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코리안 인재의 개발·활용을 위한 네트워킹 방안
A Research on Global Korean Networking
- 저자
- 박동 강일규 이영대 정지선 황규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3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글로벌 코리안 인재재외동포 정책인재 네트워크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5 1. 연구의 내용 5 2. 연구의 방법 6 3. 연구의 범위 및 한계 7 제2장 글로벌 코리안 인재 실태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 제1절 ‘글로벌 코리안 인재’의 개념과 문제점 9 제2절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 16 1. 디아스포라의 개념 16 2. 글로벌 시대의 디아스포라: 초국가주의 20 3. 디아스포라의 유형과 이론적 함의 28 제3장 정부의 재외동포 정책 및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 실태분석 제1절 정부의 재외동포 정책 추진 현황 37 1. 정부의 재외동포 정책 추진경과 37 2. 재외동포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39 3. 재외동포 정책 기구 43 제2절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 실태 분석 46 1. 재외동포 네트워크의 현황 개관 46 2. 재외동포 글로벌 네크워크 실태분석 50 3.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의 특성 평가 56 제4장 주요국의 재외동포 정책 및 네트워크 실태분석 제1절 중국의 재외동포 정책 및 네트워크 실태분석 59 1. 화교: 상업 디아스포라 59 2. 중국의 재외동포 정책 63 3. 중국의 재외동포 네트워크 실태분석 74 4. 시사점 80 제2절 인도의 재외동포 정책 및 네트워크 실태분석 82 1. 인교: 노동 디아스포라 82 2. 인도의 재외동포정책 85 3. 인도의 재외동포 네트워크 실태분석 92 4. 시사점 103 제3절 이스라엘의 재외동포 정책 및 네트워크 실태분석 105 1. 유대인: 원형 디아스포라 → 헤게모닉 디아스포라 105 2. 이스라엘의 재외동포정책 109 3. 이스라엘의 재외동포 네트워크 실태분석 124 4. 시사점 135 제4절 해외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비교와 시사점 137 제5장 글로벌 코리안 인재 네트워킹을 위한 현황 분석 제1절 중국내 재외동포 네트워크 현황 분석 143 1. 재중동포: 노동 디아스포라 143 2. 재중동포 네트워크 실태분석 147 3. 실태평가 및 시사점 155 제2절 미국내 재외동포 네트워크 현황 분석 157 1. 재미동포: 경제·문화 디아스포라 157 2. 재미동포 네트워크 실태분석 165 3. 실태평가 및 시사점 173 제3절 일본내 재외동포 네트워크 현황분석 175 1. 재일동포: ‘노동 디아스포라 → 상업 디아스포라 175 2. 재일동포 네트워크 실태분석 189 3. 실태평가 및 시사점 193 제4절 재외동포 네트워크의 비교와 시사점 194 제6장 글로벌 코리안 인재 네트워킹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제1절 통합적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 구축 199 제2절 글로벌 코리안 인재 정책을 위한 인프라 구축 203 제3절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학생 해외진출 촉진 207 제4절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수집 체계 구축 214 제7장 결론 SUMMARY 227 참고문헌 231
이 연구는 해외 각국의 재외동포 네트워크 실태분석 및 시사점 도출, 중국, 미국, 일본 등에 거주하는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의 현황에 대한 분석 등에 기초하여 우리의 재외동포 글로벌 통합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구체적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연구결과 화교, 인교, 유대교 등은 민족이산의 시기에 외부적 강제성의 정도에 있어서 커다란 편차가 존재하였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네트워킹 수준에서도 다양한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우리 재외동포 디아스포라도 거주국의 소수민족정책 및 기능집단에 대한 정책, 모국의 정치적 상황 등의 변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로벌 코리안의 발전을 위해서는 글로벌 코리안 통합네트워크의 조기 구축 및 활서오하, 글로벌 코리안 인재정책을 위한 인프라 구축,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학생 해외진출 촉진,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수집 체계 구축 등의 정책과제들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s of overseas Koreans often referred as Global Koreans and to draw lessons. It also pursued the specific measures of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integrating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networking conditions of Global Koreans residing in China, USA and Japan. To achieve this goal, we focused on analyzing the following issues. First, theoretical reviews were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s of Global Korean human resources, diaspora, and transnationalism.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Global Korean network, and the governmental policies of overseas Koreans. Third, the policies and networking situations of overseas Chinese, Indians, and Israelis are analyzed, and lessons are drawn from the foreign cases. Fourth, current networking situations are explored to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of global Korean network. Fifth, policy measures are suggested to build global Korean human resources database, to guide college students to study abroad utilizing the network, and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systems. ...
