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운영실태 분석 연구

A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저자
김미숙 백성준 옥준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5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대안학교직업교육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ㆍ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내용 3
   2. 연구의 방법 3
제2장  대안학교의 특성과 현황
 제1절  대안학교의 설립 목적 7
   1. 대안학교의 설립 목적과 기본 방향 7
   2. 대안학교의 개념 및 법적 근거 9
 제2절  대안학교의 유형과 특성 15
   1. 대안학교 유형 15
   2. 대안교육 특성화 고등학교 16
   3. 위탁형 대안학교 32
   4. 중등-전원형 대안학교 42
   5. 중등-도시형 대안학교 52
제3장  대안학교에서의 직업교육에 대한 고찰
 제1절  직업교육 개념과 과정 69
   1. 직업교육의 개념과 목적 69
   2. 직업교육 과정 72
 제2절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74
   1.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운영의 특징 74
   2.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과정 77
제4장  대안학교 직업교육 현황 및 실태
 제1절  조사 개요 및 조사 내용 101
   1. 조사 개요 101
   2. 조사 내용 102
 제2절  대안학교의 일반 현황 103
   1. 대안학교의 일반 현황 103
   2. 학교 설립 주체에 관한 사항 105
   3. 교사에 관한 사항 106
   4. 학생관련 사항 109
   5. 재정구조에 관한 사항 112
 제3절  대안학교에서의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116
   1.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기초통계 116
   2. 학교 유형별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117
 제4절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 실태 분석 119
   1. 직업교육 과정 현황 119
   2. 직업교육관련 과정 수준 및 특성 122
   3. 프로그램 개발이나 운영 문제점 127
제5장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 사례
 제1절  사례 조사 개요 131
 제2절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 사례 134
   1. 특성화 고등학교 직업교육 운영 사례 134
   2. 도시형 고등학교 직업교육 운영 사례 152
   3. 위탁형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 사례 157
 제3절  소결 165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167
   1. 대안학교의 특성과 현황 167
   2. 대안학교에서의 직업교육 168
   3. 대안학교 직업교육 현황 및 실태 169
   4.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 사례 172
 제2절  제언 173
   1. 대안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의 위상 정립 173
   2.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 활성화 174
   3. 대안학교 직업교육을 위한 행 재정적 지원 175
   4. 대안학교 직업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176
SUMMARY 179
<부록 1>  대안학교 직업교육 과정 설문조사지 185
<부록 2>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에 관한 사례조사 양식 189
참고문헌 191
  대안학교는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기존 학교와는 달리 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 인성위주의 교육 또는 개인의 소질·적성 개발 위주의 교육 등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이다.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며, 이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의 장애 요인들과 지원 사항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운영실태 분석은 고등학교 수준의 대안학교를 대상으로 이들 학교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직업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실태를 분석하여 대안학교에서의 직업 교육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며, 대안학교에서의 직업교육 운영에 대한 대안학교 유형 및 직업교육 형태에 따라 각각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향후 방향이나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써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 주요내용
   - 대안학교의 특성과 현황
   - 대안학교에서의 직업교육에 대한 고찰
   - 대안학교 직업교육 현황 및 실태
   - 대안학교 직업교육 운영 사례
  This study aims to analyzes the current and the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grasp the understanding of it. By examining the operative problems, we expect to grope the activating plan for a vocational education of future alternative school.
  There are two types of the alternative school, an authorized type and a unauthorized type. An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 and a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 are individually divided into two types, a specialized school and a entrusted school, and a ‘pastoral type’ alternative school for a level of secondary education and a ‘city type’ alternative school. 
  In order to grasp the course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in detail, this study investigates each type of alternative schools’ management plan for curriculum in 2009. In particular, we deal with specialized subject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lternative subjects of entrusted school, the internship and project class from ‘city type’ secondary school, and self-reliance subjects, the frequency of the classes, and the total annual class time of the ‘pastoral type’ secondary school. 
