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구직 불일치 해소를 위한 산학연계시스템
Industry-Educational Collaboration System for the Resolution on Job Mismatch
- 저자
- 김영생 박동 백성준 박철우 심우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06)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1.30
- 등록일
-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구인구직 불일치산학협력
요 약 제1장 연구개요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의 문제와 내용 5 1. 연구문제 5 2. 연구내용 6 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8 제2장 불일치 실태와 산학협력의 효과 제1절 중소기업 인력 부족 실태와 문제점 19 1. 중소기업 인력문제 19 2. 중소기업 인력 실태 22 3. 중소기업 구인 관련 실태 30 4. 중소기업 인력난의 원인 36 5. 소결 42 제2절 청년층의 구직난 실태와 문제점 43 1. 청년실업률 추이 43 2. 청년층 구직난의 원인과 특징 45 3. 구직활동의 특성과 문제점 50 4. 소결 54 제3절 분석의 시사점 및 정책 제안 55 1. 미스매치의 심각성과 그 특성 55 2.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산학협력의 효과 분석 57 3. 산학협력사업의 고용창출 효과분석 64 4. 발전 방향 72 제3장 산업단지의 어메니티 분석을 통한 중소기업의 근무여건 분석 제1절 산업단지의 어메니티의 실태와 문제점 77 1. 산업단지 어메니티 개선의 필요성 77 2. 산업단지 어메니티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분석 80 제2절 중소기업 구인난 해소를 위한 산업단지의 어메티니 개선방안 93 1. 어메니티와 구인난의 관련성 분석 93 2. 산업단지 어메니티 개선을 위한 실행방안 95 제4장 산학협력의 실태와 불일치 문제 제1절 산학협력의 선행연구 99 1. 산학협력의 개념 99 2. 산학협력의 성공요인과 문제점 103 제2절 산학협력의 실태분석 112 1. 산학협력의 휴먼 및 소프트웨어 분석 112 2. 산학협력의 성과 분석 129 3. 재정 투자와 중요도의 불일치 조사결과 분석 135 4. 실태분석의 요약 및 시사점 142 5. 실태분석의 결론 및 발전과제 146 제5장 불일치 해소를 위한 산학협력의 전략:기술개발과 이전, 인력양성, 취업지원의 통합적 접근 제1절 통합적 접근의 출발점 149 1. 지식기반 산업이 주도하는 환경의 급격한 변화 149 2. 청년층의 직업의식변화 151 3. 산학협력과 인재육성, 고용연계 가능성 154 제2절 국내외 사례 및 시사점 158 1. 국외사례 158 2. 국내사례 분석 166 3. 시사점 169 제3절 개선과제와 추진전략 170 1. ‘수요-인재육성-고용-일자리 창출’을 위한 선순환 산학협력체제구축 170 2. 고용창출 및 연계를 위한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174 3. 산학협력 도제교육을 위한 사회환경 조성 183 제4절 실효적 실행을 위한 기반조성과 실행체계의 구축 190 1. 기반조성과 실행체계의 중요성 190 2. 기반조성과 실행체계의 구축방안 191 제6장 산학연계 시스템 개선 방안 -휴먼웨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개선방안- 제1절 산학협력 운영체제의 혁신 195 1. 접근방법과 전략 195 2. 실행방안 197 제2절 직업교육과 훈련의 현장성 강화와 기업과 학교의 순환구조 수립 199 1. 개선방향 199 2. 국내외 사례 및 시사점 206 3. 체계적 현장훈련 실행방안 214 제3절 구직자 관점의 중소기업 평가지원 모델 및 구인구직 정보지원 시스템 개발 227 1. 구인구직 정보의 연결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중요성 227 2. 관련 분야 연구 동향 231 3. 기업평가 지표 선정 237 4. 자료조사 및 분석 239 5. 구직자 관점의 기업평가 지원 시스템 249 6. 결론 및 시사점 258 SUMMARY 261 <부록 1> 설문지(산학협력단) 267 <부록 2> 설문지(기업) 285 <부록 3> 설문지(구직대학생) 301 참고문헌 317
산학협력은 기업, 학교 및 연구기관이 협력을 전제로 국가혁신 체제를 구성하는 모든 다양한 형태의 협력활동을 포괄하여 연구개발, 인적자원 육성, 공동사업을 포함하고, 국가연구개발과 인적자원개발에 주요 정책으로서 국책R&D투자 및 국가인적자원개발과 활용에 핵심적인 정책 사업, 국민경제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지원, 기술이전 및 지도에 중요한 전달체계이다. 효율적인 산학연계시스템의 구축을 산학협력을 활성화시켜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청년에게 일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는 청년실업 해소에 가장 큰 역할이 기대되기 때문에 청년층 실업문제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산학연계시스템의 혁신은 휴먼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구성된 체계적이며 통합된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특히 지금까지 양적인 확대에서 질적인 성장 즉, 구체적인 성과 창출 확대전략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구인구직 불일치 해소를 위한 중소기업의 취업정보를 대학생의 구직정보를 연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한 결과를 CD로 제작하여 첨부하였다. ○ 주요내용 - 구인구직 불일치의 실패와 문제점 분석 - 산업단지의 어메니티 분석을 통한 근무여건 분석 - 산학협력의 성과와 발전과제 - 불일치 해소를 위한 산학협력의 혁신전략 - 산학연계 시스템 개선방안 : 휴먼, 소프트, 하드웨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and the issue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policies in order to resolve the mismatch of the current younger population’s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and the companies, especially small and medium companies’difficulty in hiring new workers as well as the limitation and