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산업정보학교 실태와 개선 방안

Vocational Programs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저자
임언 이제경 박태준 김수원
분류정보
기본연구(2009-5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9.12.31
등록일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산업정보학교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1. 연구 내용 6
   2. 연구 방법 6
제2장  일반계고 직업과정 일반 현황
 제1절  일반계고 직업과정 졸업생 추이(1998년~2008년) 17
 제2절  2009년도 직업과정 시 도교육청, 위탁기관별 현황 22
   1. 산업정보학교 22
   2. 공공 직업능력훈련기관(지자체 지원) 24
   3. 직업훈련기관(노동부 지정) 24
   4. 기술계학원 26
 제3절  2009년도 산업정보학교 일반 현황 30
   1. 코스, 학급 수, 학생 수, 교사 수 30
   2. 학교별 교사 구성 31
   3. 학교별 학생 구성 32
   4. 2008학년도 입학생 학교별, 전공별 학생 수 및 경쟁률 33
 제4절  소결 37
제3장  산업정보학교의 교육 목적 및 특징
 제1절  산업정보학교의 교육 목적 39
   1. 시ㆍ도교육청 및 학교의 공식적 교육 목적 39
   2. 학생들이 직업과정을 선택한 목적 41
   3. 일반계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일반계고 직업과정의 필요성 47
 제2절  산업정보 학교 학생의 학업 및 학교생활에 대한 태도 48
   1. 산업정보학교 학생의 태도에 대한 교사 인식 49
   2. 학교생활 태도 및 행동에 대한 학생 인식 53
 제3절  산업정보학교 교사 특성 및 직무만족도 55
   1. 산업정보학교 교사 응답자 기본 특성 55
   2. 교사의 주당 수업 시수 57
   3. 교직 만족도 58
   4. 산업정보 학교 근무 만족도 60
 제4절  소결 65
제4장  산업정보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육성과
 제1절  산업정보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69
   1. 시도교육청의 일반계고 직업과정 교육과정 운영 원칙 69
   2. 산업정보학교에서 제공하는 코스 현황 및 변경 원칙 71
 제2절  교육활동의 질 75
   1. 산업정보학교 교사들이 발휘하는 전문성에 대한 교사 인식 75
   2. 직업과정에서의 교육에 대한 학생 만족도 78
 제3절  교육성과 80
   1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의 취업률과 진학률 80
   2. 산업정보학교 학생들의 자격증 취득률 및 중도 탈락률 84
   3. 학생들의 동기 변화 87
   4. 산업정보 학교별 성과 분석 90
 제4절  산업정보학교의 타 위탁기관에 대한 비교 우위 92
   1. 산업정보학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교사 인식 92
   2. 공공 및 민간 위탁기관 관계자 인식 93
   3. 위탁기관별 학생 만족도 94
   4. 위탁기관별 지원자 경쟁률 96
   5. 위탁기관 유형별 취업률 및 자격증 취득률 98
 제5절  산업정보학교 운영의 어려움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관계자 의견 100
   1. 산업정보학교 교무부장의 의견 100
   2. 일반계고 직업과정 담당 교사의 의견 104
 제6절  소결 108
제5장  산업정보학교 개선 방안
 제1절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핵심 이슈:  산업정보학교  교육 목적의 다면성 113
   1. 비진학생을 위한 취업교육 114
   2. 직업교육을 받은 후 관련 분야로의 진학 지원 115
   3. 일반계고 부적응학생들을 위한 제 2의 기회 제공 116
   4. 교육 목적 다면성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문제 117
 제2절  산업정보학교 개선 방안 118
   1. 산업정보학교 운영의 교육 목적 및 대상을 명료화: “부적응 학생을 위한 제 2의 기회 제공” 119
   2. 학생 선발 방식 변경 120
   3. 대안적 접근에 관심이 있는 교사 배치 및 인센티브 제공 122
   4. 학생의 흥미와 노동시장의 요구를 함께 고려한 코스 선정 123
   5. 개인별 학습계획 수립 및 지원, 직업기초능력 제고 124
   6. 시설 및 환경 개선 124
   7. 학교명칭 변경 125
   8. 졸업생 추수 서비스 제공 및 모니터링 125
   9. 각 시도교육청별로 부적응 학생 직업교육을 전담하는 기관 지정 126
 제3절  일반계고 직업과정 운영 현황,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27
   1. 일반계고 직업과정 운영 현황 및 문제점 127
   2. 일반계고 직업과정 개선 방안 129
SUMMARY 133
부록
부록 1. 산업정보학교 교사용 설문지 137
부록 2. 산업정보학교 교무부장용 설문지 145
