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의 직업교육 평가

The Study on the Evaluation of Univerity Career Education
저자
목진휴 김희경 허만형 장덕희 김덕기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5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교육대학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8
   1. 연구의 내용 8
   2. 연구의 방법 9
제2장  이론 탐색 15
 제1절  직업교육의 개념과 직업교육 평가 15
   1. 직업교육의 개념 15
   2. 우리나라 정부의 4년제 대학 직업교육 지원 프로그램 23
   3. 4년제 일반대학 직업교육의 문제점 32
   4. 평가와 직업교육 35
   5. 직업교육 평가의 목적과 효과 40
   6. 대학의 직업교육 평가가 타당하기 위한 선행조건 42
   7. 대학의 직업교육 평가결과 활용 44
 제2절  직업교육 평가관련 문헌 분석 46
   1. 대학순위평가 46
   2. 학생설문조사 48
   3. 대학생 학습 성과 평가 49
 제3절  외국의 직업교육 사례 분석 51
   1. 미국의 직업교육 51
   2. 호주의 직업교육제도 61
   3. 일본의 직업교육 66
 제4절  우리나라의 직업교육 현황 72
   1. 우리나라의 직업교육 현황 개요 72
   2. 우리나라 4년제 일반대학 현황 74
   3. 인식조사 결과 분석 77
   4. 소결론 : 우리나라 직업교육 현황분석의 함의 88
제3장  전문가 조사 결과 91
 제1절  전문가 조사 개요 91
 제2절  평가지표 도출 93
 제3절  직업교육시스템 관련 평가항목 도출 97
   1. 조직 분야 97
   2. 인력 분야 100
   3. 예산 분야 102
 제4절  직업교육 프로그램 관련 평가 지표 도출 105
   1. 특성화 분야 105
   2. 졸업생 사후관리 분야 107
   3. 산학협력 분야 109
 제5절  직업교육 효과성 평가 지표 도출 112
   1. 취업 분야 112
   2. 기업의 만족도 분야 114
   3. 학생의 만족도 분야 116
제4장  지표별 전문가 인식조사 119
 제1절  전문가 인식조사 개요 119
 제2절  평가영역과 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122
   1. 4년제 일반대학의 직업교육 평가틀과 가중치 부여 방법 122
   2. 평가영역과 평가지표별 중요도 분석을 통한 가중치 설정 128
 제3절  평가항목별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136
   1. 직업교육 시스템 영역의 항목별 중요도와 가중치 136
   2. 직업교육 프로그램 영역의 항목별 중요도와 가중치 142
   3. 직업교육 효과성 영역의 항목별 중요도와 가중치 148
제5장  결론 : 4년제 일반대학의 직업교육 평가매뉴얼 153
 제1절  영역별 평가항목과 배점 153
 제2절  평가개요 155
   1. 관련 근거 155
   2. 평가 대상 선정과 사전조사 필요성 157
   3. 평가일정(안) 158
   4. 평가 시 고려사항 159
 제3절  평가항목별 측정개요 160
   1. 시스템 평가지표별 세부측정기준 160
   2. 프로그램 평가지표별 세부측정기준 170
   3. 효과성 평가지표별 세부측정기준 182
SUMMARY 193
<부록 1> 전문가 조사 설문지 197
<부록 2> 전문가용 인식 조사 설문지 202
<부록 3> 학생용 인식조사 설문지 210
<부록 4> 선행연구의 지표탐색결과 219
<부록 5>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빈도표 228
참고문헌 249
  대학은 매년 졸업자를 배출하지만, 졸업자를 수용하는 사회에서는 대학교육이 실제 작업 생활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사회에 진출한 인재들이 직업 그 자체에 대한 교육과 직업활동에 필요한 기술교육이 적절하게 습득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반영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대학교육은 직업교육만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지만, 현재와 같은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되는 체제 하에서 대학은 일정부분 사회가 요구하는 직업인으로서의 인재를 양성해야 할 책임을 나누어 가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 특히 일반교양인의 양성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4년제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직업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코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해외 사례에 대한 분석과 우리의 현실을 상호 비교하고, 전문가 조사를 통해 4년제 일반대학의 직업교육평가를 위한 평가메뉴얼(안)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심도있는 사회적 검증을 통하여 대학의 직업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평가체제 마련이 이룩되어야 할 것이다.
