 분야 전체․114
<표 3-20>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통신설비 운용․115
<표 3-21>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설치, 수리․116
<표 3-22>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시스템․116
<표 3-23>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프로그래밍․117
<표 3-24>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데이터베이스․118
<표 3-25>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정보, 통신 응용 기타․119
<표 3-26> 서울․경인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기계․장비 분야․120
<표 3-27> 서울․경인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전기, 전자 분야․121
<표 3-28> 서울․경인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정보통신 분야․122
<표 3-29> 강원․충청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기계․장비 분야․123
<표 3-30> 강원․충청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전기, 전자 분야․123
<표 3-31> 강원․충청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정보통신 분야․124
<표 3-32> 호남․제주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기계․장비 분야․126
<표 3-33> 호남․제주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전기, 전자 분야․126
<표 3-34> 호남․제주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정보통신 분야․127
<표 3-35> 영남지역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기계, 장비 분야․128
<표 3-36> 영남지역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전기, 전자 분야․129
<표 3-37> 영남지역 직능수준별 훈련인력 수급_정보통신 분야․12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민간직업능력개발시장 실태분석 및 경쟁력 제고 방안 - 수요자 중심 직업능력개발체제 구축을 중심으로 - 2009.01.01~200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