부록 3.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학생용 설문지 151
부록 4.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교사용 설문지 163
부록 5. 산업정보학교 교사용 설문 기초분석 결과 167
부록 6. 산업정보학교와 타위탁기관의 장단점에 대한 산업정보학교 교무부장의 인식 185
부록 7.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 개선점 189
부록 8. 일반계고 직업과정 담당자 설문 결과 기초 분석 자료 191
부록 9. 일반계고 직업과정 학생 인식조사 기초 분석 결과 195
부록 10. 시ㆍ도교육청 면담 결과 217
부록 11. 민간위탁기관 담당자 면담 결과 225
참고문헌 235
  현재 일반계 고교에서 고3 기간 동안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직업과정"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연구는 직업과정을 운영하는 산업정보학교 현황을 살펴보고 일반계 고교 직업과정 운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산업정보학교 교사, 일반계 고교 직업과정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산업정보학교의 운영 목적을 공식적으로 명시한 것과 구성원들이 실제로 인식하는 목적 사이에는 간극이 있었다. 산업정보학교는 타 위탁기관에 비하여 취업률과 자격증취득률은 낮으나 진학률이 높았다. 산업정보학교가 타 위탁 기간에 비하여 교사 수준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부적응 정보가 높은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주요내용
   - 일반계고 직업과정 학생 수 변화
   - 산업정보학교의 교사 및 학생 특싱
   - 산업정보학교의 교육 과정 및 교육 성과
   - 산업정보학교 및 일반계고 직업과정 운영 개선 방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tional programs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VPGH) and evaluate outcomes of those programs. The followings wer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First, how many students had enrolled in these programs in 2009 and has the number of applicants increased in recent years? Secondly, what are the official objectives of VPGH and what are the goals of VPGH perceived by students and teachers? Thirdly, what are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of theses programs, the percentages of graduates who pursued higher education, and the rate of students who passed qualification tests?
  The number of students who completed VPGH has increased conspicuously between 2008 and 2009, from 3,784 to 5,643. 40.3% of them were educated in special schools for VPGH(Industrial information schools), 30.8% were trained in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Labour, and 25.7% were trained in private vocational institutions.
  The official  objectives of VPGH is to provide vocational training for students who do not have a plan to go to the universities. Yet, 17.3% of students had chosen VPGH expecting that they might have a higher chance to get admission from technical colleges and 31.4% students had chosen VPGH not for getting jobs but because they didn't have any other choices due to low academic achievement. Only 4% of students had chosen these programs for getting jobs. The gap between the official objective of VPGH and goals perceived by students could cause confusion and conflict in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and the outcome of these programs.
