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평생학습의 세 가지 목적과 정책영역․9
<표 2-2> 사회통합을 위한 평생학습정책․11
<표 2-3> 평생교육 예산 연도별 투자규모․11
<표 2-4> 2008년 대상별 프로그램 지원 현황․15
<표 2-5> 2008년 프로그램 내용별 지원 현황․15
<표 2-6> 연도별 프로그램 지원 현황․16
<표 2-7> 연도별 직업능력개발사업 실적 및 예산(’04∼’08)․16
<표 2-8> 2009년 평생교육기관 현황․18
<표 2-9> 지식·인력개발사업 관련 평생교육시설 특성별 현황․19
<표 2-10>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기관 현황․21
<표 2-11> 사회적 배제의 구조․22
<표 2-12> Duhaime et al.(2002)의 사회통합 차원별 지수 구성․30
<표 2-13> Rajulton et al. (2007)의 사회통합 차원 및 측정지표․33
<표 2-14> Chan et al. (2006)의 사회적 통합 측정의 틀․34
<표 2-15> Chan et al. (2006)의 사회적 통합 측정지표․34
<표 2-16> 성한기(2001)의 한국판 사회정체화 척도(5점 측정)․37
<표 2-17> 채정민·김종남(2004)의 상대적·절대적 박탈감 척도․37
<표 2-18> 한유화·정진경(2007)의 집단적 자아존중감 척도․38
<표 3-1> 성인학습 보조금 소득 기준 및 주당 급여액(Directgov, 2010)․59
<표 3-2> 저임금근로자 현황․68
<표 3-3> 독일의 취업자 현황․68
<표 3-4> 실업자 현황 I(매해 5월 시점)․68
<표 3-5> 실업자 현황 II(매해 1월 시점, %)․69
<표 3-6> 중증장애인의 고용과 실업(연평균)․69
<표 3-7> 이민자, 외국인, 독일인 실업자 구조(%)․70
<표 3-8> 연방고용청이 규정한 고용근접상태의 구성요소와 사업 내용․71
<표 3-9> 평생직업교육훈련사업 해당 프로그램(2009년 시점)․75
<표 3-10> 직업재훈련(Berufliche Weiterbildung) 프로그램 참여자(연평균)․77
<표 3-11> 중증장애인의 참여 현황(연평균)․77
<표 3-12> 25세 이하 청년층 참여 현황(연평균)․77
<표 3-13> 50세 이상 연령층의 참여 현황(연평균)․78
<표 3-14> 장기실업자의 직업재훈련 및 사회적응 훈련사업 참여 현황(연평균)․78
<표 3-15> 2007년에 이주한 이주민의 국적과 인원수․83
<표 3-16> ‘사내 직업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기업의 비율(전체 기업 수 대비, 2005년)․95
<표 3-17> 평생교육에 대한 성인참여율(2007년)․96
<표 3-18> 직업훈련을 받은 성인 취약계층의 비율․108
<표 4-1>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간 관계의 차원과 차원별 지표구성․127
<표 4-2> 설문지 문항 구성․129
<표 5-1> 결혼이주민의 규모 변화․136
<표 5-2> 결혼이주민의 출신국별 분포․137
<표 5-3> 결혼이주민의 지역별 분포․139
<표 5-4> 결혼이주민의 특성별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141
<표 5-5> 결혼이주민의 경제활동상태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43
<표 5-6>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146
<표 5-7>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업 내용․147
<표 5-8>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과정별 단계․150
<표 5-9> 행정안전부의 다문화가족(결혼이주민) 사회적응 지원방안․153
<표 5-10> 지방자치단체의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예시)․158
<표 5-11> 결혼이주민이 참여한 평생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164
<표 5-12> 평생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선택기준․165
<표 5-13>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자 중 직업목적․166
<표 5-14>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기관․167
<표 5-15> 직업교육훈련기관 선택기준․168
<표 5-16> 연간 직업교육훈련 참여시간․169
<표 5-17> 연간 직업교육훈련 참여 개인부담 학습비․170
<표 5-18> 평생직업교육훈련 학습비 수혜․171
<표 5-19> 평생직업교육훈련 학습비 지원기관․172
<표 5-20> 결혼이주민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만족 요소․173
<표 5-21> 결혼이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관련 어려움․174
<표 5-22> 지난 1년간 참여희망 프로그램 유무 및 참여여부․175
<표 5-23> 지난 1년간 참여희망 교육훈련프로그램․176
<표 5-24> 희망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미참여(장애) 요인․177
<표 5-25> 결혼이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관련 정보검색 경험․178
<표 5-26> 결혼이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관련 정보습득 경로․179
<표 5-27>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신뢰’의 차이․181
<표 5-28>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183
<표 5-29>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특성변인 통제)․184
<표 5-30>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네트워크’의 차이․186
<표 5-31> 평생직업교육훈련이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187
<표 5-32> 평생직업교육훈련이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특성변인 통제)․189
<표 5-33>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참여’의 차이․191
<표 5-34>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192
<표 5-35>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194
<표 5-36>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교육효과(개인)’의 차이․197
<표 5-37>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교육효과(개인)’에 미치는 영향․198
<표 5-38>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교육효과(개인)’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199
