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지역인적자원개발의 법적 근거ㆍ1
<표 1-2> 지역인재육성사업의 범주ㆍ2
<표 1-3> 지역별 예산지원 현황 ㆍ4
<표 1-4> 예산집행현황ㆍ5
<표 1-5> 기본 방향ㆍ5
<표 1-6> 공모사업 추진 시 RHRD 센터의 역할ㆍ7
<표 1-7> 연구·조사 필수과제ㆍ8
<표 1-8> 사업 내역ㆍ8
<표 2-1> 사업의 개요ㆍ12
<표 2-2> 평가위원 선정 절차ㆍ14
<표 2-3> 평가위원 구성ㆍ15
<표 2-4> 2010년 지역인재육성사업 평가 추진 일정 ㆍ16
<표 3-1> 평가영역 및 배점, 평가기준ㆍ18
<표 3-2> 주요 일정ㆍ19
<표 3-3> 지역별․사업별 사업 신청 현황ㆍ20
<표 3-4> 분과별 신청액 및 대응투자비율ㆍ20
<표 3-5> 기초단위 신청 사업명ㆍ21
<표 3-6> 광역단위 신청 사업명 (광역 경제권 포함)ㆍ22
<표 3-7> 분과별 선정 현황ㆍ23
<표 3-8> 분과별 선정 결과ㆍ24
<표 3-9> 지역별 선정 현황ㆍ25
<표 3-10> 최종 선정된 기초분과 사업의 주요 컨설팅 내용ㆍ26
<표 3-11> 최종 선정된 광역분과 사업의 컨설팅 내용ㆍ31
<표 3-12> 계속사업분과 사업의 컨설팅 내용ㆍ35
<표 4-1> 분과별 중간점검 현황ㆍ40
<표 4-2> 점검위원용 점검 서식ㆍ42
<표 4-3> 기초분과 사업별 특징ㆍ45
<표 4-4> 광역분과 사업별 특징ㆍ48
<표 4-5> 계속분과 사업별 특징ㆍ51
<표 5-1> 시간별 최종평가 일정ㆍ55
<표 5-2> 2010년도 최종평가의 항목 및 배점ㆍ57
<표 5-3> 최종평가 위원별 평가 양식ㆍ58
<표 5-4> 최종평가 분과별 종합평가 양식ㆍ59
<표 5-5> 최종평가 위원회 구성ㆍ59
<표 5-6> 기초분과 최종평가 결과ㆍ60
<표 5-7> 기초분과 선정결과ㆍ60
<표 5-8> 기초분과 사업별 최종평가 의견ㆍ61
<표 5-9> 광역분과 최종평가 결과ㆍ66
<표 5-10> 광역분과 선정결과ㆍ66
<표 5-11> 광역분과 사업별 최종평가 의견ㆍ67
<표 5-12> 계속분과 최종평가 결과ㆍ73
<표 5-13> 계속분과 선정결과ㆍ73
<표 5-14> 계속분과 사업별 최종평가 의견ㆍ74
<표 6-1> 2010년도 지역인재육성사업 인원구성ㆍ77
<표 6-2> 2010년도 지역인재육성사업 투입예산ㆍ77
<표 6-3> 사업 요약ㆍ90
<표 6-4> 지역별 예산 증감ㆍ105
<표 6-5> 계속사업 비교대상ㆍ108
[그림 1-1] 지역인재육성 사업추진 체계도․2
[그림 1-2] 사업 구성․4
[그림 1-3] 2010년 사업(총 40억) 구성․7
[그림 2-1] 사업추진 체계 (’10년 신규 공모 사업)․13
[그림 2-2] 평가위원회 구성․14
[그림 3-1] 평가일정․19
[그림 6-1] 분과별 평점․78
[그림 6-2] 분과별 수료율․78
[그림 6-3] 분과별 여성참여비율․79
[그림 6-4] 분과별 취업률․80
[그림 6-5] 지역별 평점․81
[그림 6-6] 지역별 교육 수료율․81
[그림 6-7] 지역별 여성참여비율․82
[그림 6-8] 지역별 취업률․83
[그림 6-9] 국비 규모별 평점․83
[그림 6-10] 국비 규모별 수료율․84
[그림 6-11] 국비 규모별 취업률․84
[그림 6-12] 대응자금 규모별 평점․85
[그림 6-13] 대응자금 규모별 교육수료율․86
[그림 6-14] 대응자금 규모별 취업률․86
[그림 6-15] 총 예산 규모별 평점․87
[그림 6-16] 총 예산 규모별 수료율․88
[그림 6-17] 총 예산 규모별 취업률․88
[그림 6-18] 대응자금 비율의 순위 구분에 따른 평점․89
[그림 6-19] 대응자금 비율의 순위 구분에 따른 수료율․89
[그림 6-20] 대응자금 비율의 순위 구분에 따른 취업률․90
[그림 6-21] 분과별 전체적 만족도․92
[그림 6-22] 분과별 강사의 교육준비에 대한 만족도․93
[그림 6-23] 분과별 강사 교육내용과 교육목적과의 부합정도 에 대한 만족도․93
[그림 6-24] 분과별 교육내용의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94
[그림 6-25] 분과별 교육내용 구성의 성의에 대한 만족도․94
[그림 6-26] 분과별 교육내용의 사전공지 및 안내에 대한 만족도․95
[그림 6-27] 분과별 교육현장의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한 만족도․96
[그림 6-28] 분과별 교육시설의 개선요청 반영에 대한 만족도․96
[그림 6-29] 분과별 사업의 지원 및 행정의 신속성에 대한 만족도․97
[그림 6-30] 분과별 교육지원부서의 서비스 만족도․97
[그림 6-31] 분과별 후속교육에 대한 참여의지․98
[그림 6-32] 지역별 전체적 만족도․99
[그림 6-33] 지역별 강사의 교육준비에 대한 만족도․99
[그림 6-34] 지역별 강사 교육내용과 교육목적과의 부합정도에 대한 만족도․100
[그림 6-35] 지역별 교육내용의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100
[그림 6-36] 지역별 교육내용 구성의 성의에 대한 만족도․101
[그림 6-37] 지역별 교육내용의 사전공지 및 안내에 대한 만족도 ․101
[그림 6-38] 지역별 교육현장의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한 만족도․102
[그림 6-39] 지역별 교육시설의 개선요청에 대한 만족도․103
[그림 6-40] 지역별 사업의 지원 및 행정의 신속성에 대한 만족도․103
[그림 6-41] 지역별 교육지원부서의 서비스 만족도․103
[그림 6-42] 지역별 후속교육에 대한 참여의지․104
[그림 6-43] 지역별 예산 증감(백만)․106
[그림 6-44] 지역별 수료율 증감․106
[그림 6-45] 지역별 취업률 증감․107
[그림 6-46] 계속분과사업 2009년 대비 참여인원 및 수료인원․108
[그림 6-47] 계속분과사업 2009년 대비 수료율 및 취업률 증감(%p)․109
[그림 6-48] 계속분과사업 2009년 대비 국고지원 및 대응자금 증감․110
[그림 6-49] 계속분과사업 2009년 대비 대응자금 비율의 증감․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