problems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business. Based on this, it intends to develop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and specific schemes to solve the job mismatch situation. The focus of the study is on examining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the industrial- educational collaboration on the resolution of the mismatch and two main groups of industrial-education collaboration, companies and universities’ mode of collaboration and the possibility for such collaboration to resolve the mismatch were stressed. The collection of data for the study were done with the findings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along with surveys, expert associations, on-site inspection and the researches on the cases in other count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llege students seeking employment and authorities from small companies, universities and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uthorities. The informal gathering of experts were held for the head of the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erson in charge of the business management, employment advisors, person in charge of the company research and developm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the effects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to resolve the job mismatch. First,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resolve the mismatch of goal setting between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and the universities because of the arranged investments centered on universities. Such investments must be discouraged and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ng employment opportunities,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should be regulate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and small and medium companies oriented employment friendly business. Moreover the budget for the support of new growth industries would have to be expanded. Second, with more depth analysis on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the difficulties facing the participation of industrial- educational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its achievements and issues, can be further examined. Such difference in perception should be resolved through communication and established trusts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companies, promoting the active networks of cooperative learning, customized business design per level and support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the companies from the existing university-oriented supports. Third, the network of ‘personnel-employment-creating job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such network, the coloration system must be secured and the societal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where companies and universities, gather their resources for the fostering of the talented personnel together. Fourth, ADS for the hands-on practical learning and training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must be established. Lastly, in terms of hard wares, the amenity of the industrial complex must be improved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workers. Further, more systematic support for the job seekers to search various data on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would be requir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measures for improvement, more long-term researches and support should be required for the industrial- educational collaboration to have an impact on the resolution of the job mismatch.
