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 우수 훈련기관 연구(Ⅰ)
A Case Study on Outstanding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Ⅰ)
- 저자
- 박천수 이원희 김수원 장혜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4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능력개발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기존 관련 연구 3 제3절 연구 내용 5 제4절 연구 방법 6 제5절 기대효과 7 제2장 직업능력개발 현황과 연구대상 선정 제1절 직업능력개발기관 현황 9 제2절 실업대책훈련 현황 및 기관평가 22 제3절 연구대상 훈련기관 선정 30 제3장 사례 연구 훈련기관의 특징과 장점 제1절 비전과 전략 37 제2절 특성화와 매출 구조 48 제3절 인력구성 및 HRD 53 제4절 과정 개발 60 제5절 훈련생 모집과 취업알선 68 제4장 결 론 제1절 요약 83 제2절 시사점 86 제3절 연구의 한계와 제안 91 SUMMARY 95 <부록 1> 훈련기관기관별 현황 101 <부록 2> 전국직업전문학교협회 현황 299 <부록 3> 한국학원총연합회 현황 301 <부록 4> 면담지 306 참고문헌 311
우리나라는 학력과 학벌을 중시하여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률이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비하여 고등교육을 이수한 후에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에서는 어려움이 발생하여, 최근 생산적인 활동 혹은 그 준비인 교육훈련과는 거리가 먼 청년 NEET족이 110만 명에 달하고 있다. 교육 중이 아닌 미취업 청소년은 범죄 등 사회문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감안할 때, 일자리로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교육훈련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실업대책 훈련을 실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가운데 고성과 기관을 선정하여, 시설이나 장비와 같은 물적요건, 훈련강사나 행정요원과 같은 인적요건, 훈련과정의 개발방식, 수요처인 구인업체와 관계유지 등 전반적인 운영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한 훈련기관 특징적인 구조(하드웨어)와 운영방식(소프트웨어)을 추출하여 훈련기관의 발전모형으로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직업능력개발 현황 - 우수기관의 비전과 전략 - 우수기관의 특성화와 매출구조 - 우수기관의 인적구성과 HRD - 우수기관의 훈련과정 개발 - 우수기관의 훈련생 모집과 취업알선
By analyzing the general management of eli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hat have yielded great results, this study seeks to not only bring about the further advance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but also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commonly found in such elite training institut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attributes and elements associated with eli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hat offer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are characterized by high trainee satisfaction, and feature a sufficient amount of trainees. The study began with the formation of an advisory council responsible for selecting the elite training institutes examined herein. As a result of this exercise, 20 training institutes were selected. Thereafter, 12 of the 20 institutes identified by the specialists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a more in-depth study involving direct visits and interviews. This was followed by the dispatch of a research team and consultants, who served as associated researchers, to the selected training institutes in order to conduct the in-depth interviews. Lastly, th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the training institutes were analyzed, and a presentation on the topic of elite training institute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ir potential characteristics was held. ...
<표 2-1> 훈련기관 유형별 규모(2007년 기준)ㆍ10 <표 2-2> 학교급별 고등교육기관 수 변화ㆍ11 <표 2-3> 설립유형별 고등교육기관 수 변화ㆍ12 <표 2-4> 평생교육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ㆍ17 <표 2-5> 평생교육 학습자 현황ㆍ18 <표 2-6> 평생교육시설의 근무자 현황ㆍ19 <표 2-7> 직업훈련과정별 훈련시설의 참여 체계ㆍ20 <표 2-8> 2003년-2007년간 훈련기관의 직업능력개발사업 실적ㆍ21 <표 2-9> 2007년도 훈련생 특성별 실업대책훈련 훈련실시현황ㆍ23 <표 2-10> 2007년도 훈련 직종별 실업대책훈련 훈련실시현황ㆍ24 <표 2-11> 2008년 실업자훈련 평가 등급 분포ㆍ25 <표 2-12> 실업자훈련 평가영역별 점수ㆍ26 <표 2-13> 실업자훈련의 수료인원별 총점 분포ㆍ27 <표 2-14> 우선선정 훈련의 수료인원별 총점 분포ㆍ28 <표 2-15> 실업자훈련의 수료인원별 등급 분포ㆍ28 <표 2-16> 우선선정 훈련의 수료인원별 등급 분포ㆍ29 <표 2-17> 2008년도 실업자훈련기관 평가결과ㆍ32 <표 2-18> 2008년도 우선선정직종훈련기관 평가결과ㆍ33 <표 2-19> 면담을 위한 훈련기관 방문일정ㆍ34 <표 2-20> 우수사례 분석대상 훈련기관ㆍ36 <표 3-1> 훈련기관의 비전ㆍ40 <표 3-2> 훈련기관의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전략ㆍ42 <표 3-3> 훈련기관의 훈련시설에 관한 전략ㆍ44 <표 3-4> 훈련기관의 교ㆍ강사 수준 관리에 관한 전략ㆍ45 <표 3-5> 훈련기관의 행정지원에 관한 전략ㆍ47 <표 3-6> 특성화 방향ㆍ49 <표 3-7> 훈련생 관리 시스템ㆍ51 <표 3-8> 매출구조의 특징ㆍ52 <표 3-9> 향후 매출 전략ㆍ53 <표 3-10> 인력구성의 특징ㆍ54 <표 3-11> 교ㆍ강사 역할ㆍ55 <표 3-12> 교ㆍ강사 연수프로그램ㆍ56 <표 3-13> 교ㆍ강사 평가와 지원ㆍ59 <표 3-14> 과정개발 절차ㆍ62 <표 3-15> 현장수요 확인 방법ㆍ64 <표 3-16> 과정개발 특징과 전략ㆍ66 <표 3-17> 훈련생 모집 및 홍보방법ㆍ69 <표 3-18> 훈련생 상담 등 관리ㆍ71 <표 3-19> 취업알선 인력ㆍ73 <표 3-20> 취업촉진 전략을 위한 훈련생 파악 및 취업처 안내ㆍ75 <표 3-21> 취업촉진 전략을 위한 취업처 확보ㆍ78 <표 3-22> 취업지원 프로그램ㆍ80 <표 3-23> 훈련생 사후관리ㆍ8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직업능력개발 우수 훈련기관 연구(Ⅰ) | 2009.08.01~2009.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