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Promoting Public Policy Pertaining to Career Education as Part of Efforts to Nurture Creative Talented Persons
저자
이지연 정윤경 이종범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1.30
등록일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진로교육창의인재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론 2
제2장  창의인재와 진로교육
  제1절  창의인재 6
    1. 창의인재의 개념 및 구성요소 6
    2. 창의인재의 필요성 8
    3. 국가수준 교육과정 내의 창의인재 양성 10
  제2절  진로교육 15
    1. 진로교육의 개념 15
    2. 진로교육의 목적 및 학습성과 16
    3. 진로교육의 내용(진로개발역량) 17
    4. 진로교육방법론 19
    5. 국가수준 교육과정 내의 진로교육 21
  제3절  진로교육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 22
    1. 진로교육과 창의인재의 관계성 23
    2.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 24
    3. ‘체험’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론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 27
제3장  진로교육의 인증방안
  제1절  서론 30
    1. 진로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재 양성과 진로교육 인증 30
    2. 연구목적 31
    3. 연구방법 31
    4. 연구 범위 및 한계 32
  제2절  선행연구 및 이론 32
    1. 용어정의 32
    2. 국내 진로교육 인증 사례 34
    3. 외국의 진로교육 인증 사례 46
    4. 소결론 50
  제3절  진로교육인증제 도입방안 52
    1. 진로교육인증제 도입의 기본방향 52
    2. 진로교육 인증대상 54
    3. 진로교육 인증대상별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 57
  제4절  진로교육인증제 운영을 위한 정책 지원방안 69
    1. 교육과학기술부 및 시도교육청 수준 69
    2. 학교수준 70
    3. 학생 및 학부모 수준 70
제4장  진로교육 전담인력의 양성 및 활용 방안
  제1절  서론 74
    1. 진로교육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과 진로교육 전담인력 74
    2. 연구목적 76
    3. 연구방법 77
    4. 연구 범위 및 한계 78
  제2절  선행연구 및 이론 78
    1. 용어정의 78
    2. 학교진로교육 담당인력 현황 및 문제점 83
    3. 교원양성과정의 진로교육과목 개설 현황 및 문제점 100
  제3절  아일랜드 진로교육 전담인력의 ‘자격-양성-활용-재교육’ 118
    1. 아일랜드의 교육 및 진로교육의 특징 118
    2. 아일랜드의 진로교육 담당 전문인력의 ‘자격-양성-활용-재교육’ 125
    3. 시사점 141
  제4절  진로교육 전담인력의 ‘자격-양성-활용-재교육’ 정책 지원방안 142
    1. 학교진로교육 및 전담인력 제도화 142
    2.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촉진 및 전담인력 양성과정 지정 운영 143
    3. 학교진로교육 및 전담인력 지원체계 마련 145
    4. 소결론 146
제5장  진로교육과 입학사정관제
  제1절  서론 148
    1. 진로교육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과 입학사정관제 148
    2. 연구목적 149
    3. 연구방법 150
    4. 연구 범위 및 한계 153
  제2절  선행연구 및 이론 154
    1. 용어정의 154
    2. 입학사정관제도와 관련 선행연구 156
    3. 입학사정관제 운영 현황 및 걸림돌 162
    4. 소결론 192
  제3절  미국 입학사정관제와 진로교육과의 연계 특징 193
    1. 미국 입학사정관제도 개괄 193
    2. 진로교육 측면에서 살펴본 입학사정관제의 특징 197
    3. 진로교육측면의 시사점 211
  제4절  진로교육과 연계된 입학사정관의 역량 요소 216
    1. 델파이 조사를 위한 모형 216
    2. 델파이 패널 구성 218
    3. 델파이 조사 절차 및 분석방법 219
    4. 델파이 자료 분석결과 222
    5. 진로교육과 연계된 입학사정관의 역량 240
  제5절  진로교육과 연계된 입학사정관제도 정책지원방안 248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256
  제2절  제언 263
Summary 267
부  록 271
<부록 1> 1차 델파이 조사 질문지 273
<부록 2> 2차 델파이 조사 질문지 285
<부록 3> 3차 델파이 조사 질문지 305
참고문헌 325
  최근 교육과학부는 미래형 창의인재 육성을 강조하면서 초·중등 교과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지식전달 중심의 주입식 교육을 탈피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개발에 역점을 두는 교육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 교과를 선택하고 교사 중심의 일방적 수업방식이 아닌 학생 중심의 쌍방식 수업참여와 일 체험의 교수·학습방법이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어 이러한 교육성과가 학생 개인의 평생 진로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되어야 하는 '진로교육' 기본 철학에 기초하고 있다.