  ○ 주요내용
   - 대학의 직업교육
   - 대학의 직업교육 평가체제
  The role of the university has been critical in the progress and the prosperity of the society. Its role will obviously remain important in the future as well. Since the responsibility of the university is to meet the demands that are created by the societal changes and to set up the direction that the society should follow, the university has a paramount responsibility to produce the able and desired manpower that are ready to deal with the societal issues. For this, the university should be able to educate the students in a way which the society likely and readily to utilize without much of the further training and education after the job place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s to investigate the issues that are related to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education for the students, that would make them fit to the social demands. The second purpose is to provide a scheme that can be used to examine the efforts that the university contributes to the process of the job/career related education, if they are related to or relevant to the social demands. In order to come up with a evaluation scheme,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the followings: It attempts to establish criteria that can be used to check if the university meets the element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job education. Second, it evaluates the various aspects of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and the validity test of the criteria, carried out are the survey using the professional group in the field of educational evaluation and th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the university. 
...
<표 1-1> 델파이 참여자․11
<표 2-1> 선행연구의 직업교육 개념․17
<표 2-2> 4년제 일반대학의 직업교육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20
<표 2-3> 지식경제부의 취업지원 프로그램․25
<표 2-4> 미취업 대졸자 지원 사업(Stay-in-School Program) 내역․27
<표 2-5>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의「교육지표 포뮬러」지표․28
<표 2-6> NURI 지원 사업 사업내용․28
<표 2-7> 중소기업청의 취업교육지원 프로그램․31
<표 2-8>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33
<표 2-9> 계열별 전공일치도(2009)․34
<표 2-10> 평가의 개념․36
<표 2-11> 미국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프로그램 내용․54
<표 2-12> 제공 프로그램의 수․54
<표 2-13> 직장학습활동 유형․55
<표 2-14> 평가요소 및 평가척도(미국 시사점)․60
<표 2-15> 호주의 학교교육제도․62
<표 2-16> 호주 직업기술교육제도의 자격증․65
<표 2-17> 일본의 1-7차 직업훈련기본계획의 변화․67
<표 2-18> 평가요소 및 평가척도(일본 시사점)․71
<표 2-19> 설문 발송부수, 메일개봉률, 회신율․73
<표 2-20> 대학유형별 학교 수․74
<표 2-21> 4년제 대학과 전문대, 산업대학교 학생 수(연도별)․75
<표 2-22> 대학유형별 졸업자의 진로추이․76
<표 2-23> 진로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시절의 경험․78
<표 2-24> 진료교육 경험 정도와 진로결정 여부의 교차표․79
<표 2-25> 진로교육 경험에 따른 진로선택 장애요인의 평균차이 검정결과․80
<표 2-26> 진로교육 경험에 따른 직업관련 자신의 이해 인식차이 검정결과․81
<표 2-27> 대학교육과 직업의 관계 인식․83
<표 2-28> 대학교육과 직업의 관계 인식(대응표본 T-검정 결과)․83
<표 2-29> 진로를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사람․85
<표 2-30> 진로를 선택에 필요한 정보취득 통로․86
<표 2-31> 직업과 관련한 대학의 기여․86
<표 2-32> 직업교육에 포함되어야 하는 각 요소들의 중요도 인식․87
<표 3-1> 델파이 참여자 선정 결과․92
