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산업 선진화를 위한 인재정책 과제
Challenges to the Advancement of the Service Industry through HRD Policy
- 저자
- 장창원 홍광표 이용환 조영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1.30
- 등록일
-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서비스산업지식서비스 산업인재정책
요 약 제1장 연구개요 제1절 연구개요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선진화와 인재정책 5 3. 정책연구 방향과 내용 6 4. 세미나 개최 10 제2장 인재정책 추진과정과 선진화를 위한 인재정책전략 제1절 인재정책 추진과정 13 1. 인재정책 추진의 개괄 13 2. 1차, 2차 인재정책 5개년계획 15 3. 국가선진화를 위한 MB정부 인재정책 18 제2절 체계적인 인재정책전략수립 21 1. 국가정책 환경변화와 인재정책 22 2. 인재정책의 수직적 연계모형 25 3. 범 부처 인재정책의 수평적 연계 27 제3장 서비스산업 전반의 현황과 시사점 제1절 서비스산업 현황 29 1.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현황 30 2. 서비스업 현황의 국제 비교 34 제2절 시사점 43 제4장 지식서비스 산업 부문별 현황 제1절 지식서비스 산업의 현황과 문제 45 1. 거시적 측면 45 2. 산업경쟁력 측면 47 3. 인재 측면 49 4. 제도적 측면 50 제2절 부문별 현황과 문제 51 1. 금융서비스 산업 51 2. 교육서비스 산업 56 3. 관광서비스 산업 60 4. 의료서비스 산업 66 5. 문화서비스 산업 75 6. 정보통신(ICT)서비스 산업 88 제5장 주요 선진국의 서비스산업 동향과 인재정책 추진사례 제1절 주요 선진국 산업동향 91 1. 주요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 동향 91 제2절 주요 선진국 지식서비스 인재정책사례 99 1. 선진국 ICT서비스 투자규모 99 2. 미국의 서비스과학 혁신정책 10개년 종합계획 101 3. 일본의 IT S/W의 타 산업과의 연계 104 제6장 지식서비스 산업 인력수급 추정과 전망 제1절 지식서비스 산업 성장전망 111 제2절 지식서비스 분야 인력수급전망 113 1. 전망개요 113 2. 수요전망 116 3. 공급전망 121 4. 수급차 전망 123 5. 시사점 125 제7장 지식서비스 산업 인재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1절 지식서비스 산업 미래 인재정책과제 133 1. 일반과제 133 2. 특별과제 134 제2절 지식서비스 산업 부문별 시사점과 과제 135 1. 금융 135 2. 교육 144 3. 관광 146 4. 의료 149 5. 문화 151 6. IT 169 제8장 결 론 제1절 요약 177 제2절 정책과제 179 1. 공동 정책과제 180 2. 부문별 과제 182 SUMMARY 185 참고문헌 189
서비스 산업은 우리 경제의 체질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통해 선진국으로 가기 위한 핵심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서비스 산업은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창출을 통하여 고급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어서 현재 우리 경제의 가장 큰 현안인 신규대졸자 취업률 개선과제도 풀 수 있는 출구의 한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특별히 서비스 산업 선진화를 가로막는 진정한 요인과 촉진시킬 수 있는 치열한 시행전략을 찾아내어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 산업의 선진화는 우리 경제의 체질을 한 단계 성숙시키고, 우리경제의 구조를 더욱 다양하게 하는 핵심과제라 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업 선진화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업의 특성상 인재의 육성이 관련 산업의 경쟁력으로 직결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인재정책의 추진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선진화를 견인할 수 있는 지식 서비스부문의 인재정책을 도출하고자 각 부문별 산업 및 인재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서비스 산업의 현황 - 인재정책 부처간 협력방안 - 지식서비스 산업부처 정부인력의 전문성 고도화 - 비전전략, 인재양성, 예산확보, 부처연계를 통한 수단 확보, 평가/기대효과 등 필요에 따른 수직적/수평적으로 연계 -서비스 산업 부문별 인재정책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e competitiveness of one economy is centrally determined by human capital and knowledge.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have for knowledge service industry of accurate creation and generation of statistic indices and related informations about education and labor market in the construction of advanced forward human resources policy issues and system. Given this necessity, vision and strategy setting for advanced service industry, manpower demand & supply estimation, specif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and infrastructures are become more important issue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This research is based on knowledge service industry such as finance, education, medical & healthcare, culture, sightseeing and +ICT service sector in Korea which were selected as new economic growth sector among service industry by the current government. The central focus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issues of advanced forward human resource policy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upgrade of quality of life, to construct basic infrastructure through the innovative idea based on this vision which we got empirical research results, to link one policy to another policy comprehensively in each human resources policy This research and project is mainly divided into 8 chapters of a general research introduction, an advanced countries'' itemized discussion, empirical 6 industries'' current situations and educational manpower supply and demand estimation in 2010-2018, sectoral implications policy issues. Chapter 1 and 2 is composed of contents and frame, issues and range within this research projects and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each HRD policies in this research and projects. Chapters 3, 4, 5, s are composed of current situations, system, problems, manpower, knowledge & information, the relation R&D and HRD in current major developed country''s and domestic situations. Chapter 6 studied that the central focus of this chapter was to estimate the mid-term (by 2018) 6 knowledge industry×higher educational manpower forecasting with using model specification technique in the Korean labor market. For manpower forecasting, the classification of industry data used included second-digit level of the SITC, and higher educations were divided into 4 groups (2 years junior college workers, 4 year college workers, +graduated school workers). And then this study outputs tried to be utilized knowledge service sectors as based quantity index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nstructions to link the credibility of the outcome. However, this linking trial study is only a first step and, because it had limited data and any other problems, future studies need to be undertaken continuously are necessary to link quality with quantity estimation. Good estimation signal output can be decreased the quantity skill-mismatch workers in labor market. Chapter 7 was suggested general and sectoral implications and policy issue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ssue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is study placed a particular emphasis on higher education policy which was the fixed capacity number coordination issue and dissemination of R&D good outputs because of raising competitiveness of power and decreasing structural unemployment rate through R&D creative output, dissemination of it in higher education, utilizing it in industry. If th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provide excess supply of graduates relative to labor market demand, these fixed numbers should be coordinated. The problems of skill-mismatch and asymmetry of labor market information were also raised. Other policy issues raised in the study concerned problems associated with time series data and creation of essential data, and methodology development for manpower forecasting, linking quality with quantity for evaluating results, etc. Final chapter was described overall summary on based this project.