  이 연구는 창의인재 양성과 진로교육과의 연관성을 탐색·강조하였으며, 진로교육 학교 현장의 주요 3개 분야별 정책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① 진로교육 인증제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고, 양질의 진로교육 실천을 위해 가장 필요한 ② 전문 인력의 양성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성과들이 ③ '입학사정관제도'와 어떤 연계성을 가져야 하는지와 관련된 정책을 제안하였다
  ○ 주요내용
   - 창의인재 양성과 진로교육
   - 양질의 진로지도 서비스 규준과 실천을 위한 진로교육 인증 방안
   -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의 양성 및 활용 방안
   - 진로교육 전문성에 기초한 '입학사정관'의 자격 및 역량
   - 진로교육과 '입학사정관제도' 상생 방안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executive policy agenda in the area of career education for building up the creative talented person for the coming society. Specifically, this research deals with  three key issues on career education today, all of which are assumed as the keys of promoting the creative via invigorating career education. Firstly, it suggests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certific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Secondly, it provides the guideline of develop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career education. Finally, it suggests the promoting ways of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s policy related to practical issues of career education. For 3 issues, researchers diagnosed the current status,  identifi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alternative solutions to be integrated as the promoting public policy of career education. 
  Chapter 1, as the introduction, shows research backgrounds, purposes, main contents, and methods for three subjects respectively. 
  Chapter 2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and career education. First verse identifies necessity, components of the creative, and diagnoses elements of the creative development infused 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verse presents concepts, purposes,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s and outcomes(competencies) of career education and reviews the current career education in terms of national curriculum. Third verse integratively summar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and career education from verse 1 and 2. 
  Chapter 3 deals with the certific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 as the first subject of this research. Specifically, it defines concepts and kinds of the certification of career education, analyses the current state, then suggests the executive ways of this system. In advance of suggesting the system, researchers set up the introductory direction, subjects, and develop indexes, criteria of the certification. Finally this chapter proposes supporting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the certification system in terms of national government. 
  Chapter 4 deals with the guideline of develop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career education, as the second subject of the research. This chapter concludes that professionals with competencies should be build up in order to promoting career education for the creative development, which can be achieved via ‘qualification-development-application- retraining’ system for career professionals corresponding to national policy, general teacher development-application system, and education department of states, cities, and school fields. 
