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 및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종별 수요 추정 : 직업사전을 활용하여

Estimating the occupational demand for university and college graduates : by utilizing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
저자
김안국 유한구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3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8.14
등록일
2014.10.1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9
제2장 대학 및 전문대학 졸업자의 필요인력 규모 추정_13
제1절 직업사전을 활용한 고학력 필요인력 규모 추정 방법	15
제2절 고등교육 필요인력 규모와 실제 취업의 비교	24
제3장 고등교육 인력의 직종별 필요규모 추정_39
제1절 직종별 고학력 필요인력과 실제 취업의 비교	41
제2절 매칭 가능 대학전공-직종별 수급 분석	49
제4장 결론_55
제1절 요약 정리	57
제2절 시사점	60
SUMMARY_67
참고문헌_77
부  록_8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및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종별 필요인력의 규모를 직업사전 정보를 활용하여 추정하는 것이다. 직종별 필요학력의 인력 규모는 먼저 소분류 직업별로 추정되고, 이후 대분류, 중분류 직업별로 혹은 전체로 추정될 것이다. 이렇게 추정된 직종별 필요학력의 인력 규모는 현재 실제 취업자의 학력별 분포와 대비되어 분석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소분류 직종과 소분류 전공을 매칭시키고, 전공별 졸업생 수와 직종별 취업인원의 증감을 매칭된 각 전공-직종별로 비교해 볼 것이다. 
In modern society, industrial needs for skill are becoming sophisticated, but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5.31 Education Reform has caused a variety of social issues in Korean society such as youth employment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has estimated the scale of highly educated human resource over college graduates required in our society by using the information that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DOT) provides. Human resource scale of academic level required by occupations was estimated by three-digit sub-category, thereafter, division, main category, or total. 
Estimation was carried by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population of the required human resources scale by occupation through combining DOT data with “Regional Employment Survey” data. However, “Regional Employment Survey” has three-digit occupation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while the DOT is composed of occupations in four-digit sub-categories. Therefore, a procedure for converting the four-digit sub-categories in DOT into three-digit is necessary. But there is no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employed workers by four-digit occupation, this paper used the mode of education level required by four digit occupation first, and then adjusted the extracted human resource scale of required education level by occupation by using the mean value of required education levels.
This estimation method is an advanced on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studies’ metho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points that it calculated the human resource scale of required education level by occupation for the first time.
<표 2-1> 교육 수준․직종별 취업자 현황(2011년)	25
<표 2-2> 세부 교육 수준․직종별 취업자 및 비중 현황(2011년)	26
<표 2-3> 순수 저학력(요구학력 고졸 이하) 직종 학력별 취업 현황	28
<표 2-4> 학력별 필요인력과 실제인력(최빈값 사용) 	30
<표 2-5> 필요학력의 규모와 실제 취업인력 – 업종별 	32
<표 2-6> 학력별 필요인력과 실제인력 – 보정 이후 	37
<표 2-7> 40세 이하의 학력별 필요인력과 실제 취업인력 	38
<표 3-1> 대분류 직종별 필요학력 인력 규모와 실제 취업 학력별인력 규모	44
<표 3-2> 중분류 직종별 필요학력 인력 규모와 실제 취업학력별 인력 규모	46
<표 3-3> 매칭 가능한 소분류 직업과 소분류 전공의 사례 	53
<부표 1> 2012 한국직업사전 세분류 직업의 소분류 직업별 평균과 표준편차	85
<부표 2> 소분류 직종별 필요학력 인력 규모와 실제 취업학력별 인력 규모	90
[그림 1-1] 각국의 고등교육 취학률(2012년)	5
[그림 4-1] 고등교육 팽창의 원인과 결과	6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대학 및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종별 수요 추정- 직업사전을 활용하여- 2014.04.01~2014.08.14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