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산업별 직종구조를 반영한 연산일반균형모형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 Skill-Extended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Model: Based on the Sectoral Skill Structure of Korean Economy
저자
박재민 송창용 이정수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4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28
등록일
2009.12.28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연산일반균형모형직종구조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3
제2장  인적자원과 성장 5
 제1절  경제성장과 인적자원 5
 제2절  기술혁신과 숙련편향성 9
   1. 숙련-편향적 기술변화 9
   2. 자본-숙련 보완성 가설 13
   3. 타고난 숙련과 Nelson-Phelps 가설 15
   4. 내생적 숙련-편향적 기술 변화 17
   5. 숙련편향성에 관한 최근의 논의 19
제3장  사회계정행렬의 개발 21
 제1절  사회계정행렬의 정의 21
 제2절  사회계정행렬의 구조 22
   1. 국민계정체계 개관 22
   2. 사회계정행렬모형의 사례 26
 제3절  사회계정행렬의 개발 32
   1. 기본모형 32
   2. 산업분류체계 40
   3. 숙련구조를 반영한 사회계정행렬(Skill-extended SAM)의 개발 44
제4장  연산일반균형모형의 개발 53
 제1절  연산일반균형모형의 기본구조 53
 제2절  연산일반균형모형의 방정식 체계 55
   1. 가격 방정식 체계 55
   2. 수량 방정식 체계 57
   3. 소득 방정식 체계 59
   4. 지출 및 균형 방정식 체계 61
   5. 거시경제 종결(closure) 64
   6. 집계 방정식과 변수 67
 제3절  모형의 모수 결정 68
   1. 생산 및 무역 집계 함수 68
   2. 요소가격 부문별 비율 71
   3. 소득 방정식의 조세 및 저축율 72
   4. 지출의 부문별 구성 73
제5장  숙련-확장된 연산일반균형모형의 개발 75
 제1절  기준년도의 재현 75
 제2절  숙련구조의 모형화 85
제6장  향후 연구방향 95
Summary 97
<부록 1> 숙련구조를 반영한 사회계정행렬(SAM) 103
<부록 2> GAMS 코드 119
참고문헌 129
  인적자본과 관련한 제반 정책들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국민경제 전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섹터에 걸쳐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정책효과에 대해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연구에서 다소 부족하였던 이러한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 정책연구에서 많은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 표준적인 CGE 모형을 확장하여 산업별 직종구조를 반영한 CGE 모형을 개발을 시도하였다. 또한 모형 운용에 필수적인 확장된 SAM의 개발도 함께 추진하였다. 
  The structural equation system for the overall national economy must be able to systematically comprehend the general trend of the complicated national economy, and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types of economic policies or the changes an economic system has on economic variables.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is expressed as an equation system describing the general balance of the economy, which enables researchers make a concrete assumption on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production factor, preference relationship and production technologies into an abstract general equilibrium. Thus, many researchers consider the CGE model as a realistic form of the general equilibrium theory and a useful tool in analyzing economic effects depending on system changes or economic policies in the light of general equilibrium. 
  Recent studies show that innovations in technology and manpower serve as motivational force for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accelerate the expansion of superior manpower by investing in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light of nation is a precondition for continuous innovation. Meanwhile, formulating policies related to manpower should be preceded with the appreciation of the policy effect appearing in various different sectors after systematically determining the overall national economy. In this study, to supplement this aspect, we tried to develop and expand the standard CGE model, which has much utility in policy research. This study’s main contents consist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Accounting Matrix(SAM) and the CGE model reflecting skill structure. 
  First, the Social Accounting Matrix(SAM) is the table in which connections related to production, consumption and accumulation in a certain economy are arranged so that the sum of each line can coincide with that of each row using the matrix accounting system composed of accounts with identical lines and rows. Thus, information concerning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in a certain country and region are consistently organized, thereby providing a statistical basis for the CGE model. 
  In the CGE model, as connection relations, functional form and setting of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s of policy analysis are determined by the researcher, the model is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temperament and intention. As a result, the model is sensitive to such factors. In addition, the estimation of various parameters is required in the deciding process of production function, consumption function and export/import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model. This aspect should be supported with microscopic research. Also, related economic variables and policy tools should precede an effective analysis of skill policies in the near future. If the CGE model is utilized in policy analysis,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remarks, it can be safely concluded that the CGE model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making an investigation of various policy alternatives.
<표 1-1> 연구내용 및 방법․3
<표 2-1> 해외취업관련 정부지원 사업․8
<표 2-2> 2013년까지 정부지원 글로벌 청년리더 10만 명 양성 계획․10
<표 2-3> 주요대학의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11
<표 3-1> 외국 가서 공부할 의향․13
<표 3-2> 해외활동참여의향․14
<표 3-3> 해외취업의향․14
<표 3-4> 해외 유학에 대한 생각․14
<표 3-5> 해외 취업에 대한 생각․15
<표 3-6> 외국에서 일 할 기회가 주어진다며․15
<표 3-7> 해외 취업 이유․16
<표 3-8> 해외취업의향별 세계화된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17
<표 3-9> 해외취업의향별 자신의 영어실력․17
<표 3-10> 해외취업의향별 미래에 필요한 외국어 수준․18
<표 3-11> 해외취업의향별 분명한 인생 목표․19
<표 3-12> 진로나 직업을 스스로 선택·해외 취업 의향․19
<표 3-13> 해외취업의향별 직업 선택 고려사항 1․20
<표 3-14> 해외취업의향별 직업 선택 고려사항 2․20
<표 3-15> 해외취업의향별 선호하는 직장 형태․21
<표 3-16>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과의 접촉 경험․22
<표 3-17> 해외취업의향별 국제 교류 경험 난감한 점․22
<표 3-18>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과 접촉 경험․23
<표 3-19>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과 접하게 된 계기․23
<표 3-20> 해외취업의향별 외국인 교류 목적․24
<표 3-21> 해외취업의향별 외국 방문 목적․25
<표 3-22> 해외취업의향별 외국 직업이나 학과에 대한 정보․25
<표 3-23> 해외취업의향별 다문화권 생활 가능 여부․27
<표 3-24> 해외취업의향별 국제적 통용 자격증․27
<표 3-25> 외국 방문 경험․28
<표 3-26> 외국 방문 목적․28
<표 3-27> 체류기간․29
<표 3-28> 첫 방문시기․29
<표 3-29> 방문국가․29
<표 4-1> 외국 직업이나 학과에 대한 정보․35
<표 4-2> 외국 진로정보 자료 충분 여부․35
<표 4-3> 외국 진로자료를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35
<표 4-4> 해외 관련 진로 자료를 제공 받고 있는 곳․36
<표 4-5> 해외 관련 진로 자료를 활용하지 못 하는 이유․36
<표 4-6> 외국 대학 진로정보 자료 유형․37
<표 4-7> 진학 정보 자료 출처․37
<표 4-8> 외국 대학에 대해 알고 싶은 점․38
<표 4-9> 직업 취업 자료 출처․39
<표 4-10> 외국 진로 상담 방법 희망․40
<표 4-11> 외국 정보 수집방법․40
<표 4-12> 외국직업에 대해 알고 싶은 점 1순위․4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위탁수시)산업별 직종구조를 반영한 연산일반균형모형 개발 연구 2009.07.29~2009.12.28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