  In addition, we conduct the complete survey of vocational educational operation. The subjects of this survey are specialized high schools, pastoral type secondary schools, city type secondary schools, and entrusted alternative schools for alternative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and the 39(70%) of 56 schools were responded. In terms of the item about the main body of establishment, the school privately financed took the first ranking by the 35% and the next was by religious organizations and civic groups by the 20.5%. 
  Many people view various meaning of vocational education conducted by alternative schools as a general educational curriculum. Because it shows that the mean value of item as a general education is 3.85 of the 5-point scale, the mean of the basic vocational education is 3.41, and the mean of the vocational professional education is 2.56 in the survey about the item of the meaning of vocational education conducted by alternative schools.
...
<표 2-1> 초․중․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 현황․7
<표 2-2> 위기청소년 규모(추정)․8
<표 2-3> 「대안학교의 설립․운영에 관한 규정」 신․구 비교표․13
<표 2-4> 학교 유형 비교․17
<표 2-5> 2009년 대안교육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20
<표 2-6>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비교․25
<표 2-7> 특성화 교과 내용․27
<표 2-8> 특성화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비교․29
<표 2-9> 위탁형 대안학교의 운영 개요․33
<표 2-10> 전국 위탁형 대안학교 기본 현황․35
<표 2-11> 세포학교의 준비 교육 과정․40
<표 2-12> 전원형 대안학교 현황․44
<표 2-13> 전원형 대안학교 교육과정․47
<표 2-14> 2006 전국 도시형 대안학교 현황․54
<표 2-15> 도시형 대안학교의 학교별 교육목표․58
<표 2-16> 하자작업장학교의 교육과정․62
<표 2-17> 성장학교의 교육과정․62
<표 2-18> 꿈틀학교의 교육과정․64
<표 3-1> 특성화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과정 개설 현황․75
<표 3-2> 위탁형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과정 개설 현황․76
<표 3-3> 도시형 중등학교의 직업교육 과정 개설 현황․76
<표 3-4> 전원형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과정 개설 현황․77
<표 4-1> 조사대상 학교 모집단과 응답률․102
<표 4-2> 응답자의 일반적 현황․103
<표 4-3> 학교 설립 주체 빈도표․105
<표 4-4> 대안학교 형태별 설립 주체․106
<표 4-5> 대안학교 형태별 교사유형관련 사항․107
<표 4-6> 대안학교 형태별 교사연령․108
<표 4-7> 정교사 1인당 학생 수․109
<표 4-8> 평균 재학생 수 및 학생 수․110
<표 4-9> 졸업생 현황․111
<표 4-10> 재정규모․112
<표 4-11> 세입 세부 항목 비중․113
<표 4-12> 세출 세부 항목 비중․114
<표 4-13>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116
<표 4-14> 학교 유형별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117
<표 4-15> 학교 유형별 직업교육 관련 교과 현황․120
<표 4-16> 대안학교 직업교육 관련 교과 목록․121
<표 4-17> 대안학교 직업교육 관련 현황․122
<표 4-18> 직업교육 유형별 특성․123
<표 4-19> 취미교양 교육의 학교 유형별 과정 특성․125
<표 4-20> 직업기초 교육의 학교 유형별 과정 특성․126
<표 4-21> 직업전문 교육의 학교 유형별 과정 특성․127
<표 4-22>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운영의 문제점(학교 유형별)․129
<표 4-23>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운영의 문제점(직업교육 유형별)․130
<표 5-1> 들꽃 피는 학교 대상 연령 및 학년 구성․153
[그림 4-1] 학교 유형별 교사 비율 그래프․107
[그림 4-2] 학교 유형별 교사 연령 비교․108
[그림 4-3]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비율․111
[그림 4-4] 학교 유형별 세입 항목 비율․113
[그림 4-5] 학교 유형별 세출 항목 비율․115
[그림 4-6] 유형별 세입 대비 세출 비율․115
[그림 4-7] 학교 유형별 일반교육과 적응력 차이 비교․118
[그림 4-8] 학교 유형별 직업전문교육과 취업관련 차이 비교․118
[그림 5-1] 사례조사 대상 학교 선정 절차․132
[그림 5-2] 사례 수집 방법․13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대안학교의 직업교육 운영 실태 분석 연구 2009.08.01~200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