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활용과 녹색직업

Utilization of Water, Wind,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and Green Job
저자
이남철 김나라 한상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1.30
등록일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녹색직업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1. 연구의 내용 5
    2. 연구의 방법 5
  제3절  연구의 기대 효과 및 활용 7
  제4절  선행 연구 분석 7
제2장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의 특성과 활용 현황 및 발전 전망
  제1절  우리나라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의 특성 13
    1. 수자원 13
    2. 풍력자원 19
    3. 태양광자원 22
  제2절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활용 현황 25
    1. 수자원 25
    2. 풍력자원 31
    3. 태양광자원 42
  제3절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발전 전망 및 시사점 46
    1.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발전 전망 46
    2.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시사점 48
제3장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관련 녹색 직업 직무 조사
  제1절  직무 조사 개요 51
  제2절  분야별 생산 공정과 핵심 직업 53
    1. 수자원 53
    2. 풍력자원 55
    3. 태양광자원 57
  제3절  직업 전망 60
    1. 수자원 분야의 직업 전망 60
    2. 풍력 분야의 직업 전망 63
    3. 태양광 분야의 직업 전망 66
  제4절  직업 이동과 교육 훈련 69
    1. 수자원 69
    2. 풍력자원 77
    3. 태양광자원 91
  제5절  소결 105
    1. 수자원 분야 105
    2. 풍력 분야 107
    3. 태양광 분야 108
제4장  외국의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활용을 통한       녹색 직업 창출 사례 분석
  제1절  미국 111
    1. 수자원 111
    2. 풍력자원 128
    3. 태양광자원 138
  제2절  영국 155
    1. 수자원 155
    2. 풍력자원 158
    3. 태양광자원 164
  제3절  네덜란드 173
    1. 수자원 173
    2. 풍력자원 179
    3. 태양광자원 183
  제4절  중국 186
    1. 수자원 186
    2. 풍력자원 192
    3. 태양광자원 194
  제5절  독일 205
    1. 수자원 205
    2. 풍력자원 218
    3. 태양광자원 226
제6절  국가별, 자원별 녹색 직업 요약 및 시사점 232
    1. 국가별, 자원별 녹색 직업 요약 232
    2. 시사점 237
제5장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과 관련된 인력 수요 분석
  제1절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부문 인력 양성 현황 및 문제점 241
    1.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부문 인력 양성 현황과 문제점 241
  제2절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인력 수요 전망 243
    1. 미국의 재생에너지 분야 일자리 전망 244
    2. 정부의 녹색 일자리 전망 247
    3. 국책연구기관의 인력 수요 전망 250
제6장  정책 제언 및 결론
  제1절  정책 제언 253
    1.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분야 인력 양성 및 활용 253
    2. 훈련 프로그램 질적 담보 및 홍보 강화 257
    3. 녹색산업 기술 기능 인력 양성에 산업계의 참여 확대 258
    4.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관련 분야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직업 조사 259
    5. 법 제도의 정비 259
    6. 기술 환경 변화에 대응한 개인, 기업, 국가의 적극적인 대응 260
    7. 직업 이동에 대한 직업 정보 공개 및 상담 활성화 261
  제2절  결론 262
SUMMARY 265
<부록 1> 수자원, 풍력, 태양광 의견 조사지 269
<부록 2> 수자원, 풍력, 태양광 직무 조사지 291
<부록 3> 수자원과 관련된 녹색 직업 301
<부록 4>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과 관련된 자격 제도 329
참고 문헌	 335
  본 연구는 직무 조사를 통하여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의 다양한 직업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직무 조사에서는 선정된 핵심 직업의 일을 수행하는 현직자를 만나 수행 직무, 직업 이동, 교육 훈련 및 자격, 향후 전망 등에 관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미국, 영국, 네덜란드, 중국, 독일의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활용을 통한 녹색 직업 창출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주요내용
   -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의 특성과 활용 현황 및 발전 전망
   -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관련 녹색 직업 직무 조사
   - 외국의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활용을 통한 녹색 직업 창출 사례 분석
   -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과 관련된 인력 수요 분석
   - 정책제언
  This paper examines the utilization and green jobs of water resources, wind re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qualification system and government policies. Green sectors will require new jobs, but they will also need to redefine many existing jobs profiles related to water resources, wind re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New green jobs of water resources, wind re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field will require new skills in new and emerging occupations. To meet this challenge,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will need to supply a well-trained. In growing water resources , wind re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should focus on skills to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implementation.
  This study presents a policy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A plan for nurturing and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in water resources, wind re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field.
