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 연구

A Study on School-to-Work for University Graduates in Korea
저자
김안국 이영대 장수명 유한구 한상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1.30
등록일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대학졸업자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선행연구 3
  제3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6
제2장 대졸 청년 노동시장 문제의 구조적 요인
  제1절 청년층의 고학력화의 이론 11
  제2절 청년고용과 경제활동상태의 추이 22
  제3절 청년층 산업수요 분석 28
  제4절 과잉 학력 및 전공-직종 미스매치 분석 32
  제5절 소결 41
제3장 대학생 취업준비 노력의 실태분석
  제1절 대학생 취업의 문제 45
  제2절 취업준비활동 실태조사 개요 49
  제3절 취업준비활동 조사결과 51
  제4절 대졸 청년층 취업노력성과 분석 73
  제5절 소결 85
제4장 대학의 취업지원 우수사례 분석
  제1절 대학의 취업지원 우수사례의 선별 91
  제2절 연구 방법 93
  제3절 취업지원 우수대학의 조건 95
  제4절 향후 개선방향 116
  제5절 소결 121
제5장 대학졸업자의 직업 관련 재교육 선택과정과 과제
  제1절 머리말 123
  제2절 대졸 미취업자 규모의 증대 126
  제3절 대졸 청년 미취업자의 진로와 각종 정책 129
  제4절 대졸 미취업자의 직업 관련 재교육 선택 131
  제5절 소결: 정책과제 159
제6장 대학-노동시장 이행분석-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제1절 머리말 165
  제2절 전공선택 및 대학 수준과 인적자본의 축적 167
  제3절 GOMS 자료와 전공선택 및 대학수준 173
  제4절 전공선택 결정요인 178
  제5절 전공계열 및 대학수준의 노동시장성과 186
  제6절 소결 204
제7장 결론
  제1절 연구의 요약 207
  제2절 시사점 및 정책대안 211
SUMMARY 217
부록 223
참고문헌 267
  대졸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을 파악하기 위해 대졸 청년의 노동시장 구조, 대학생의 사교육, 대학생의 취업준비 노력과 대학의 취업지원 노력, 대학을 졸업하고 전문대나 폴리텍 등 직업교육을 다시 받고 있는 졸업생들, 전공별 혹은 학교특성별 노동시장 성과를 살펴 보았다.
  대졸 청년의 고용문제는 수요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2003년부터 공급이 과잉이어서 발생하였다. 대학생의 사교육이 적지 않았고, 그러한 사교육의 취업 효과는 없었지만, 취업 준비 노력은 노동시장 이행에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대학은 취업지원을 위해 총장이나 학과 교수들이 적극적이어야 하며, 취업전담교수제나 취업지원조직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 전문대나 폴리텍으로 재입학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우리나라 대학 교육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대학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성공은 대학의 수준, 전공, 대학의 성적 등 전통적인 인적자본 요소들에 의존한다. 
  Now the problems of employment for university graduates come from the oversupply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were resulted in more schooling prophensity in Korea. Prophensity for more schooling is ongoing by the raising efficiency for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the jobs longevity''s enlargement. So the policies for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should focus on the use of the supply of more schooling, and the industry changing policy adapt to the enlarge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expansion. And in Korea there is not enough costs, especially psychological costs for the university education, so the policy on the raising the psychological costs are needed urgently, which will have to be the core of the reforming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If the psychological cost for the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greater than thesy days, then the number of entering the university will be reduced and the problems come from the oversupply of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disappeared.
  The oversupply of university students is making the signaling effect of university degree dull. So the university students are trying to get some special signal to represent themselves as special. That is the ''filing up spec''. But the effect of filing up spec is not working in graduates'' achieving career development and job finding. For degrees to work efficiently in labor market, the education of university will be upgraded fully for it to become appropriate signal. This reforming on the university education will make the students not get some spec in vain but get good score in their majors, and eventually achieve good job and career development....