  Chapter 5 deals with the college admissions polic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This chapter firstly reveal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reative development -career education- the college admissions policy, and emphasizes policies activating this linkage. Specifically, verse 1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development and the college admissions. Verse 2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and obstacles of promoting the college admissions policy into seven categories. Verse 3 presents the advanced case of U.S. college admissions policy connected to career education. Verse 4 suggests the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s for Korea abstracted via delphi methods. Finally, verse 5 proposes the promoting public policies for both career education and current college admissions policy.
  The last chapter 6 integrates the results of these three subject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promote publick policy for career education building up the creative talented students at national, states and school level in Korea.
<표 1-1> 소주제별 세부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3
<표 2-1> 창의성 구성요소․7
<표 2-2> 2009 개정교육과정의 배경․11
<표 2-3> 교과활동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방안․13
<표 2-4> 창의적 체험활동의 확대를 통한 양성방안․14
<표 2-5> 진로교육 학습자 성과 - 코네티컷 교육발달평가․17
<표 2-6> 진로교육 교수․학습 방법․20
<표 2-7> 창의인재의 주요개념․23
<표 2-8>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인재 특성의 유사성․26
<표 3-1> 연구의 세부 내용 및 연구방법․31
<표 3-2> 진로 관련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내용․38
<표 3-3> ‘고용서비스우수기관 인증제’ 단위조직의 구성 및 기능․41
<표 3-4> ‘고용서비스우수기관인증제’의 단계별 세부내용․41
<표 3-5>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의 기대효과․43
<표 3-6>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의 인증기준․44
<표 3-7> ‘Career Mark V’의 하위영역 및 내용․46
<표 3-8> ‘Career Scotland Quality Standards’의 세부 수준 및 내용․47
<표 3-9> ‘Center of Career Development Excellence’의 하위영역 및 내용․48
<표 3-10> 국내외의 진로교육인증제 종합 및 시사점․51
<표 3-11> 진로교육 우수 초․중등학교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안)․59
<표 3-12> 우수 공공 및 민간 청소년 진로지도 상담기관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안)․61
<표 3-13> 우수 진로체험 서비스 제공기관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안)․62
<표 3-14> 공공 및 민간 기관의 진로지도상담 프로그램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안)․64
<표 3-15>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 하위활동별 프로그램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안)․65
<표 3-16> 진로정보 인터넷사이트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안)․67
<표 3-17> 진로정보 인쇄물 인증기준 및 인증지표(안)․68
<표 4-1> 소주제별 세부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77
<표 4-2> 교육과학기술부의 진로교육 전담인력 배치계획․82
<표 4-3> 학교진로교육 참여형태에 따른 인력․84
<표 4-4> 전문상담(순회)교사의 각 학교급별 배치현황․85
<표 4-5> 전문상담 순회교사 시도별 정원과 임용 현황․86
<표 4-6> 진로교육 담당인력 양성, 채용 및 활용의 법적 기준․88
<표 4-7> 전문상담교사 자격기준․92
<표 4-8>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활동 비율표․94
<표 4-9> 전문상담 순회교사의 역할․96
<표 4-10> 진로교육 담당인력 재교육(연수)의 법적 기준․97
<표 4-11> 초․중등학교 교원양성기관 총괄․100
<표 4-12>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교과 개설현황․102
<표 4-13>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 관련 과목․103
<표 4-14> 중등교사 교직과목 이수학점․103
<표 4-15> 대학의 교양과목 중 진로교육교과 개설현황․104
<표 4-16> 중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내 교양과목 중 진로교육 관련 과목․105
<표 4-17> 중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내 전공과목 중 진로교육교과 개설현황․107
<표 4-18> 중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내 전공과목 중 진로교육 관련 과목․108
<표 4-19>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110
<표 4-20> 2급 전문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교과 개설현황․111
<표 4-21> 진로교육과목 개설 기관 및 학과(과정) 현황․113
<표 4-22> 진로교육 과목 실제 개설․운영 현황․114
<표 4-23> 진로교육 연평균 수강인원․115
<표 4-24> 진로교육 관련 개설 과목명․116
<표 4-25> 전환학년 내 교과목․122
<표 4-26> 아일랜드의 지도 활동들․126