<표 1-1> 설문 영역과 항목:취업 준비 대학생 대상․14 <표 1-2> 설문 영역과 항목:중소기업 인사담당자․14 <표 1-3> 설문 영역과 항목:중소기업 근로자․14 <표 1-4> 설문 영역과 항목:학교 산학협력 담당자․15 <표 1-5> 대학재학 구직자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15 <표 1-6> 기업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16 <표 1-7> 대학 산학협력단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17 <표 2-1> 학력별 기술개발 전문인력 부족률․21 <표 2-2> 주요 OECD 국가 자영업자 비중(2008)․22 <표 2-3> 산업별 중소기업 인력수요동향․23 <표 2-4> 규모․지역별 인력 부족인원․부족률․25 <표 2-5> 직종별 근로자 수 비중(2009)․27 <표 2-6> 연도별 중소기업 인력부족률․28 <표 2-7> 직종별 인력구성 및 부족률(2009)․29 <표 2-8> 지식기반 서비스 규모별 인력부족률․30 <표 2-9> 신규 인력 모집(구인) 방법․31 <표 2-10> 구인을 위한 활동 내용․32 <표 2-11> 신입직원을 위한 프로그램 및 훈련 제도․33 <표 2-12> 신입직원의 정착을 돕는 프로그램의 내용․33 <표 2-13> 기업에서 느끼는 구인난의 정도․34 <표 2-14> 산학협력 사업 참여 CA․40 <표 2-15> 청년실업률 추이․44 <표 2-16> 청년층이 선호하는 취업처․45 <표 2-17>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46 <표 2-18> 중소기업의 개선 희망 사항-1순위 * 성별 교차표 * 전공 계열 교차표․46 <표 2-19> 대학생이 원하는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이유․47 <표 2-20> 직종별 부족인력 확보 애로사항(복수응답)․48 <표 2-21> 중소기업에서 청년 인턴 채용이 어려운 이유(복수응답)․49 <표 2-22> 구직중인 산업 * 성별 교차표 * 전공 계열 교차표․50 <표 2-23> 취업 관련 정보 주요 취득처-1순위 * 성별 교차표 * 전공계열 교차표․51 <표 2-24> 취업/창업을 위해 교육 훈련을 받은 경험여부 * 성별 교차표 * 전공 계열 교차표․52 <표 2-25> 취업준비 교육훈련에 참여하는 이유․52 <표 2-26> 취업준비 활동의 효과성․53 <표 2-27> 산업분류․65 <표 2-28> 산학연협력체제 활성화지원 세부사업 연도별 지원액․66 <표 2-29>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의 취업유발인원․67 <표 2-30> 학교기업의 취업유발인원․68 <표 2-31> 커넥트코리아의 취업유발인원․69 <표 2-32> 지역혁신인력 양성사업의 취업유발인원․70 <표 2-33> 산학연협력체제 활성화지원사업의 취업유발인원․71 <표 3-1> 우리나라의 전국 산업단지 현황(2010년 3월말 기준)․78 <표 3-2> 산업단지 실태 관련 응답자의 인적 속성․80 <표 3-3> 산업단지 어메니티의 구성요소․81 <표 3-4> 업종별 인력채용 시 어려움의 정도․82 <표 3-5> 업종별 평균승진 소요 평균 년수․83 <표 3-6> 업종별 정규직 신입사원의 연봉․83 <표 3-7> 구로디지털단지와 그 외 산업단지의 노조유무 및 상장현황 교차분석․84 <표 3-8> 구로디지털단지와 그 외 지역 간의 자사브랜드 소유 및 인력난 정도․85 <표 3-9> 업종에 따른 회사입지 지역의 주변 환경 만족도 평균 비교․86 <표 3-10> 구로디지털단지와 그 외 산업단지의 주변환경 만족도 평균비교․87 <표 3-11> 구로디지털단지와 그 외 지역의 사회적 여건 만족도 평균비교․88 <표 3-12> 구로디지털단지와 그 외 지역의 문화환경 만족도 평균비교․88 <표 3-13> 산업단지 주변 환경 만족도 평균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90 <표 3-14> 산업단지 사회적 환경 만족도 평균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91 <표 3-15> 산업단지 문화환경 만족도 평균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92 <표 3-16> 회귀결과 요약․93 <표 4-1> 산학협력 주요 목적․102 <표 4-2>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체계적인 관점으로 구분․109 <표 4-3> 산학협력을 추진 동기․113 <표 4-4> 산학협력 시 주된 접근 방법․114 <표 4-5> 산학협력 추진 