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Construct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Meister High Schools
저자
김종우 장명희 변숙영
분류정보
기본사업(2010-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2.31
등록일
2010.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마이스터고성과관리시스템
요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3
  제3절  연구의 방법 4
     1. 문헌연구 4
     2. 모니터링 5
     3. 현장방문 5
     4. 인터뷰 5
     5. 개발연구 6
     6. 전문가 검토 6
제2장  마이스터고 정책 및 국외 중등단계 직업교육 개혁 동향
  제1절  마이스터고 육성 정책 도입 및 경과 7
     1. 마이스터고 육성 정책 주요 내용 7
     2. 마이스터고 선정 및 개교 9
     3. 마이스터고 교육체계 개발 11
     4. 마이스터고 육성 관련 최근 정책 17
  제2절  국외 중등단계 직업교육 개혁 동향 19
     1. 독일 19
     2. 미국 20
     3. 일본 23
     4. 호주 26
제3장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전략 수립
  제1절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29
     1.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기본 체제 29
     2.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관련 주체 네트워크 및 역할 설정 31
  제2절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시스템 운영 전략 수립 40
     1. 성과관리 영역 및 요소 관련 선행연구 분석 40
     2.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영역 및 세부 요소 개발 62
제4장  성과관리 시스템 운영을 위한 포털사이트 구축
  제1절  기본 계획 수립 및 Site Map 개발 69
     1. 추진 방향 69
     2. 개요 70
     3. 도입 S/W 71
     4. 개발 애플리케이션 S/W 74
  제2절  마이스터고 포털사이트 개발 83
     1. 포털사이트 메인 서브페이지 설계 83
     2. 포털시스템 메뉴 구성 87
     3. 포털시스템 화면 프로토타입 설계 91
제5장  성과관리 시스템 적용 및 정책적 지원 방안
  제1절  마이스터고 운영 모니터링 95
     1. 모니터링 1차 결과 95
     2. 모니터링 2차 결과 120
  제2절  마이스터고 현장점검 결과 149
     1. 신입생 학교 적응 149
     2. 교육과정 운영 155
     3. 교원 수급 및 지원 160
     4. 산학협력 162
     5. 협의체 운영 164
     6. 기숙사 운영 지원 165
     7. ’10년도 예산 집행 현황 167
     8. 기타 167
     9. 학교별 요청 사항 168
  제3절  마이스터고 운영 관련 문제점 및 요구 169
     1. 물적 요소 169
     2. 인적 요소 171
     3. 시스템 요소 172
  제4절  효과적인 마이스터고 운영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176
     1. 기본 방향 176
     2. 전략별 세부 방안 개발 177
부  록 185
<부록 1> 마이스터고 모니터링 양식 187
<부록 2> 현장점검 자료 양식(예시) 199
참고문헌 205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적용하여 정책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마이스터고 정책 및 국외 중등단계 직업교육 개혁 동향 분석
  -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전략 수립
  - 성과관리 시스템 운영을 위한 포털사이트 구축
  - 성과관리 시스템을 적용 및 정책적 지원 방안 개발
<표 2-1> 마이스터고 육성정책의 주요 내용․8
<표 2-2> 21개 마이스터고 학과 및 교육목표(인력육성)․12
<표 2-3> 마이스터고 교육과정 산업현장 적합성 분석 결과․16
<표 2-4> 전문고교 진흥방책․23
<표 3-1> 마이스터고 성과 제고를 위한 교육과학기술부의 역할․34
<표 3-2> 마이스터고 성과관리를 위한 마이스터고지원센터 역할․35
<표 3-3> 마이스터고 성과관리를 위한 시도교육청 역할․37
<표 3-4> 마이스터고 성과관리를 위한 시도교육청 역할․39
<표 3-5> Malcolm Baldrige 모형의 영역 및 항목․45
<표 3-6> CIRO 평가모형․51
<표 3-7> 6단계 평가모형․53
<표 3-8> CIPP 평가모형․57
<표 3-9> 특성화 고등학교 성과분석 영역 및 항목․58
<표 3-10> 장기원(2001)의 직업교육정책 평가모형․59
<표 3-11> 이동임 외(2002)의 직업능력개발 정책 평가영역 및 항목․61
<표 3-12> 마이스터고 모니터링 영역 및 요소․65
<표 3-13> 마이스터고 현장점검 영역 및 요소․67
<표 4-1> 마이스터고 포털사이트 개발 개요․71
<표 4-2> Web 에디팅 컴포넌트 개발 계획․72
<표 4-3> 파일업로드 컴포넌트 개발 계획․72
<표 4-4> 리포팅 툴 개발 계획․74
<표 4-5> 정보서비스 시스템의 메뉴 구성․88
<표 4-6> 업무관리 시스템의 메뉴 구성․89
<표 4-7> 통합관리 시스템의 메뉴 구성․90
<표 4-8> 정보서비스 시스템 화면 프로토타입 설계 예시․92
<표 4-9> 업무관리 시스템 화면 프로토타입 설계 예시․93
<표 4-10> 통합관리 시스템 화면 프로토타입 설계 예시․94
<표 5-1> ’10년 예산 지원 실적: 1분기 조사 결과․96