<표 4-27> 아일랜드의 진로교육 전담인력 양성기관․127
<표 4-28> 진로지도교사 양성과정의 교육내용․128
<표 4-29> 더블린시립대학(DCU)의 2010∼2011년 교육과정․129
<표 4-30> 코크대학의 교육과정․130
<표 4-31> 메이누스 국립대학의 교육과정․131
<표 4-32> 학교 진로지도교사의 역할․132
<표 4-33> 학교지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자원들․135
<표 4-34> 메이누스 국립대학의 교육과정․136
<표 4-35> 핀란드, 뉴질랜드 및 아일랜드의 진로교육 전담인력 비교․139
<표 5-1> 연구 세부내용 및 연구방법․150
<표 5-2> 문헌검토 연구주제․151
<표 5-3> 전문가협의회(간담회) 일정 및 주요 논의주제․152
<표 5-4> 2008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156
<표 5-5> 입학사정관제 시행 대학․159
<표 5-6> 국내 입학사정관제 운영현황 관련 선행연구․161
<표 5-7> 국내 입학사정관제 운영 걸림돌 선행연구․163
<표 5-8> 입학사정관의 자격에 대한 내규․165
<표 5-9> 입학사정관 개인적 특징․167
<표 5-10> 입학사정관제 공통 평가요소 및 평가자료․173
<표 5-11> 입학사정관제 전형자료의 중요도․174
<표 5-12> 2010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전형 현황․177
<표 5-13> 입학사정관 공정성 확보를 위한 대학의 노력․185
<표 5-14> 입학사정관 전문 양성․훈련 프로그램 과정 현황․188
<표 5-15> 입학사정관 고교 연계 활동 현황․190
<표 5-16> 오버슈주립대학 신입생 홍보․모집 계획(1년)․206
<표 5-17> 델파이 패널 구성․219
<표 5-18> 1차 델파이 조사 평정결과 - 영역구분․222
<표 5-19> ‘초․중등교육 이해 및 모니터링’ 영역에 대한 의견․223
<표 5-20> ‘입학전형 연구 및 개발’ 영역에 대한 의견․224
<표 5-21> ‘학생모집 및 입학 홍보․상담’ 영역에 대한 의견․225
<표 5-22> ‘지원학생 평가 및 선발’영역에 대한 의견․226
<표 5-23> ‘입․재학생의 진로개발 및 추수관리’영역에 대한 의견․227
<표 5-24> ‘윤리성’ 영역에 대한 의견․228
<표 5-25> ‘입학사정직무 기초역량’ 영역에 대한 의견․229
<표 5-26> 2차 델파이 조사 평정결과 - 영역구분․230
<표 5-27> 영역구분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230
<표 5-28> 2차 델파이 조사 평정결과 - 하위영역․232
<표 5-29> 2차 델파이 조사 의견 및 3차 설문지 반영 현황․234
<표 5-30> 3차 델파이 조사 평정결과 - 영역구분․236
<표 5-31> 3차 델파이 조사 평정결과 - 하위영역․237
<표 5-32> 집단별 하위요소의 평균 평정치 비교․239
<표 5-33>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된 입학사정관 역량 7개 영역․241
<표 5-34>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된 입학사정관 역량 영역에 따른 하위요소 35개․243
[그림 1-1]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활성화 방안․3
[그림 2-1] 창의인재의 개념․8
[그림 2-2] 우리나라 기업인재상의 변천․9
[그림 2-3] 선진국의 창의․인성 교육 추진현황․10
[그림 2-4] 진로교육의 기본개념․16
[그림 2-5] 진로개발역량 요소 및 설명․18
[그림 2-6] 2009 개정교육과정의 인간상․교육내용․교육과정편제․22
[그림 2-7] 진로교육과 창의인재․27
[그림 3-1] 진로교육의 영역․33
[그림 3-2] 진로교육인증제의 개념․34
[그림 3-3] ‘생애단계별 진로교육 인정제’의 의미, 필요성 및 효과․36
[그림 3-4] ‘생애단계별 진로교육 인정제’의 영역․36
[그림 3-5]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인정제’의 흐름도․37
[그림 3-6] ‘고용서비스우수기관 인증제’의 조직․40
[그림 3-7] ‘고용서비스우수기관인증제’의 인증절차․42
[그림 3-8]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의 인증절차․45
[그림 3-9] 진로교육인증제 도입의 기본방향․53
[그림 3-10] 진로교육인증제의 대상․54
[그림 4-1] 아일랜드의 교육체계․119
[그림 4-2] 전환학년 프로그램 참여 학생수 추이․120
[그림 4-3] 아일랜드의 가이던스․124
[그림 5-1] 입학사정관 사업 시행체제․157
[그림 5-2] 입학사정관제 정착 3단계 추진방안․158
[그림 5-3] 입학사정관 업무 우선순위․170
[그림 5-4] 입학사정관 1인 담당지원자 수․170
[그림 5-5] 입학사정관제 평가요소 및 평가기준 모형․172
[그림 5-6] 입학사정관제 공통 전형절차․176
[그림 5-7] 입학사정관제 전형절차(한동대학교 예시)․181
[그림 5-8]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및 신뢰성 확보방안․184
[그림 5-9] 미국 대학 입시제도 관련 기관의 역할 및 권한․194
[그림 5-10] 미국 입시제도 입학규준 및 가치 변천․195
[그림 5-11] 미국 고등학교 학년별 대학입학 준비과정․199
[그림 5-12] 입학사정 결정에서 주요하게 반영하는 요소․200
[그림 5-13] 입학사정 시 AP 성적의 활용․201
[그림 5-14] 미국 고교의 예비대학과정 개설 및 등록률․202
[그림 5-15] 미국 학교상담가 입학상담 관련 업무빈도․203
[그림 5-16] 입학사정기준의 중요도(2008 기준)․204
[그림 5-17] 미국 대학의 입학 홍보․모집을 위한 전략․205
[그림 5-18] 미국 대학박람회 전경․207
[그림 5-19] 대학박람회 체크리스트․208
[그림 5-20] 입학 관련 정보 출판 - 웹사이트․210
[그림 5-21] 입학 관련 정보 출판 - 인쇄자료․210
[그림 5-22] 입학사정관 업무-역량-양성․훈련 모델․216
[그림 5-23] 입학사정관 역량 초기 개념 모형․218
[그림 5-24] 델파이 조사 절차․220
[그림 5-25] 최종 입학사정관 역량 영역․247
[그림 5-26] 진로교육과 연계된 입학사정관 역량․248
[그림 5-27] 진로교육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과 입학사정관제․250
[그림 6-1] 3개 주제를 통한 진로교육활성화 방안과 연계된 창의인재 육성․26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점)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2010.01.01~2010.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