  The employment rate was the highest in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54.1%), and the lowest in the Technical Information schools(10.5%). The success rate in getting qualifications was the highest in the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82.1%) followed by Industrial Information schools(72.7%), and private training institutes(51.2%). On the other hand, the entrance rate for higher education was the highest in Industrial Information schools, the lowest in the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o clarify the objectives of VPGH and divide roles among different groups of institutes were suggested,
<표 1-1> 산업정보학교 실태 분석의 틀․7
<표 1-2> 표집 대상 및 크기․8
<표 1-3> 산업정보학교 교사 응답자 성별 분포․8
<표 1-4> 산업정보학교 교사 응답자 연령 분포․9
<표 1-5> 일반계 고교 직업과정 학생 응답자 성별 분포․9
<표 1-6> 학생 응답자 위탁기관별 분포․10
<표 1-7> 학생 응답자의 전공별 분포․10
<표 1-8> 지역별 학생 응답자 분포․11
<표 1-9> 지역별 소속별 응답자 현황․12
<표 1-10> 일반계 고교 교사 응답자 성별․12
<표 1-11> 산업정보학교 교사 설문 내용․13
<표 1-12> 직업과정 학생 설문 내용․14
<표 1-13>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반 담당 교사 설문 내용․15
<표 2-1> 일반계고 직업과정 졸업생 취업, 기능사 자격 취득 및 진학현황(1999년~2008년)․18
<표 2-1> 일반계고 직업과정 졸업생 취업, 기능사 자격 취득 및 진학현황(1999년~2008년)․20
<표 2-2> 연도 및 진학유형별 위탁과정 졸업생 진학현황(%)․21
<표 2-3> 지역별 산업정보학교 운영 현황(2009)․23
<표 2-4> 공공 직업능력훈련기관 일반계 직업반 위탁과정․24
<표 2-5> 노동부 지정 직업훈련기관 위탁 교육 현황․25
<표 2-6> 기술계 학원 위탁 현황․27
<표 2-7> 시․도교육청별 일반계고 직업과정 위탁기관 현황 종합․28
<표 2-8> 지역별 공공 및 민간 위탁기관 코스 현황․28
<표 2-9> 전국산업정보학교 현황․30
<표 2-10> 산업정보학교의 인적 구성․31
<표 2-11> 산업정보학교의 학생 구성․32
<표 2-12> 서울산업정보학교 전공별 학생현황 및 운영실적(2008학년도)․33
<표 2-13> 아현산업정보학교 전공별 학생현황 및 운영실적(2008학년도)․34
<표 2-14> 종로산업정보학교 전공별 학생현황 및 운영실적(2008학년도)․34
<표 2-15> 인천산업정보학교 전공별 학생현황 및 운영실적(2008학년도)․35
<표 2-16> 부산산업학교 전공별 학생현황 및 운영실적(2008학년도)․35
<표 2-17> 대구산업학교 전공별 학생현황 및 운영실적(2008학년도)․36
<표 2-18> 대전기술정보학교 전공별 학생현황 및 운영실적(2008학년도)․36
<표 3-1> 교육청에서 제시한 일반계고 직업과정의 운영 목적․40
<표 3-2> 산업정보학교별 교육 목표․41
<표 3-3> 학생들이 일반계고 직업과정을 선택한 이유․43
<표 3-4> 진로변경시 반대한 사람 유무․44
<표 3-5> 직업과정 선택을 반대한 사람․45
<표 3-6> 직업과정 선택을 주변에서 반대한 이유․46
<표 3-7> 일반계고 직업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 인식․47
<표 3-8> 일반계고 직업과정의 필요 이유에 대한 교사 인식․48
<표 3-9> 학생들의 특성에 대한 교사 인식․50
<표 3-10> 학생에 대한 교사 인식의 학교별, 전공별 차이․51
<표 3-11> 학생들의 학교생활 태도 및 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52
<표 3-12> 학생행동 특성에 대한 학교 및 전공별 응답․53
