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안

The Operation Condition Analysis and Political Improvement Plans of the Work-Based Learning and its Semester System in Junior Colleges
저자
김기홍 조희경 오병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3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9.12
등록일
2014.10.28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6
제2장 이론적 배경: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에 대한 개요_11
제1절 현장실습에 대한 개념	13
제2절 실습학기제에 대한 개념	17
제3장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운영 현황 및 문제점_21
제1절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운영 현황	23
제2절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문제점	49
제3절 논의와 시사점	56
제4장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운영 인식 및 사례 조사 분석_63
제1절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운영 인식 조사 분석	65
제2절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운영사례 분석	87
제3절 논의와 시사점	122
제5장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 개선 방안_127
제1절 정책적 개선을 위한 기본 방향	129
제2절 정책적 개선 방안	131
제3절 추진 주체별 정책 방안	139
제4절 결론 및 제언	141
SUMMARY_145
참고문헌_149
부  록_151
1. 전문대학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운영실태 및 의견조사	153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과 정당성에 기초하여 현재의 전문대학을 핵심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산업체 현장중심의 교육을 강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도록 산업체 현장실습 과 실습학기제의 운영실태(현황과 문제점) 및 운영 사례를 정밀 진단하고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ek political improvement plans by conducting a detailed diagnosis and analysis on the operational condition and cases of the work-based learning and its semester system to contribute to college education by intensifying the industry field-oriented education to set up current junior colleges as a key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This research applied its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and expert conferences to produce objective and appropriate results.
<표 1-1> 설문조사 설계	8
<표 1-2>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 관련 의견조사 내용	9
<표 1-3> 조사 대상 전문대학의 특성	9
<표 2-1> 현장실습과 관련된 개념의 의미	16
<표 3-1>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인프라 구축 현황	24
<표 3-2> 현장실습 운영 학기	31
<표 3-3> 최종학기 현장실습의 시간당 학점	32
<표 3-4> 실습학기제 운영 유형	34
<표 3-5> 실습학기제 운영 계획 여부	35
<표 3-6> 실습업체 확보 방법	37
<표 3-7> 실습업체 파견 기준(복수응답: N=124)	38
<표 3-8> 현장실습 관련 재정지원의 형태	40
<표 3-9>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보험가입 현황	42
<표 3-10>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보험가입 종류	43
<표 3-11>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보험가입 기간	44
<표 3-12> 현장실습 담당교수의 순회지도 실시 횟수	46
<표 3-13> 현장실습 순회지도 시 소요경비의 부담	47
<표 3-14>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의 결과활용	48
<표 3-15> 대학 차원에서의 문제점	50
<표 3-16> 산업체 차원에서의 문제점	52
<표 3-17> 참여 학생의 문제점	54
<표 3-18> 정부 및 관련 부처 차원에서의 문제점	56
<표 3-19> 대학 차원에서의 개선점	58
<표 3-20> 산업체 차원에서의 개선점	59
<표 3-21> 참여 학생의 개선점	60
<표 3-22> 정부 및 관련 부처 차원에서의 개선점	61
<표 4-1>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적응 정도	66
<표 4-2>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의 취업연계비율	67
<표 4-3> 협약 산업체의 실습시설과 교육인력 현황	69
<표 4-4>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에 대한 대학의 문제점 인식	73
<표 4-5>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에 대한 산업체의 문제점 인식	76
<표 4-6>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에 대한 정부의 문제점 인식	78
<표 4-7>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에 대한 대학의 개선점 인식	81
<표 4-8>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에 대한 산업체의 개선점 인식	84
<표 4-9> 현장실습 및 실습학기제에 대한 정부의 개선점 인식	86
<표 4-10> 현장실습지원센터의 주요 역할	89
<표 4-11> 현장실습 프로그램 현황	91
<표 4-12> 취업약정교육 흐름도	92
<표 4-13> 2013년 현장실습 학점 이수자 현황	93
<표 4-14>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성과	96
<표 4-15> 현장실습 개설 현황	100
<표 4-16> 현장실습의 취업연계 현황	102
<표 4-17> 인프라 구축 실적 및 계획(현황)	105
<표 4-18>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지원제도	106
<표 4-19> 현장실습학점제 운영 기간 및 추진 현황	107
<표 4-20> 현장실습학점제	107
<표 4-21> 현장실습학점제 현황	108
<표 4-22> 2013년 현장실습학점제 프로그램 취업률	108
<표 4-23> LINC사업 참여학과와 대학 전체 취업률 비교	109
<표 4-24>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 성과	110
[그림 2-1] 순환형 산학협력교육의 운영 방식	17
[그림 4-1] 산학협력단 조직	112
[그림 4-2] 현장실습지원센터 조직	11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안 2014.05.28~2014.09.12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