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인력양성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Indices for Evaluation of Junior Colleges' Educational Outcomes
- 저자
- 이기종 박지혜 김재현 유한구 강홍준 박혜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4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전문대학인력양성전문대학 성과평가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5 제3절 연구의 방법 6 제2장 선행연구 제1절 전문대학 교육성과의 개념 및 의의 17 제2절 국내외 대학평가의 개관 22 제3장 연구결과 제1절 교육환경지표 65 제2절 교육활동지표 81 제3절 교육성과지표 113 제4장 논의 및 제언 제1절 논의 125 제2절 제언 128 SUMMARY 133 [부록 1] 전문대학 성과평가에 대한 델파이 조사(1차) 137 [부록 2] 전문대학 성과평가 지표목록(1차) 140 [부록 3] 전문대학 성과평가에 대한 델파이 조사(2차) 145 [부록 4]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0 [부록 5] 우선순위 결정 과정 153 [부록 6] 전문대학 교육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측정방법 타당성 검증:교수 및 학교관계자 156 [부록 7] 전문대학 교육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측정방법 타당성 검증:학생 및 산업체 관계자 163 [부록 8] 평가지표 및 측정방법에 대한 현장논의 168 참고문헌 183
학령인구의 84%가 고등교육기관에 진학하는 우리의 현실에서도 일부 전문대학의 신입생 미달과 재학생 등록감소 현상은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이는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에도 기인하지만 전문대학 교육성과의 질에 관한 의구심이 사화전반에 팽배함에도 기인한다. 전문직업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대학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적자원을 제대로 길로내지 못하면 전문대학 뿐만 아니라 사회전체의 문제가 된다. 여기에 전문대학 교육성과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의 당위성이 있다. 본 연구는 전문대 교육기관에 나타난 모든 성장과 변화를 교육성과라고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입학 당시에는 없었던 것이 새롭게 나타난 것이나 기존의 것이라도 변용되어 더 발전된 것을 성장과 변화의 증거로 보고 이를 교육성과라고 정의하였다. 즉 입학과 졸업의 두 시점 사이에 발생한 모든 성장과 변화가 교육성과인 것이다. 이렇게 규정된 교육성과를 전문대학 규모, 계열, 설립연도 등과 무관하게 측정하여 공정성과 형평성을 추구하고 이를 자리매김의 지표로 삼았다. 전문대학 교육성과 논의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누구의 시각으로 교육성과를 보는가이다. 전문대학과 직간접으로 이해관계가 있는 이해당사자는 대별하면 전문대 경영자, 교직원, 학생, 학부모, 산업체 등이며, 이들을 다시 분류하면 크게 교육행위 제공자와 수요자로 나뉜다. 여기서는 교육행위의 직접적 수혜자인 학생과 졸업 후 학생을 고용하는 산업체로 대변되는 수요자의 관점에서 교육성과를 논의한다. 공급자와 수요자라는 시장의 틀로 교육행위를 조망하는 것이 비교육적이라고 할 수도 있으나, 수요자인 학생과 산업체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 전문대학의 궁극적으로 존재이유가 없어지게 되고 그 피해는 수요자에게 돌아간다는 점에서 연구의 중심에 두었다. 위와 같은 입장에서 교육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 구안과정에서 델파이 조사, 전문가 협의회, 평가지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집중작업, 선택된 평가지표 타당화를 위한 설문조사, 권역별 전문대 의견수렴 등이 사용되었다. 전문대학 교육행위에 관계된 제반 요소를 크게 교유환경, 교육활동, 교육성과로 구분하고 각각을 잘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평가지표를 구안하고 교육현장과 관련하여 이들 지표의 함의를 논하였다. 여기서 개발된 평가지표는 전문대학 교육현장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것이며 간호계열, 공학계열, 예술계열 같은 각 유형별 전문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계열별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평가지표가 추가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이 양자가 서로 보완되면 보다 적확하게 전문대학 교육현장을 가치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요내용 - 전문대학 교육성과의 개념 및 의의 - 국내외 대학평가의 개관 - 교육환경지표 - 교육활동지표 - 교육성과지표
It is apparent that in the era of population decline Korean community colleges are suffering from both nonreaching the students number limits imposed by educational authority and college dropouts, in part stemming from the sharp decline of prospective students numbers entering colleges and in part from beliefs that educational services offered by community colleges are short of quality standards many people expect. Community colleges for educating students to the level of meister class can be rocks in the road if they fail to produce the qualified manpower welcomed by society, especially by industries hiring college graduates.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es for controlling community colleges' educational services. Evaluation indices ar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ervices' consumers, especially students and industries, because in terms of educational services both students and industries are in demand whereas colleges are suppliers. The reason why it should be is that in the educational services market colleges should be chosen by their prospective students and industries in order to be surviv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evaluation indices a series of educational specialists meetings, a pair of Delphi survey, and questionnaires for validation of evaluation indices were in serial involved. Evaluation indices developed wer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settings, curricular activities, and outcomes and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Also evaluation indices suggested here are for comprehensive overall evaluation activities, regardless of institution sizes, major affiliations, and established year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evaluation indices for specific major affiliations will be developed if necessary.
<표 1-1> 연구팀 회의 일정 및 주요 회의내용․7 <표 1-2> 델파이 조사 참여자의 인적사항․8 <표 1-3> 설문조사결과․13 <표 1-4> 권역별 전문가 의견수렴 지역 및 참석자 명단․14 <표 1-5> 최종 평가지표․15 <표 2-1> 2009년 전문대학 성과포뮬러 지표․20 <표 2-2> 2009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평가지표․23 <표 2-3> 2009년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 평가지표․26 <표 2-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주기 대학평가지표 및 가중치․28 <표 2-5>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학평가인정제 장점과 문제점․29 <표 2-6> U. S. News & World Report 대학평가 항목과 지표․32 <표 2-7> The Times 대학순위 지표와 가중치․35 <표 2-8> The Maclean's Guide to Canadian Universities 평가지표와 가중치․36 <표 2-9> 전문대학평가 시행과정․41 <표 2-10> 2008학년도 전문대학 학과평가 평가지표의 판별․43 <표 2-11> 2008학년도 학과평가 영역 및 배점․45 <표 2-12> 일본 단기대학협회의 평가인증 기준(평가영역 및 항목)․52 <표 2-13> 지역사회대학의 자격요건․53 <표 2-14> TAFE 등록훈련기관 요건․56 <표 2-15> 등록훈련기관으로서의 인증 절차․60 [그림 1-1] 연도별 전문대학 학생정원 추이․2 [그림 1-2] 연도별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3 [그림 2-1]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모형․31 [그림 5-1] 교육환경, 교육활동, 교육성과 간의 구조모형․13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위탁수시)전문대학 인력양성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 2009.08.04~200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