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OECD INES 교육성과(OL) 네트워크 사업(2010)

OECD INES Outcomes of Learning Network(2010)
저자
최지희 임언 전재식
분류정보
기본사업(2010-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2.31
등록일
2010.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OECD 교육지표교육성과지표
요약
제1장 사업 개요 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사업의 배경 1
     2. 사업의 목적 5
  제2절 주요 사업내용 7
     1. OL 네트워크 사업 내용 7
     2. 국내 사업 내용 17
제2장 사업 추진 경과     19
  제1절 「EAG 2010」 데이터 수집 참여(2009년 10월 ~ 2010년 2월) 19
     1. 성인직업능력개발(AL) 데이터 수집 (2009. 10. 30 ~ 2009. 12. 15) 20
     2. 소득(Earnings) 데이터 수집 20
     3. VET 데이터 가용성 서베이 21
     4. 사회적 성과(Social Outcomes of Learning: SOL)부문 데이터 수집 21
     5. INES 교육성과(OL) 지표 선호도 평가(Priority rating) 22
     6. PIAAC 지표 중요도 평가 22
     7. 청년층 이행(MTS-TRANS) 추가 데이터 수집 22
  제2절 「EAG 2010」을 위한 데이터 검증(2010년 2월 ~ 8월) 23
     1. 데이터 1차 검증 23
     2. EAG 최종 데이터 검증 24
  제3절 OL 네트워크 Seoul 4차 총회 개최(2010년 9월 29일 ~ 2010년 10월 1일) 24
     1. Seoul 4차 총회 일시 및 장소 25
     2. 주요 참석자 25
     3. 프로그램 구성 25
     4. 주요 논의 사항 25
  제4절 「EAG 2011」 데이터 수집 일정(2010. 10~ ) 26
     1. 성인 직업능력개발(AL) 분과 26
     2. 청년층 이행(MTS) 분과 26
     3. 교육의 사회적 성과(SOL) 27
     4. 교육에 따른 경제적 성과(ECO) 27
제3장 사업 세부내용 29
  제1절 INES 교육성과(OL) 네트워크 주요 지표 소개 29
  제2절 「EAG 2010?? 데이터 수집 참여 32
     1. 성인직업능력개발(AL) 데이터 수집 33
     2. 근로 소득(Earning) 데이터 수집 44
     3. 사회적 성과(SOL) 데이터 수집 51
     4. 노동력(Labour Force Status: LFS) 데이터 수집 56
     5. VET(직업교육훈련) 자료 가용성(data  availability) 조사 61
     6. PIAAC 데이터의 EAG 지표 활용 방안 검토 67
     7. EAG 수록 지표들의 중요도 평가 69
  제3절 「EAG 2010」 데이터의 검증 74
     1. 서론 74
     2. 검증 결과 75
     3. 2010 EAG에 수록된 교육성과 지표의 예 78
  제4절 EAG 2011을 위한 데이터 수집 89
     1. 분과별 향후 계획 89
     2. 2010~2011년 네트워크 요청 내역 92
제4장 향후 과제 93
  제1절 지속적 사업 참여를 통한 국내 통계수준 표준화 93
  제2절 부문별 데이터 확보 및 원자료 개발 95
  제3절 유관기관의 협력 확보 96
  제4절 네크워크 사업과 국내 과제 수행간의 연계 97
부 록
【부록 1】EAG 자료수집 관련 자료 101
【부록 2】2010 EAG 데이터 검증 결과 117
【부록 3】2010 EAG에 수록된 OL 지표 목록 130
【부록 4】LSO 네트워크 4차 총회 관련 자료 143
  <부록 4-1> 국문 Draft Agenda 143
  <부록 4-2> Delegate List 146
  <부록 4-3> LSO 네트워크 4차 총회(2010.9.29-10.1) 회의록 148
【부록 5】VET 데이터 컬렉션 요청 및 제출 163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의 혁신 기획·추진에 기여하는 성공요인과 이들 성공요인들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10개의 혁신적 전문대학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혁신적 전문대학의 핵심 성공 요인을 추출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전문대학 혁신 성공요인 분석틀을 수정하고, 개별 대학에서 혁신과 관련된 내·외적 상황 분석, 자신의 혁신 역량 점검, 그리고 혁신 과제 및 전략 도출에 활용할 진단도구를 개발·제시하였다. 아울러 전문대학 혁신 성공요인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대학 당국과 정부에 대한 정책적 시사를 논의하였다.  