<표 1-1> 서비스산업의 GDP 및 고용비중의 국제비교(2008년 기준)․3 <표 1-2> 전문가 세미나 개최․11 <표 3-1> 생산구조 추이(명목)․30 <표 3-2> 산업별 취업자 추이․32 <표 3-3> 산업별 취업유발계수 추이․33 <표 3-4> 상품 및 서비스 수출입 추이․34 <표 3-5> 서비스산업의 분류․38 <표 3-6> 본 연구에서의 서비스산업의 분류․38 <표 4-1> 산업별 성장률 추이․45 <표 4-2> 지식서비스 산업의 비중 변화 전망․46 <표 4-3> 지식서비스 산업에 대한 재정지원․46 <표 4-4> 지식서비스 산업의 국제비교(2006)․47 <표 4-5> 주요국의 지식서비스 부문 노동생산성․47 <표 4-6> 지식서비스 업체의 경영상의 애로사항․50 <표 4-7> 국별 세계 1000대 은행 수․52 <표 4-8> 국별 금융의 세계화 지수(TNI)․53 <표 4-9> 국별 금융 전문인력 비중․53 <표 4-10> 한국금융의 SWOT 분석․55 <표 4-11> 유치원, 초․중등학교의 학교․학생․교원 추이․57 <표 4-12> 고등교육기관의 학교․학생․교원 추이․58 <표 4-13> 교육서비스 산업의 SWOT 분석․60 <표 4-14> 의료서비스 산업의 규모․67 <표 4-15> 의료인력의 수급전망․69 <표 4-16> 병상수 변화추이․71 <표 4-17> 병․의원 도산현황․72 <표 4-18> 의료산업 관련 각종 규제․74 <표 4-19> 문화산업 현황․77 <표 4-20> 콘텐츠 시장 규모․81 <표 5-1> 주요 선진국의 서비스산업의 성장률과 변동성․93 <표 5-2> 주요 선진국과 한국의 민간 R&D 투자 중 서비스업 비중(2004)․93 <표 5-3> OECD 주요국의 서비스산업별 마크업 추정치․99 <표 5-4> IT S/W 사업실적 상위 20건․105 <표 5-5> 한일 패키지S/W 수출입 동향․109 <표 6-1> 주요국의 지식서비스업 대 GDP 비중․112 <표 6-2> 부문별 고용증가율과 고용창출기여도․113 <표 6-3> 지식서비스 산업 분야와 한국표준산업분류 연계표․115 <표 6-4> 지식서비스 산업의 인력수요전망․117 <표 6-5> 지식서비스 산업의 성장수요 및 대체수요 전망(2010∼2018)․119 <표 6-6> 지식서비스 산업의 신규수요전망(2010∼2018)․121 <표 6-8> 지식서비스 산업의 수급차 전망․124 <표 6-9> 지식서비스 산업의 전망기간별 수급차 전망(2009∼2018)․125 <표 7-1> 관광산업의 신규수요전망(2010∼2018)․147 <표 7-2> 문화산업인력의 신규수요전망(2010∼2018)․152 <표 7-3> 문화산업인력의 신규공급전망(2010∼2018)․152 <표 7-4> 문화산업인력의 수급차 전망․153 [그림 2-1] 국가정책의 한 축인 인재정책과 정책비전․23 [그림 2-2] 인적자원정책의 환경변화․24 [그림 2-3] 인재정책의 혁신기반․25 [그림 2-4] 수직적 인재개발과정과 건축과정의 비교도․26 [그림 2-5] 본 연구의 수평적 연계체계․28 [그림 3-1] GDP 대비 제조업 및 서비스산업의 비중(명목)추이․31 [그림 3-2] 국가별 서비스업 부가가치 및 고용 비중(2008)․35 [그림 3-3] 서비스산업이 차지하는 고용비중(1995, 2008)․36 [그림 3-4] 서비스 수지 추이․37 [그림 3-5] OECD 국가의 서비스산업 유형별 노동생산성(2008)․42 [그림 4-1] 문화산업 매출액 추이․77 [그림 5-1] 주요 선진국의 규제와 마크업 간의 관계․96 [그림 5-2] OECD 국가의 FDI의 서비스업 비중 비율(2006)․98 [그림 5-3] ICT Tech. 글로벌 지출규모 전망․100 [그림 7-1] 21세기 인류문화의 진보 단계․170 [그림 8-1]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인재정책과제․179 [그림 8-2] 공동정책과제․181 [그림 8-3] 부문별 정책과제․18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중점)서비스 산업 선진화를 위한 인재정책 과제 | 2010.01.01~2010.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