<표 3-13> 자신 및 다른 학생의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인식․54
<표 3-14> 직위에 따른 교사 수․55
<표 3-15> 산업정보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56
<표 3-16> 산업정보학교 교사의 현재 학교 재직 연수․57
<표 3-17> 산업정보학교 교사의 주당 수업 시수․58
<표 3-18> 산업정보학교 교사의 교직만족도․60
<표 3-19> 산업정보학교에서의 근무 보람․61
<표 3-20> 학생 생활지도에 어려움이 없는 정도․62
<표 3-21> 학생지도를 함에 있어 자율성이 높음․63
<표 3-22>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사 자율성 높음․64
<표 4-1> 일반계고 직업과정 교육과정 운영 지침(서울시, 인천시)․70
<표 4-2> 교육과정 운영 기본 방향(부산산업학교)․71
<표 4-3> 산업정보학교별, 영역별 코스 개설 현황 ․72
<표 4-4> 코스 변경 및 신설 시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산업정보학교 교사 인식․74
<표 4-5> 교사들이 인식한 영역별 전문성의 중요도 및 활용 정도․77
<표 4-6> 소속별 직업과정 교육에 대한 학생 만족도․79
<표 4-7> 학교별 취업률 및 진학률 분포․82
<표 4-8> 계열별 취업률 및 진학률 분포․83
<표 4-9> 학생들의 동기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87
<표 4-10> 소속에 따른 입학 이후의 목표변화에 대한 학생 인식․89
<표 4-11> 산업정보 학교 실태 분석 결과 정리․91
<표 4-12> 서울지역 학생 중 위탁기관별 만족도 차이․95
<표 4-13> 서울지역 학생의 소속별 추천의사․96
<표 4-14> 지역별 일반계고 직업과정 경쟁률․97
<표 4-15> 위탁기관 유형별 자격증취득률, 취업률, 진학률, 예산․99
<표 4-16> 산업학교 운영의 어려운 점에 대한 교무부장 의견․101
<표 4-17> 산업정보학교 운영 개선 사항(교무부장 의견)․103
<표 4-18> 일반계고 직업과정 문제점 및 개선 제안(일반계고 직업과정 담당 교사의 의견)․107
<부표 5-1> 학생들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교사 인식․167
<부표 5-2> 학생들의 사회적응성에 대한 교사 인식․167
<부표 5-3> 학생들의 인성에 대한 교사 인식․168
<부표 5-4> 학생들의 도덕성에 대한 교사 인식․168
<부표 5-5>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성에 대한 교사 인식․169
<부표 5-6> 학생들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교사 인식․169
<부표 5-7> 학생들의 수업집중 정도에 대한 교사 인식․170
<부표 5-8> 학생들의 배우려는 자세에 대한 교사 인식․171
<부표 5-9> 학생들의 질문정도에 대한 교사 인식․172
<부표 5-10> 학생들의 지각하는 정도에 대한 교사 인식․173
<부표 5-11> 학생들의 무단결석 정도에 대한 학교별 응답․174
<부표 5-12> 학생들의 수업시간 소란 및 무질서 정도에 대한 학교 응답․175
<부표 5-13> 출결사항의 중요성에 대한 학교별 응답․176
<부표 5-14> 내신성적의 중요성에 대한 학교별 응답․177
<부표 5-15> 실기실력의 중요성에 대한 학교별 응답․178
<부표 5-16> 면접의 중요성에 대한 학교별 응답․179
<부표 5-17>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목표 달성을 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 (1순위) ․180
<부표 5-18> 최근 2년간 학과 개편 시 고려한 요인(1순위)․181
<부표 5-19> 학교 및 계열별 교사현황․182
<부표 5-20> 계열 내 전공 분류․183
<부표 6-1> 산업정보학교가 공공위탁기관에 비해 갖는 장점과 단점에 대한 산업정보학교 교무부장의 인식․185
<부표 6-2> 산업정보학교가 민간위탁기관에 비해 갖는 장점과 단점에 대한 산업정보학교 교무부장의 인식․186
<부표 6-3> 산업정보학교가 전문계고교 실습교육에 비해 갖는 장단점에 대한 산업정보학교 교무부장의 인식․187
<부표 7-1>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운영의 개선점에 대한 의견․189
<부표 8-1> 진로선택의 가능성을 확대․191