<표 1-1> OECD 국가의 OL 네트워크 사업 참여 현황(2010년 10월)	14
<표 1-1> OECD 국가의 OL 네트워크 사업 참여 현황(2010년 10월)	4
<표 3-1> 2010 OECD 󰡔Education at a Glance󰡕에 수록된 OL(교육성과) 관련 지표항목들(표 중심)	30
<표 3-2> OL 네트워크 2009~2010 데이터 제출 요청 세부내역	32
<표 3-3> AL 지표별 내역	34
<표 3-4> AL 지표별 변인 구성	35
<표 3-5> 성인 직업능력개발(AL)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인 정의	37
<표 3-6> 경제활동인구조사와 평생학습실태조사 학력분포	41
<표 3-7> 25~64세 성인의 성별, 연령별 비형식 학습 참여율	42
<표 3-8> 25~64세 성인 개인당 평균 비형식학습 참여 시간	43
<표 3-9> 소득(Earning) 지표 내역	46
<표 3-10> INES 네트워크 사회적 성과(SOL) 요청변인 및 자료원별 대표 문항	52
<표 3-11> 경제활동인구조사와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평생학습실태조사의 학력분포 비교	56
<표 3-12> MTS 자료 변인 및 코딩 소개	60
<표 3-13> VET 자료 가용성(data avaliability)	63
<표 3-14> LSO 네트워크 2010~2011 데이터 제출 요청 세부내역	92
<부표 1-1> AL 자료원별 자료가용성 파악결과	101
<부표 1-2> SOL 자료 가용성 제출 결과	103
<부표 1-3> LFS(Labour Force Status) 데이터 수집 요청 상세 내역	106
<부표 1-4> PIAAC 지표개발에 관한 회원국 검토의견 종합	109
<부표 1-5> INES 중요도 평가 문항, 내용 및 지침사항	111
<부표 1-6> 자료 가용성 조사에 응답한 장표 및 지표 표시	113
<부표 2-1> 지표 검증 및 제출 결과	117
<부표 2-2> 성별, 학력별 상대적 소득	121
<부표 2-3> 55-64세와 25-64세의 상대적 소득 격차	122
<부표 2-4> 25-64세 연간 정규직 소득 및 연간 근로소득	123
<부표 2-5> 연령그룹별 고등 교육을 받은 개인의 OECD 평균 연 노동 비용에서의 편차	125
<부표 2-6> 학력별 OECD 평균 연 노동 비용에서의 편차	126
<부표 2-7> 25-64세 고등 교육을 받은 남성 인구의 연간 노동비용과 해외 직접 투자	127
<부표 2-8> 최근 고등교육 졸업 연간 노동 비용	128
<부표 2-9> 노동 비용 비율과 학력	129
<부표 3-1> 후기중등교육 이수 인구 비율	130
<부표 3-2> 고등교육인구와 잠재성장 비율	131
<부표 3-3> 총 OECD 25-64세 고등교육 인구와 비율의 국가 점유율	132
<부표 3-4> 정규/비정규 교육 참여	133
<부표 3-5> 정규/비정규 교육에 참여하지 않고, 정보를 찾지 않아 온 사람 및 정규/비정규 교육 참여율	134
<부표 3-6> 성별 교육수준 및 실업률	135
<부표 3-7> 학력에 따른 소득 분배 차이	136
<부표 3-8> 초기교육으로 후기 중등 또는 중등 후 비고등교육(ISCED 3/4), 고등교육(ISCED 5/6)을 이수한 남성의 사적, 공적의 경제적 수익	137
<부표 3-9> 고등교육(ISCED 5/6) 이수 여성의 사적 순 현재 가치 구성	138
<부표 3-10> 고등 교육 이수 남성의 공적 대 사적 투자	139
<부표 3-11> 후기 중등 또는 중등 후 비고등 교육, 고등교육 이수 남성의 공적 비용과 이익	140
<부표 3-12> 학력 수준에서 증가와 관련된 주관적 건강에서 증가하는 차이	141
<부표 3-13> 학력 수준 증가와 관련된 정치적 관심에서 증가하는 차이	142
[그림 1-1] OECD INES(교육지표 사업) 세부 네크워크 구성의 변화	3
[그림 1-2] 교육성과(OL) 네트워크의 주요 지표영역 소개 	5
[그림 2-1] INES 교육성과(OL) 네트워크 사업 추진일정	8
[그림 3-1] 최종학력별 연간 근로소득과 OECD 평균 근로소득과의 차(25~64세 남성 기준)	50
[그림 3-2] 그림 A1.1. 고등교육 이수 인구(20008)-EAG 2010	79
[그림 3-3] 그림 A5.5. 비형식교육 참여율 및 참여 시간(2007)-EAG 2010	80
[그림 3-4] 그림 A6.1. 교육수준과 취업률(2008)-EAG 2010	81
[그림 3-5] 그림 A6.2. 학력수준별 성별 취업률 격차(2008)-EAG 2010	82
[그림 3-6] 그림 A6.4. 25-64세 중졸 이하, 고졸, 대졸자간의 실업율 격차(1997-2008)-EAG 2010	83
[그림 3-7] 그림 A7.1. 풀타임 근로자의 학력별, 성별 연간 소득격차(2008 또는 최근 가능 연도)-EAG 2010	84
[그림 3-8] 그림 A10.2. 각국의 학력별 노동비용 격차(OECD 평균=0 기준)-EAG 2010	85
[그림 3-9] 그림 A10.3. 신입 대졸자와 경력 대졸자의 노동 비용-EAG 2010	86
[그림 3-10] 그림 A9.1. 학력 수준별 건강한 성인의 비율(2008)-EAG 2010	87
[그림 3-11] 그림 A9.2. 학력 수준별 정치적 관심을 표현하는 성인 비율(2008)-EAG 2010	8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OECD INES 교육성과(OL) 네트워크 사업(2010) 2010.02.01~201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