방식․115 <표 4-6> 산학협력의 성공요인․116 <표 4-7> 산학협력 운영의 장애요소․117 <표 4-8>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제도 활용 시 애로사항 - 연구/기술개발 사업․119 <표 4-9>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 제도 활용시 애로사항-인력양성, 능력개발 사업․120 <표 4-10> 바람직한 산학협력의 구조․121 <표 4-11> 현장실습 참여 동기․122 <표 4-12> 대학생 현장 실습 만족도․123 <표 4-13> 대학생 현장실습의 문제점․124 <표 4-14> 산학협력 활동에 참여의 정도․125 <표 4-15> 산학협력의 주요 의사결정에 요구 반영 정도․126 <표 4-16> 산학협력에 기여 또는 투자 대비 이익정도․127 <표 4-17> 산학협력 강화 시 기업의 경쟁력 강화 정도․128 <표 4-18> 산학협력 방법유지에 따른 경쟁력 강화 효과․129 <표 4-19> 산학협력 전반의 기대 및 성과의 비교․130 <표 4-20> 학교기업 사업의 목표수준 및 성과․132 <표 4-21> 지역혁신인력 양성사업의 목표와 성과․133 <표 4-22> 산학협력 중심대학 사업․134 <표 4-23> 주요 분야별 중요도 및 재정 투입․136 <표 4-24> 산학협력체제 구축에 있어 내용의 중요도 및 실제예산 투입․137 <표 4-25> 산학협력중심대학 중요 항목의 중요도와 실제예산투입․138 <표 4-26> 지역혁신인력 양성사업의 중요도와 예산투입․139 <표 4-27> 광역경제권 사업 중요도와 예산투입․140 <표 4-28> 학교기업 지원사업의 중요도와 예산투입․141 <표 5-1> 고학력 청년실업의 주된 이유․152 <표 5-2> 직업의식의 변화․153 <표 5-3> 산학연간 물리적 클러스터화 국외사례․164 <표 5-4> 산학연 물리적 클러스터화 국내사례․167 <표 5-5> 인재육성․고용연계 통합접근을 위한 4대 운영 네트워크․173 <표 5-6> 네트워크 목적 및 사업내용․174 <표 5-7> 네트워크 목적 및 사업내용․177 <표 5-8> 네트워크 목적 및 사업내용․180 <표 5-9> 네트워크 목적 및 사업내용․183 <표 6-1> 현장실습을 위한 바람직한 상태와 현 실태․205 <표 6-2> 교사와 훈련가의 비교․208 <표 6-3> 현장훈련과정과 자격요건․209 <표 6-4> 훈련자의 훈련 역량․209 <표 6-5> 가장 중요한 숙련기술 육성방법․216 <표 6-6> 고용보험으로 지원된 현장훈련 체계적 실시에 관한 조사 결과․216 <표 6-7> 현장훈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조건․217 <표 6-8> 직장선택 시 주요 고려 요인․231 <표 6-9> 요인의 3계층 구조 구성 및 지표 설정․238 <표 6-10> 설문 응답자 분포․240 <표 6-11> 직장선택 요인별 중요도 분석 결과(총 635명 분석)․242 <표 6-12> 직장선택 요인별 순위 및 누적 중요도․243 <표 6-13> 직장선택 지표별 순위 및 누적 중요도․244 <표 6-14> 조사기업의 업종별 분포․246 <표 6-15> 가중치를 반영한 기업평가 결과․247 <표 6-16> 분류별 기업 평가 점수의 기초 통계량․248 [그림 1-1]휴먼, 소프트 및 하드웨어로 구성된 시스템 구조․8 [그림 1-2] 문제해결의 과정과 비형식 및 기회 학습 모형․10 [그림 2-1]중소기업 현상진단․20 [그림 2-2]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의 간접적 고용 영향 경로․58 [그림 2-3]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59 [그림 5-1]성장과 인재매칭 복합화 필요․150 [그림 5-2]고학력 청년층의 선호도 vs 일자리 현황․152 [그림 6-1]서술식 SOP 매뉴얼과 ADS를 활용한 SOP 매뉴얼 비교․223 [그림 6-2]ADS를 활용한 SOP 매뉴얼의 구성요소․223 [그림 6-3]매뉴얼 사진 예시․224 [그림 6-4]아이콘 종류 및 사용범위 (일부)․225 [그림 6-5]그림 예시․226 [그림 6-6]기업의 점수별 분포․248 [그림 6-7]주요 구성 모듈․249 [그림 6-8]구직자의 직장선택 요인 설문화면․252 [그림 6-9] 기업평가 리포트․253 [그림 6-10] 구직자 그룹별 평가지표 가중치․254 [그림 6-11] 사용자별 응용 시스템 기능․25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중점)구인·구직 불일치 해소를 위한 산학연계시스템 | 2010.01.01~2010.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