<표 5-2> ’11년~’13 예산 지원 계획: 1분기 조사 결과․100
<표 5-3> ’10년 이후 개방형 공모제 추진 계획: 1분기 조사 결과․103
<표 5-4> 목표 대비 교원 확보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04
<표 5-5> 산학겸임교사 및 기간제 교원 확보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05
<표 5-6> 현물 지원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06
<표 5-7> 실험․실습실 및 기자재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07
<표 5-8> 기숙사 학생 수용 계획: 1분기 조사 결과․108
<표 5-9> 학생 모집 결과: 1분기 조사 결과․110
<표 5-10> 마이스터고 학생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11
<표 5-11> 마이스터고 홍보 추진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12
<표 5-12> 마이스터고 홍보 추진 대상: 1분기 조사 결과․113
<표 5-13> 마이스터고 교재개발 유형: 1분기 조사 결과․113
<표 5-14> 마이스터고 교재개발 진행 상황: 1분기 조사 결과․114
<표 5-15> 마이스터고 교재개발 계획: 1분기 조사 결과․114
<표 5-16> 마이스터고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내용: 1분기 조사 결과․115
<표 5-17> 마이스터고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재원: 1분기 조사 결과․115
<표 5-18> 마이스터고 동아리활동 프로그램 내용: 1분기 조사 결과․115
<표 5-19> 마이스터고 동아리활동 프로그램 실시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16
<표 5-20> 마이스터고 동아리활동 프로그램 운영 재원: 1분기 조사 결과․116
<표 5-21> 마이스터고 산업체 협약 주요 내용: 1분기 조사 결과․117
<표 5-22> 마이스터고 협약 체결 산업체 매출액 규모: 1분기 조사 결과․118
<표 5-23> 마이스터고 협약 체결 산업체 종사자 규모: 1분기 조사 결과․118
<표 5-24> 마이스터고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1분기 조사 결과․119
<표 5-25> ’10년 예산 지원 실적: 2분기 조사 결과․124
<표 5-26> 실험․실습실 및 기자재 현황: 2분기 조사 결과․131
<표 5-27> 기숙사 학생 확보 현황: 2분기 조사 결과․134
<표 5-28> 마이스터고 학생 현황: 2분기 조사 결과․136
<표 5-29> 마이스터고 홍보 추진 현황: 2분기 조사 결과․137
<표 5-30> 마이스터고 교재개발 현황: 2분기 조사 결과․139
<표 5-31> 마이스터고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내용: 2분기 조사 결과․140
<표 5-32> 마이스터고 동아리활동 프로그램 내용: 2분기 조사 결과․141
<표 5-33> 마이스터고 산업체 협약 현황: 2분기 조사 결과․143
<표 5-34> 마이스터고 산업체 협약 주요 내용: 2분기 조사 결과․144
<표 5-35> 마이스터고 협약 체결 산업체 매출액 규모: 2분기 조사 결과․145
<표 5-36> 마이스터고 협약 체결 산업체 종사자 규모: 2분기 조사 결과․145
<표 5-37> 운영상의 애로 사항: 2분기 조사 결과․148
<표 5-38> 신입생 현황: 현장점검 결과․150
<표 5-39> 조선분야 SC 한국조선협회 개발 의뢰 교재: 현장점검 결과․158
<표 5-40> 출판사 위탁 교재개발 현황: 현장점검 결과․159
<표 5-41> (가칭) 교육과정개정위원회 조직 구성 및 운영(안)․181
[그림 2-1]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Career Path 모형․9
[그림 2-2] 21개 마이스터고 선정 결과․11
[그림 2-3]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 체제 개편․18
[그림 2-4] 독일 직업교육훈련 개혁 프로젝트의 기본 방안․20
[그림 2-5] 커리어 아카데미의 핵심 요소․22
[그림 2-6] 일본 고등학교 단계 직업교육 개혁 동향․26
[그림 2-7] 호주 직업경로프로그램(JPP) 목표․27
[그림 3-1]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시스템의 목적․30
[그림 3-2]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시스템 기본 체제․31
[그림 3-3]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관련 주체 간 네트워크․32
[그림 3-4] BSC의 기본체계․40
[그림 3-5] BSC 관점 간의 연계․41
[그림 3-6] BSC 성과지표의 속성․43
[그림 3-7] Malcolm Baldrige 모형의 기본 구조․44
[그림 3-8] Reaction 평가 양식 예시․47
[그림 3-9] Learning 평가 양식 예시․48
[그림 3-10] Behavior 평가 양식 예시․49
[그림 3-11] Results 평가 양식 예시․50
[그림 3-12] IPO 평가 모형․54
[그림 4-1] 마이스터고 포털사이트 목표시스템 구성도․70
[그림 4-2] 메인페이지 디자인․84
[그림 4-3] 서브페이지 디자인․86
[그림 5-1] 지원 기관별 ’10년 지원 계획 대비 현황: 2분기 조사 결과․124
[그림 5-2] 마이스터고 정책의 향후 발전 방향․17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마이스터고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2010.01.01~201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