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소년을 위한 해외진로 정보수집 및 구축방안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Constructing Overseas Career Information for Youth
저자
조은상 이영대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4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청소년진로정보해외취업해외진출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사업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사업 내용 및 방법 2
 제3절  연구사업의 제한점 3
제2장  글로벌라이제이션 시대의 도래와 청소년 해외진출
 제1절  글로벌라이제이션 시대와 청소년의 해외경험 5
 제2절  정부의 해외취업관련 정부사업 확대와 해외경험 여부 8
제3장  청소년들의 해외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의식과 준비정도
 제1절  해외유학과 취업에 대한 인식 13
 제2절  청소년들의 해외취업에 대한 준비정도 26
 제3절  초등학생 때 해외경험 28
제4장  청소년에 대한 해외정보의 수집 및 제공 현황과 청소년의  활용정도
 제1절  진로정보의 개념과 중요성 33
 제2절  청소년의 유학 및 취업 등 진로정보의 활용정도 34
 제3절  해외 진로정보 수집과 제공 현황 41
   1. 진로정보의 수집 41
   2. 진로정보 분석, 가공 및 축척 51
   3. 진로정보의 제공방법 52
제5장  해외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청소년에게 필요한 진로정보
 제1절  전문가 집단의 심층인터뷰 방식 55 
 제2절  해외진출 전문가 면담 조사 57
제6장  해외 취업의 유형
 제1절  전문직 93
   1. 국제기구 공무원 93
   2. 무역사무원 97
   3. 귀금속 디자이너 101
 제2절  서비스 전문직 102
   1. 간호사 102
   2. 치과기공사 108
   3. 한국어강사 (호주) 109
   4. 조리사 111
 제3절  기술기능직 113
   1. 컴퓨터 프로그래머 113
   2. 건설기계 운전원 (미국) 116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정부 120
 제2절  초ㆍ중등학교 123
 제3절  대학교 124
SUMMARY  127
부록: 설문지 129
참고문헌 135
  해외 진로정보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문헌연구 및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였고, 청소년들의 해외취업에 대한 인식과 알고 싶은 진로정보 파악을 위해 해외진로정보에 대한 청소년들의 활용실태를 청소년 200명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하였다. 또한 청소년에게 필요한 해외 진로 및 취업 정보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해외에서 취업한 전문가들과 면대면 혹은 이메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 초ㆍ중ㆍ고생들의 경우 해외진로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충분한 답변이 나오지 않아 해외유학박람회에 참가한 청소년(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과거 본인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청소년에게 필요한 해외진로정보에 관하여 답변하게 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모든 청소년의 경우로 일반화할 수 없는 것이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tries to present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constructing the overseas career information for young people as the infra system of overseas job information, overseas career path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he current career information for youth mainly focused on the domestic information. 
  The overseas experts were interview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overseas employment, the essential information for overseas employment, such as types of occupations and countries, the methods by which the overseas job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youth, and success factors and strategy of obtaining overseas job.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to collect and construct the overseas career information of youth. The government needs to design the long-term road-map for collecting and constructing the overseas career information, introduce the overseas career information to the students through foreign language-teaching teachers, operate the public web-sites for overseas job information, construct a system linking and evaluating overseas internship, service programs and overseas employment, and finally develop and distribute the overseas job world report . 
  The policy sugges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universities are request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overseas jobs by college students,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nd information on overseas employment, develop the communication skills by the students, build the overseas employment assistance center and finally establish overseas branch for overseas network. 
  School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need to provide the overseas career and job information to the students, link the curriculum and overseas employment, construct the network of overseas career path and employment for youth, and finally utilize the cyber room for overseas expert-mentee.
<표 1-1> 연구내용 및 방법․3
<표 2-1> 해외취업관련 정부지원 사업․8
<표 2-2> 2013년까지 정부지원 글로벌 청년리더 10만 명 양성 계획․10
<표 2-3> 주요대학의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11
<표 3-1> 외국 가서 공부할 의향․13
<표 3-2> 해외활동참여의향․14
<표 3-3> 해외취업의향․14
<표 3-4> 해외 유학에 대한 생각․14
<표 3-5> 해외 취업에 대한 생각․15
<표 3-6> 외국에서 일 할 기회가 주어진다며․15
<표 3-7> 해외 취업 이유․16
<표 3-8> 해외취업의향별 세계화된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17
<표 3-9> 해외취업의향별 자신의 영어실력․17
<표 3-10> 해외취업의향별 미래에 필요한 외국어 수준․18
<표 3-11> 해외취업의향별 분명한 인생 목표․19
<표 3-12> 진로나 직업을 스스로 선택·해외 취업 의향․19
<표 3-13> 해외취업의향별 직업 선택 고려사항 1․20
<표 3-14> 해외취업의향별 직업 선택 고려사항 2․20
<표 3-15> 해외취업의향별 선호하는 직장 형태․21
<표 3-16>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과의 접촉 경험․22
<표 3-17> 해외취업의향별 국제 교류 경험 난감한 점․22
<표 3-18>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과 접촉 경험․23
<표 3-19>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과 접하게 된 계기․23
<표 3-20>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 교류 목적․24
<표 3-21> 해외취업의향별 외국 방문 목적․25
<표 3-22> 해외취업의향별 외국 직업이나 학과에 대한 정보․25
<표 3-23> 해외취업의향별 다문화권 생활 가능 여부․27
<표 3-24> 해외취업의향별 국제적 통용 자격증․27
<표 3-25> 외국 방문 경험․28
<표 3-26> 외국 방문 목적․28
<표 3-27> 체류기간․29
<표 3-28> 첫 방문시기․29
<표 3-29> 방문국가․29
<표 4-1> 외국 직업이나 학과에 대한 정보․35
<표 4-2> 외국 진로정보 자료 충분 여부․35
<표 4-3> 외국 진로자료를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35
<표 4-4> 해외 관련 진로 자료를 제공 받고 있는 곳․36
<표 4-5> 해외 관련 진로 자료를 활용하지 못 하는 이유․36
<표 4-6> 외국 대학 진로정보 자료 유형․37
<표 4-7> 진학 정보 자료 출처․37
<표 4-8> 외국 대학에 대해 알고 싶은 점․38
<표 4-9> 직업 취업 자료 출처․39
<표 4-10> 외국 진로 상담 방법 희망․40
<표 4-11> 외국 정보 수집방법․40
<표 4-12> 외국직업에 대해 알고 싶은 점 1순위․4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청소년을 위한 해외진로정보 수집 및 구축방안 2009.07.01~200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