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관련 녹색직업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Water Resources Related Green Jobs
- 저자
- 이남철 윤여인 견진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9-5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9.12.31
- 등록일
- 2009.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녹색직업수자원 산업
요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 5 제2장 수자원에 대한 분석 7 제1절 수자원의 현황과 특성 7 제2절 선행연구 분석 28 제3절 국내 수자원 관련 산업의 현황 34 제3장 녹색직업에 대한 분석 37 제1절 녹색직업의 정의, 범위 및 특성 37 제2절 수자원 관련 녹색직업에 대한 분석 48 제3절 수자원과 관련된 녹색직업 자격제도 현황 분석 76 제4장 외국의 수자원 활용을 통한 녹색직업 창출 사례 분석 85 제1절 외국 사례 분석 85 제2절 외국 사례를 통한 시사점 도출 181 제5장 수자원 산업과 유망직업 및 정책 제언 185 제1절 수자원 산업 185 제2절 수자원 관련 녹색 유망직업 189 제3절 정책 제언 197 Summary 203 <부록 1> 네덜란드의 수자원 정책 209 <부록 2> 국내 수자원 산업 현황 215 <부록 3> 수자원과 관련된 자격제도 현황 231 참고문헌 285
본 연구는 수자원 산업과 녹색직업에 대해 분석을 위해 녹색직업 정의, 범위 및 특성, 수자원과 관련된 유망 녹색직업 및 수자원과 관련된 녹색직업 자격제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외국의 수자원 활용을 통한 녹색직업 창출 사례를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자원의 특징, 수자원과 관련된 녹색직업, 자격제도 및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한 종합적인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제언으로는 수자원 관련된 핵심기술 고도화 및 우수인력 양성, 녹색산업 기술ㆍ기능인력 양성에 산업계의 참여 확대, 수자원 관련 분야 직업조사ㆍ연구 및 체계적인 자격제도 구축 강화, 통합 수자원 관리 체제 구축 및 수(水)처리 전문 인력 양성을 하여야한다. ○ 주요내용 - 수자원에 대한 분석 - 녹색직업에 대한 분석 - 외국의 수자원 활용을 통한 녹색직업 창출 사례 분석 - 수자원 산업과 유망직업 및 정책 제언
Korea is the first state to make work-force training a key feature of its climate policy. We are shifting our economy to a more sustainable model, and creating jobs in the process. The green economy is rooted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products and services that promote environmental protection, energy independ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green jobs’. Green jobs used to be considered as those involved with protecting bio-diversi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but they now include areas such as low-carbon jobs, energy efficiency, and carbon finance. They can also go beyond ‘direct’ green employment into the supply chain, even though they may not supply green industries. Many researchers break green jobs into three categories: Direct Jobs; first round of job changes resulting from changing outputs in target industries. Indirect Jobs; subsequent job changes resulting from changing inputs required to accommodate the above. Income induced jobs; additional jobs created by changes in household incomes and expenditures resulting from both above. This paper examines the links green jobs related to water resources sector, qualification system and government policies. Green sectors will require new jobs, but they will also need to redefine many existing jobs profiles related to water resources. New green jobs of water resources field will require new skills in new and emerging occupations. To meet this challenge,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will need to supply a well-trained. In growing water resources sectors should focus on skills to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implementation. ...
<표 1-1> 수자원 활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전망 2 <표 2-1> 세계 각국의 수자원 현황 16 <표 2-2>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물 수급 전망(’06. 7) 18 <표 2-3> 수자원의 활용 목적 18 <표 2-4> 분야별 글로벌 물 시장 규모 20 <표 2-5> 세계 인프라 투자에 대한 연평균 수요 전망 21 <표 2-6> 세계 인구 증가와 도시화율 21 <표 2-7> 전문 물 기업 형성 추이(누계 기준) 23 <표 2-8> 유틸리티 산업의 시장 실패율 24 <표 2-9> 고도 물 처리 추진과제 27 <표 2-10> 고도 물 처리 제도개선 대상 28 <표 2-11> 녹색일자리의 부문별 고용비중 36 <표 3-1> 영역별 주요 녹색직업 39 <표 3-2> 수자원과 관련된 녹색직업의 유형 45 <표 3-3> 녹색직업의 주된 작업 활동 46 <표 3-4> 녹색직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지식 46 <표 3-5> 녹색직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기술 47 <표 3-6> 녹색직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능력 48 <표 3-7> 수자원 관련 녹색직업 요약 49 <표 3-8> 수상운송직의 10년 간 직업 전망 76 <표 3-9> 국가기술자격 취득 현황(’08) 77 <표 3-10> 녹색관련 국가기술자격 종목 및 취득자 현황(’08) 77 <표 3-11> 수자원과 관련된 녹색직업 자격제도 요약 81 <표 4-1> 캘리포니아주 주정부 수자원관리기관 107 <표 4-2> 미국 경기부양책의 유형 110 <표 4-3> 성장을 위한 재정지출의 주요 항목 111 <표 4-4> 2007년 녹색직업 높은 평균 임금, 녹색 산업(터번제조와 전력 발전)과 비교한 전 산업 114 <표 4-5> 크린워터 관련 산업 녹색 일자리 전망 118 <표 4-6> 새로 출현하는 녹색직업 119 <표 4-7> 진화하는 녹색직업의 예 121 <표 4-8> 전통적인 녹색직업의 예 122 <표 4-9> 산업에서 응답 123 <표 4-10> 부서 크기와 사업에 따른 응답 비율 124 <표 4-11> 구직자들의 주요 능력이라 응답한 고용주들의 응답률 124 <표 4-12> 2008년 영국의 수자원관련 고용 현황 134 <표 4-13> 통합수자원관리 13개 지역 139 <표 4-14> 2004 프랑스 녹색 일자리 현황 143 <표 4-15> CNFME 수업의 21개 테마 및 배출 직업인 146 <표 4-16> 2005년 세계의 환경기술시장 157 <표 4-17> 녹색산업 선점사례 158 <표 4-18> 녹색성장 관련 주요 정책 167 <표 4-19> 중국의 에너지 수급 현황 169 <표 4-20> 제11차 5개년 간(2006~2010)의 에너지․환경 관련 계획 169 <표 4-21> 중국 환경보호 중점 투자영역 170 <표 4-22> 주요 신재생에너지 부문별 발전용량 목표 재설정 및 투자액 171 <표 4-23>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 확충 계획 172 <표 4-24>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잠재력 172 <표 4-25> 각 자원별 발전원가 비교 173 <표 4-26> 설비 용량 15GW 이상의 수력발전소 174 <표 4-27> 수력 발전 관련 주요 정책 176 <표 4-28> 수자원 중점개발계획 지역 및 프로젝트 178 <표 5-1> 주요 환경보호·자원순환 분야 인력수요 전망 188 [그림 2-1] 수자원 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9 [그림 2-2] 세계 수자원 산업의 향후 시장규모 추이 11 [그림 2-3] 수자원 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별 시장규모 비교 12 [그림 2-4] 물의 순환 15 [그림 2-5] 우리나라 수자원 이용 현황 17 [그림 2-6] 녹색기술산업 분야의 추진과제 현황 26 [그림 4-1] 1964년 수자원법에 의한 수자원관리 6개 유역 136 [그림 4-2] 2004년 이후 수자원관리 13개 구역 13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수자원 관련 녹색직업에 관한 기초연구 | 2009.09.01~2010.04.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