  Second, guarantee of qualification and enhancement of public relations for training program. Third, expansion of industrial world''s participation in nurturing of human resources for green industry technology and technical skills. Fourth, systematic and continuous survey of jobs in relevant fields of water resources, wind re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Fifth, renewal of the law and its system relevant to water resources, wind resources, and solar photovoltaic resources sector. Sixth, individual, enterprises'' and the governmental active action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technology. Seventh, releas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vitalization of career counseling on changing jobs.
<표 1-1> 녹색성장 3대 요소와 내용․2
<표 1-2>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투자에 따른 고용 규모․3
<표 2-1> 풍력산업의 장단점․19
<표 2-2> 풍력산업 분야별 일자리 현황․21
<표 2-3> 풍력산업 전망(2007~2030)․22
<표 2-4> 태양광 설치에 따른 연간 에너지 절감액․24
<표 2-5> 태양광자원의 장단점․24
<표 2-6> 세계 각국의 수자원 현황․26
<표 2-7>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물 수급 전망(’06. 7)․28
<표 2-8> 수자원의 활용 목적․28
<표 2-9> 2007년 세계 풍력발전 시장 점유율 10국 분포․32
<표 2-10> 2007년 세계 풍력시장 상위 10개 제조업체 점유 현황․34
<표 2-11> 2006년 풍력시장 상위 7개국 내 점유 제조업체 순위․35
<표 2-12> 풍력기술 획득 전략․35
<표 2-13> 최근 주요 풍력기업 M&A 현황․36
<표 2-14> 정부 지원 풍력발전설비의 개발 현황․39
<표 2-15> 국내 풍력산업 관련 주요 업체․40
<표 2-16> 국가별 태양광발전 설치 규모(2009년 기준)․42
<표 2-17> 태양광자원의 활용 목적․45
<표 2-18> 국가별 재생에너지 추가 실현 가능 잠재력․47
<표 3-1> 수자원․풍력자원․태양광자원 활용과 녹색 직업 의견 조사 참여자․51
<표 4-1> 미국 경기부양책의 유형․113
<표 4-2> 성장을 위한 재정지출의 주요 항목․114
<표 4-3> 2007년 녹색 직업 높은 평균 임금, 녹색 산업(터번 제조와 전력  발전)과 비교한 전 산업․117
<표 4-4> 크린워터 관련 산업 녹색 일자리 전망․121
<표 4-5> 새로 출현하는 녹색 직업․122
<표 4-6> 진화하는 녹색 직업의 예․124
<표 4-7> 전통적인 녹색 직업의 예․125
<표 4-8> 산업별 응답 비율․126
<표 4-9> 부서 크기와 사업에 따른 응답 비율․126
<표 4-10> 구직자들의 주요 능력별 응답 비율․127
<표 4-11> 미국의 대형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로드맵․129
<표 4-12> 미국의 대형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로드맵․129
<표 4-13> 풍력자원 분야 일자리 유형․130
<표 4-14> 미국 콜로라도 주의 풍력산업 관련 부상하는 직업, 연봉, 교육 수준․131
<표 4-15> 재생에너지 투자에 따른 고용 효과(세계)․139
<표 4-16> 미국의 1,000억 달러 투자에 따른 녹색성장을 통한 고용 효과․141
<표 4-17> 태양광에너지의 산업별 일자리 유형․142
<표 4-18> 미국 콜로라도 주의 태양에너지 및 태양광 산업 관련 부상하는 직업, 연봉, 교육 수준․142
<표 4-19> 2008년 영국의 수자원 관련 고용 현황․158
<표 4-20>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의무 비율 할당제 대상․165
<표 4-21> 영국 재생에너지 생산 현황(’06)․166
<표 4-22> 주요 풍력기 제조사의 네덜란드 시장 점유율․179
<표 4-23> 에너지원별 정 부주도 주요 R&D 프로그램․184
<표 4-24> 녹색성장 관련 주요 정책․189
<표 4-25> 중국의 풍력발전 지원 정책․194
<표 4-26>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 확충 계획(2008년)․195