<표 2-1> 세계 각국의 재외동포 절대규모의 순위(추정치)․10 <표 2-2> 2009년 기준 재외동포 현황 총계․14 <표 3-1>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의 종류와 특성․47 <표 3-2> 글로벌 코리안 온라인 네트워크와 추진주체․48 <표 3-3> 연도별 한상대회 개최 결과․52 <표 4-1> 주요 국가별 화교의 분포 현황․61 <표 4-2> 시대별 화교의 유형 변화․62 <표 4-3> 세계화상대회 개최현황․78 <표 4-4> 인도국적을 가진 비거주인도인 현황(2007년 기준)․84 <표 4-5> 인교의 모국송금 현황․100 <표 4-6> 재외인도인의 국가별 네트워크 현황(2004년 7월 현재)․102 <표 4-7> 세계 유대인의 분포현황(2004)․108 <표 4-8> 이스라엘 독립 후 이스라엘에 정착한 이민자 수․110 <표 4-9> 이민자에 대한 지원 규정․121 <표 4-10> 세계의 주요 유대인 단체․131 <표 4-11> 화교, 인교, 유대인 네트워크의 비교․138 <표 5-1> 중국지역 재외동포 현황․144 <표 5-2> 주중국대사관 등록 재외동포․145 <표 5-3> 중국의 지역·직업별 재외동포 구성비․146 <표 5-4> 중국지역 별 한인단체 현황․146 <표 5-5> 재중 한인 유학생 현황․148 <표 5-6>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 업종별 투자 추이․151 <표 5-7>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 업종별 투자 추이․151 <표 5-8> 조선족 다수 거주 지역의 조선족 현황․153 <표 5-9> 재미동포의 세대별 직업분포․164 <표 5-10> 해방이전 미주 이민 초기 한인단체 주요활동․167 <표 5-11> 재미동포단체 현황․169 <표 5-12> 재미한인단체의 기능상 분류․170 <표 5-13> 일본의 공식 외국인 등록자 수․176 <표 5-14> 재일동포의 거주지역별 현황․178 <표 5-15> 거주자격별 재일동포 현황․179 <표 5-16> 출신지별(본적지별) 분포․180 <표 5-17> 재일동포의 성별 고용형태 및 일본인 고용형태와의 비교․183 <표 5-18> 재일한인의 업종별 고용 형태(2000년 기준)․184 <표 5-19> 1989년, 1999년, 2005년 재일 코리안 기업인 업종별 분포 비교․185 <표 5-20> 재일동포 취업현황․186 <표 5-21> 재일동포의 연도별 직업구성의 변화․187 <표 5-22> 재일동포의 고용 및 실업률․188 <표 6-1> 글로벌 청년리더 10만 명 양성사업의 추진주체 및 목표인원․208 <표 6-2> 인도 인턴사업 및 인도진출 기업 활용 사례․212 [그림 2-1] 우리나라의 재외동포현황․13 [그림 2-2] 사회형태로서 디아스포라의 3자적 관계․19 [그림 2-3] 디아스포라의 유형 분류․30 [그림 3-1] 신정부의 재외동포 정책의 기본목표와 주요 추진방향․40 [그림 5-1]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추이․150 [그림 5-2] 재미동포 현황․161 [그림 5-3] 재일동포 수의 변화 추이․17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글로벌 코리안 인재의 개발·활용을 위한 네트워킹 방안 | 2009.05.01~200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