<표 Ⅱ-1> OECD 시기별 고용률(15∼24세)․23
<표 Ⅱ-2> 청년층 경제활동상태의 추이․25
<표 Ⅱ-3> 청년층 취업자 감소 요인 분해․27
<표 Ⅱ-4> 청년층 학력별 근로자수 추이․29
<표 Ⅱ-5> 연령대별 노동수요의 변화(산업․직종 기준)․31
<표 Ⅱ-6> 대기업, 공무원, 금융업 부문 취업자 규모의 추이․36
<표 Ⅱ-7> 학력별 취업애로층의 추이․38
<표 Ⅱ-8> 전문대졸 이상 청년의 일자리 직무와 전공의 일치 정도․39
<표 Ⅱ-9> 대학 전공과 직종의 일치 정도․40
<표 Ⅱ-10> 졸업 전공별 전공-직종 일치 정도(첫 직장)․40
<표 Ⅱ-11> 남녀별·학교유형별 전공-직종 일치 정도(첫 직장)․41
<표 Ⅲ-1> 표집․50
<표 Ⅲ-2> 졸업 후 진로(전문대학)․52
<표 Ⅲ-3> 졸업 후 진로(4년제 대학)․53
<표 Ⅲ-4> 사교육 경험․54
<표 Ⅲ-5> 사교육비 지출과 사교육 횟수(전문대학)․55
<표 Ⅲ-6> 사교육비 지출과 사교육 횟수(4년제 대학)․56
<표 Ⅲ-7> 내용별 연간 사교육비 지출액․57
<표 Ⅲ-8> 취업준비도 자기평가(전문대학)․62
<표 Ⅲ-9> 취업준비도 자기평가(4년제 대학)․62
<표 Ⅲ-10> 취업준비활동 시간․64
<표 Ⅲ-11> 취업준비활동 횟수(전문대학)․65
<표 Ⅲ-12> 취업준비활동 횟수(4년제 대학)․66
<표 Ⅲ-13> 취업준비활동 비용(전문대학)․67
<표 Ⅲ-14> 취업준비활동 비용(4년제 대학)․68
<표 Ⅲ-15> 학과공부시간․70
<표 Ⅲ-16> 부업(아르바이트)시간․71
<표 Ⅲ-17> 해외연수비용․72
<표 Ⅲ-18> 취업준비노력에 따른 미취업기간의 탈출효과․79
<표 Ⅲ-19> 첫 취업에 영향을 미친 취업준비노력의 효과․81
<표 Ⅲ-20> 괜찮은 일자리로의 첫 취업에 영향을 미친 취업준비노력의 효과․82
<표 Ⅲ-21> 첫 일자리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노력의 효과․84
<표 Ⅳ-1> 대학의 취업지원 우수사례를 추천한 전문가 명단․92
<표 Ⅳ-2> 대학의 취업지원 우수사례․92
<표 Ⅳ-3> 대학의 취업지원 우수사례 탐구를 위한 심층인터뷰 항목․94
<표 Ⅴ-1> 폴리텍과 전문대학생, 직업전문학교학생 대상 FGI 내용․124
<표 Ⅴ-2> 폴리텍과 전문대학 교수에 대한 내용․125
<표 Ⅴ-3> 전문대학 입학전형유형별 정원과 등록인원(2008학년도)․132
<표 Ⅴ-4> 2010년 융합형 학과별 고학력자 입학비율 현황․133
<표 Ⅴ-5> 산업학사학위과정 중 고등교육기관 재학경험자의 학력․134
<표 Ⅴ-6> 기능사과정 중 고등교육기관 재학경험자의 학력․134
<표 Ⅴ-7> 폴리텍 및 전문대학별 재입학자들의 특성비교․140
<표 Ⅴ-8> 폴리텍과 전문대학 입학이전의 직업활동․146
<표 Ⅴ-9> 폴리텍과 전문대학 입학과정과 학교만족도․151
<표 Ⅴ-10> 전문대학생의 고민내용․152
<표 Ⅵ-1> 대학종류별 전공계열 분포․174
<표 Ⅵ-2> 대학그룹별 공학계열 수능성적 비교(2003년)․177
<표 Ⅵ-3> 대학그룹별 공학계열 수능성적 비교(1994년)․178
<표 Ⅵ-4> 전공선택 기술통계․179
<표 Ⅵ-5> 실용적 전공(교육, 사회계열, 의학, 공학)선택․180
<표 Ⅵ-6> MNL: 전문대학의 전공계열 선택(인문계열 기본)․181
<표 Ⅵ-7> MNL 모형: 4년제 대학과 교육대학교 계열선택․184
<표 Ⅵ-8> 2008 대졸자 경제활동상태․187
<표 Ⅵ-9> 전문대 4대 보험 보장 일자리 보유 여부 (2008)․188
<표 Ⅵ-10> 취업과 4대 보험 보장 일자리 결정요인․189
<표 Ⅵ-11> 전문대 임금평균․192
<표 Ⅵ-12> 4년제 대학 대학교 임금평균․192
<표 Ⅵ-13> 4년제 대학 대학종류별 임금평균․193
<표 Ⅵ-14> 월소득 결정요인(회귀분석모형)․196
<표 Ⅵ-15> 4년제 대학 졸업자(인문․사회계열) 월임금 결정요인․199
<표 Ⅵ-16> 4년제 대학 졸업자 월임금 결정요인․200
<표 Ⅵ-17> 4년제 대학 졸업자 월임금 결정요인․203
[그림 Ⅰ-1] 대졸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 연구의 분석모형․9
[그림 Ⅱ-1] 연도별·학교급별 학생 수․12
[그림 Ⅱ-2] OECD 국가 고학력화의 추세(고등교육 이수자 비중)․12