<표 4-27> 태양광 발전 관련 주요 정책․196
<표 4-28> 각 지역별 태양광 및 태양열 발전 보급 계획․197
<표 4-29> 중국의 신재생에너지원별 발전 원가․198
<표 4-30> 2006~2007 전세계 주요 국가 및 주요 지역의 태양광발전 시장  및 시장 점유율 현황․199
<표 4-31> 2006~2007 세계 각 지역의 태양광전지 생산량 및 시장 점유율․200
<표 4-32> ’07년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부문에서의 고용 창출․202
<표 4-33> 2005년 세계의 환경기술 시장․215
<표 4-34> 신재생에너지 종류별 전력 생산 지원․227
<표 4-35> 2007년 신규 설치 태양광발전 용량 기준 상위 국가․228
<표 4-36> 국가별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관련 녹색 직업 현황․233
<표 4-37> 수자원 관련 국가별 녹색 직업․235
<표 4-38> 풍력자원 관련 국가별 녹색 직업․236
<표 4-39> 태양광자원 관련 국가별 녹색 직업․237
<표 5-1> ’08년도 신성장동력산업 인력 양성 현황․242
<표 5-2> 분야별 인력 양성 규모․243
<표 5-3> 2030년 미국의 재생가능에너지산업 성장 전망치․244
<표 5-4> 분야별 녹색일자리 전망․247
<표 5-5> 직업별 녹색 일자리 현황 및 전망․248
<표 5-6> 신성장동력산업 수급차 전망(2009~2018년)․250
<표 5-7> 신성장동력산업(17개 분야) 수급차 전망(2008~2020년)․251
<그림 1-1> 녹색성장에서 직업 변화․4
<그림 2-1> 수자원 산업의 가치 사슬(Value Chain)․15
<그림 2-2> 세계 수자원 산업의 향후 시장 규모 추이․18
<그림 2-3> 수자원 산업의 가치 사슬(Value Chain)별 시장 규모 비교․18
<그림 2-4> 풍력산업 고용 전망(EU 2007~2030)․21
<그림 2-5> 전 세계 화석에너지 채굴 가능 매장량․23
<그림 2-6> 물의 순환․26
<그림 2-7> 우리나라 수자원 이용 현황․27
<그림 2-8> 세계 연간 풍력발전 설비 용량(GW) 추이․31
<그림 2-9> 국가별 신규 풍력과 전력 공급량 비교․33
<그림 2-10> 글로벌 기업의 사업 모델․37
<그림 2-11> 한국 풍력산업의 2030 비전 및 목표․41
<그림 2-12> 태양광발전 산업의 가치 사슬․44
<그림 2-13> 국가별 태양광발전 규모․44
<그림 3-1> 수자원 분야의 밸류 체인․53
<그림 3-2> 수자원의 밸류 체인별 핵심 직업․54
<그림 3-3> 풍력자원 분야의 밸류 체인․55
<그림 3-4> 풍력자원의 밸류 체인별 핵심 직업․56
<그림 3-5> 태양광 발전의 5단계 밸류 체인․58
<그림 3-6> 태양광 발전의 밸류 체인별 핵심 직업․58
<그림 3-7> 수자원프로젝트매니저(PM)의 직업 이동․73
<그림 3-8> 지하수리학 전문가의 직업 이동․74
<그림 3-9> 하천생태복원 전문가의 직업 이동․75
<그림 3-10> 수자원산업 디자이너의 직업 이동․75
<그림 3-11> (수질)환경영향평가사의 직업 이동․76
<그림 3-12> 풍력자원분석평가사 직업 이동․85
<그림 3-13> 터빈 보수 및 수리 기술자 직업 이동․86
<그림 3-14> 풍력발전 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직업 이동․88
<그림 3-15> 풍력발전 시스템 설치원 직업 이동․89
<그림 3-16> 풍력발전 시스템 운영관리자 직업 이동․90
<그림 3-17>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의 직업 이동․98
<그림 3-18> 태양광 제품 공정 엔지니어의 직업 이동․100
<그림 3-19> 태양광 제품 생산 작업자의 직업 이동․101
<그림 3-20> 태양광 제품 신뢰성 평가사의 직업 이동․102
<그림 3-21> 태양광 제품 품질 관리자의 직업 이동․103
<그림 3-22> 태양광시스템 설치 엔지니어의 직업 이동․104
<그림 3-23> 수자원 분야의 핵심 직업(요약)․106
<그림 3-24> 풍력자원 분야의 핵심 직업(요약)․109
<그림 3-25> 태양광 분야의 핵심 직업(요약)․110
<그림 4-1> 2030년 미국의 재생가능에너지에 의해 창출된 직업 수․131
<그림 4-2> 미국 태양열 에너지 분야 직업 수․141
<그림 4-3>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목표량․164
<그림 4-4> 중국의 풍력발전 보급 추이․192
<그림 4-5> 중국의 태양광자원 분포 및 태양광 산업 주요 클러스터․201
<그림 5-1> 2010~2030년 글로벌 태양광 고용 프로젝트․24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수자원, 풍력자원, 태양광자원 활용과 녹색직업 2010.01.01~2010.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