<표 3-2> 대학의 직업교육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95
<표 3-3> 조직분야 5대 평가지표․97
<표 3-4> 조직분야 차상위 5대 평가지표․98
<표 3-5> 조직분야 기타 평가지표․99
<표 3-6> 인력 분야 상위 5대 평가지표․100
<표 3-7> 인력분야 차상위 평가지표․101
<표 3-8> 인력분야 기타 평가지표․101
<표 3-9> 예산분야 상위 5대 평가지표․102
<표 3-10> 예산분야 차상위 평가지표․103
<표 3-11> 예산분야 기타 평가지표․104
<표 3-12> 특성화 분야 상위 5대 평가지표․105
<표 3-13> 특성화 부야 차상위 평가지표․106
<표 3-14> 특성화 분야 기타 평가지표․107
<표 3-15> 졸업생 사후관리 분야 상위 5대 평가지표․107
<표 3-16> 졸업생 사후관리 분야 차상위 평가지표․108
<표 3-17> 졸업생 사후관리 분야 기타 평가지표․109
<표 3-18> 산학협력 분야 상위 5대 평가지표․109
<표 3-19> 산학협력 분야 차상위 평가지표․110
<표 3-20> 산학협력 분야 기타 평가지표․111
<표 3-21> 취업 분야 상위 4대 평가지표․112
<표 3-22> 취업 분야 차상위 평가지표․113
<표 3-23> 취업 분야 기타 평가지표․113
<표 3-24> 기업의 만족도 분야 상위 5대 평가지표․114
<표 3-25> 기업의 만족도 분야 차상위 평가지표․115
<표 3-26> 기업의 만족도 분야 기타 평가지표․115
<표 3-27> 학생의 만족도 분야 상위 5대 평가지표․116
<표 3-28> 학생의 만족도 분야 기타 평가지표․117
<표 4-1> 설문 발송부수, 메일 개봉률, 회신율․121
<표 4-2> 평가영역별 지표와 평가항목․123
<표 4-3> 평가영역별 중요도 분석결과(예시)․125
<표 4-4> 평가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산정 결과(예시)․126
<표 4-5> 조직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예시)․127
<표 4-6> 평가영역별 중요도 분석결과․129
<표 4-7> 평가영역별 가중치 부여 결과․129
<표 4-8> 직업교육시스템 영역의 지표별 중요도 분석결과․130
<표 4-9> 직업교육시스템 영역의 지표별 가중치 부여 결과․131
<표 4-10> 직업교육 프로그램 영역의 지표별 중요도 분석결과․132
<표 4-11> 직업교육프로그램 영역의 지표별 가중치 부여 결과․132
<표 4-12> 직업교육 효과성 영역의 지표별 중요도 분석결과․133
<표 4-13> 직업교육 효과성 영역의 지표별 가중치 부여 결과․133
<표 4-14> 평가영역과 평가지표의 가중치 부여 결과․134
<표 4-15> 직업교육 시스템 영역의 평가지표별 평가항목․137
<표 4-16> 조직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38
<표 4-17> 조직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39
<표 4-18> 인력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39
<표 4-19> 인력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40
<표 4-20> 예산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41
<표 4-21> 예산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41
<표 4-22> 직업교육 프로그램 영역의 평가지표별 평가항목․142
<표 4-23> 특성화 교육 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43
<표 4-24> 특성화 교육 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44
<표 4-25> 산학협력 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45
<표 4-26> 산학협력 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45
<표 4-27> 졸업생 사후관리 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46
<표 4-28> 졸업생 사후관리 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47
<표 4-26> 직업교육 효과성 영역의 평가지표별 평가항목․148
<표 4-27> 취업률 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49
<표 4-28> 취업률 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49
<표 4-29> 기업의 만족도 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50
<표 4-30> 기업의 만족도 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51
<표 4-31> 학생의 만족도 지표의 평가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151
<표 4-32> 학생의 만족도 지표의 평가항목별 가중치와 배점 부여 결과․152
<표 5-1> 영역별 평가항목과 배점․154
<표 5-2> 법령상 직업교육 평가대상 기관․156
<표 5-3> 연차별 평가대상 대학(안)․157
<표 5-4> 평가일정(안)․158
[그림 2-1] 4년제 대학과 전문대, 산업대학교 학생 수(연도별)․75
[그림 4-1] 4년제 일반대학의 직업교육 평가틀․12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위탁수시)대학의 직업교육 평가 2009.08.12~200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