[그림 Ⅱ-3] 교육기간의 선택과 교육시점의 선택․15
[그림 Ⅱ-4] 고등교육 선택의 비용과 수익․19
[그림 Ⅱ-5] 상대적 숙련수요의 증가와 숙련편향적 기술변화․21
[그림 Ⅱ-6]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청년층 인구의 추이․24
[그림 Ⅱ-7] 대졸 청년 노동력 수요 추세와 공급 비교․35
[그림 Ⅱ-8] 대기업 신규채용 추이(1993∼2007)․37
[그림 Ⅲ-1] 졸업 후 진로계획․51
[그림 Ⅲ-2] 취업사교육 참여비율․54
[그림 Ⅲ-3] 사교육비 부담 주체․58
[그림 Ⅲ-4] 사교육을 받는 목적․59
[그림 Ⅲ-5] 사교육 이외의 취업준비․60
[그림 Ⅲ-6] 취업준비 정도․61
[그림 Ⅲ-7] 취업의 성공요인․69
[그림 Ⅴ-1] 폴리텍과 전문대학 학생의 학년 및 과정․135
[그림 Ⅴ-2] 전문대학과 폴리텍 학생의 입학년도․135
[그림 Ⅴ-3] 폴리텍 학생의 출생년도․136
[그림 Ⅴ-4] 전문대학생의 출생년도․136
[그림 Ⅴ-5] 폴리텍 학생의 성별 및 병역필 여부․137
[그림 Ⅴ-6]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병역필 여부․137
[그림 Ⅴ-7]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입학 전 학력․138
[그림 Ⅴ-8] 폴리텍 학생의 입학전 학교 졸업년도․139
[그림 Ⅴ-9] 전문대학생의 입학 전 학교 졸업년도․139
[그림 Ⅴ-10] 폴리텍과 전문대학생이 입학 전 직업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141
[그림 Ⅴ-11]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이 직장을 못 구한 이유․142
[그림 Ⅴ-12]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입학 전 직장에 대한 만족정도․143
[그림 Ⅴ-13] 폴리텍 학생의 입학 전 직장에 대한 세부항목별 만족정도․143
[그림 Ⅴ-14] 전문대학생의 입학 전 직장에 대한 세부항목별 만족정도․144
[그림 Ⅴ-15]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입학 전 직장의 전공직무일치․145
[그림 Ⅴ-16]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입학 전 직장을 그만둔 이유․145
[그림 Ⅴ-17]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재입학대학에 대한 선택방법․147
[그림 Ⅴ-18]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재입학대학 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147
[그림 Ⅴ-19]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재입학대학 선택에 영향을 준 요인․148
[그림 Ⅴ-20]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재입학학과 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148
[그림 Ⅴ-21]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재입학학과 선택에 영향을 준 요인․149
[그림 Ⅴ-22]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재입학대학에 대한 만족 정도․150
[그림 Ⅴ-23]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의 재입학대학 졸업 후 희망진로․152
[그림 Ⅴ-24] 폴리텍 학생과 전문대학생이 판단하는 취업의 중요요인․15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점)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 연구 2010.01.01~2010.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