<부표 8-2> 학업동기가 부족한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교육기회 제공․192
<부표 8-3> 학생 관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함․193
<부표 9-1> 진로변경 시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195
<부표 9-2> 직업과정을 알게 된 경로․196
<부표 9-3> 직업과정에 대한 사전지식 정도․197
<부표 9-4> 현재 소속기관의 희망순위․197
<부표 9-5> 지역에 따른 전공 선택을 위한 상담 대상․198
<부표 9-6> 일반계학교에서 코스선택을 위한 안내 및 상담 만족도에 대한 소속별 응답․199
<부표 9-7> 현재 직업학교에서의 코스 선택을 위한 상담만족도에 대한 소속별 응답․199
<부표 9-8> 전공 선택 시 전공의 특성 및 교과내용에 대한 숙지정도에 대한 소속별 응답․200
<부표 9-9> 소속, 전공, 지역에 따른 현재 전공 선택 기준․201
<부표 9-10> 소속, 전공, 지역에 따른 현재 전공의 희망순위․202
<부표 9-11> 소속에 따른 본인의 학습동기․203
<부표 9-12> 소속에 따른 본인의 질문빈도 ․203
<부표 9-13> 본인의 지각 및 결석에 대한 소속별 응답․204
<부표 9-14> 타인의 학습동기에 대한 소속별 응답 ․204
<부표 9-15> 타인의 질문에 대한 소속별 응답․205
<부표 9-16> 타인의 지각 및 결석에 대한 소속별 응답․205
<부표 9-17> 지역별, 직업과정 교육에 대한 학생 만족도․206
<부표 9-18> 기타 건의사항․208
<부표 9-19> 미래직업 결정 여부․209
<부표 9-20> 소속, 전공, 지역에 따른 현재 전공과 미래직업과의 관련성․210
<부표 9-21> 계열별 현재 전공의 미래직업 진출에의 도움 정도․211
<부표 9-22> 지역에 따른 희망 교육 수준․211
<부표 9-23> 지역에 따른 고교 졸업 직후 계획․212
<부표 9-24> 위탁기관 별 졸업생 현황․213
<부표 10-1> 일반계 고교 학생의 직업교육과정 설치 현황․217
<부표 10-2> 직업교육에 대한 지역인의 태도․218
<부표 10-3> 위탁 직업교육과정 참여 학생의 참여 동기․218
<부표 10-4> 위탁 직업교육과정 확대 및 홍보․219
<부표 10-5> 특화된 직업교육과정 발전 사례․220
<부표 10-6> 직업교육과정의 특화에 대한 교육청 대응․220
<부표 10-7> 직업교육과정 특화에 따른 문제점․221
<부표 10-8>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일반계고교 직업교육과정 활성화 방안․221
<부표 10-9> 교육청 별 면담결과 비교 ․222
<부표 10-10> 면담 결과에 따른 시사점 ․224
<부표 11-1> 민간위탁기관별 학생들의 진학 이유 ․225
<부표 11-2> 민간위탁기관별 교육과정 및 학과개편 중요 요인․227
<부표 11-3> 민간위탁기관별 교사자격 및 전문성․228
<부표 11-4> 민간위탁기관별 교사의 학생에 대한 인식․229
<부표 11-5> 학생의 목표달성 원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230
<부표 11-6> 민간위탁기관 별 학생 생활지도․231
<부표 11-7> 민간위탁기관 별 교육성과․232
[그림 2-1] 연도별 위탁과정 졸업자 수․20
[그림 2-2] 연도별 전문계고 및 위탁과정 진학률과 취업률․22
[그림 4-1] 산업정보 학교의 학과 개편 시 고려하는 요인․73
[그림 4-2] 산업정보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전문성의 중요성 및 활용․76
[그림 4-3] 일반계고 직업과정 학생들의 위탁 교육에 대한 만족도․78
[그림 4-4] 산업정보학교 및 계열별 진학률과 취업률 분포․81
[그림 4-5] 산업정보학교 코스별 자격증취득률과 진학률 분포․85
[그림 4-6] 산업정보학교 코스별 자격증취득률과 취업률분포․86
[그림 4-7] 학교별 학생들의 동기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88
[그림 4-8] 동기변화에 대한 학생 인식․90
[그림 4-9] 일반계고 직업과정 위탁기관별 평균 경쟁률․9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산업정보학교 실태와 개선 방안 2009.09.01~200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