<표 5-39>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교육효과(직업)’의 차이․200
<표 5-40>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교육효과(직업)’에 미치는 영향․201
<표 5-41>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교육효과(직업)’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203
<표 5-42>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교육효과(사회)’의 차이․205
<표 5-43>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교육효과(사회)’에 미치는 영향․206
<표 5-44>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교육효과(사회)’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207
<표 5-45> 평생직업교육훈련 여부에 따른 ‘비경제적 효과(삶의 목표)’의 차이․210
<표 5-46> 평생직업교육훈련이 ‘비경제적 효과(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211
<표 5-47> 평생직업교육훈련이 ‘비경제적 효과(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213
<표 5-48> 평생직업교육훈련 여부에 따른 ‘가치관과 규범’의 차이․214
<표 5-49>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가치관과 규범’에 미치는 영향․215
<표 5-50> 평생직업교육훈련이 ‘가치관과 규범’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217
<표 5-51> 평생직업교육훈련 여부에 따른 ‘자신에 대한 가치’의 차이․219
<표 5-52>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자신에 대한 가치’에 미치는 영향․220
<표 5-53>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자신에 대한 가치’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221
<표 5-54> 평생직업교육훈련 여부에 따른 주관적 ‘사회통합’ 인식의 차이․224
<표 5-55>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주관적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225
<표 5-56> 평생직업교육훈련이 주관적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특성통제)․226
<표 6-1> 북한이탈주민 입국자 성별 현황(2009년 기준, 1989∼2010. 1.)․235
<표 6-2> 북한이탈주민 입국자 연령별 현황(입국시점 기준, ’10년 1월 현재 입국자 기준)․235
<표 6-3>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10년 1월 현재 입국자 기준)․236
<표 6-4> 단기집중훈련형 기초직업훈련의 훈련직종․241
<표 6-5> 직업훈련수당․245
<표 6-6> 직업훈련장려금․247
<표 6-7> 자격취득장려금․248
<표 6-8> 직업교육훈련 참여 실태 (중복응답)․249
<표 6-9> 참여한 프로그램 유형(중복응답)․250
<표 6-10>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250
<표 6-11> 참여 기관유형(중복응답)․252
<표 6-12> 직업교육훈련 기관 선택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252
<표 6-13> 자격증 취득 가능여부, 학습비 지원여부 및 지원기관(중복응답)․253
<표 6-14> 직업교육훈련 경험의 도움정도: 개인적 차원․254
<표 6-15> 직업교육훈련 경험의 도움정도: 직업능력관련․254
<표 6-16> 직업교육훈련 과정의 만족스러운 점․255
<표 6-17>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검색 경험․256
<표 6-18>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집여부․256
<표 6-19>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정보 습득 경로․256
<표 6-20>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참여희망 프로그램 유무․257
<표 6-21>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참여희망 프로그램 참여여부․257
<표 6-22> 직업교육훈련의 어려운 점․258
<표 6-23> 북한이탈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259
<표 6-24> 북한이탈주민의 건강관련 특성․261
<표 6-25> 신뢰에 대한 인식 정도․262
<표 6-26>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 정도․262
<표 6-27> 자주 만나는 사람들의 특성-교육수준․263
<표 6-28> 자주 만나는 사람들의 특성-사회적 지위․264
<표 6-29> 자주 만나는 사람들의 특성-경제적 지위․265
<표 6-30> 단체 참여여부․266
<표 6-31> 직업교육훈련 후 참여단체 참여정도 변화․266
<표 6-32> 참여의 인식 정도․268
<표 6-33> 삶의 목표, 가치관과 규범, 자신의 가치, 만족감·적응·소속감․269
<표 6-34>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270
<표 6-35>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횟수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272
<표 6-36>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가 경제적, 비경제적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275
<표 6-37> 북한이탈주민의 평생직업교육훈련 참여횟수가 경제적, 비경제적 성과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277
<표 6-38> 사회통합효과 비교․278
<표 6-39> 사회통합효과 비교- 집단 간 차이 분석․279
<표 6-40>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비교․280
<표 6-41>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비교․283
<표 6-42>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경제적, 비경제적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비교․286
<표 6-43>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경제적, 비경제적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비교․289
<표 7-1> 근로빈곤에 대한 세 가지 개념ㆍ294
<표 7-2> 근로빈곤 규모의 추이ㆍ296
<표 7-3> 직업교육훈련 참여실태(중복응답)ㆍ304
<표 7-4> 참여한 프로그램 유형(중복응답)ㆍ304
<표 7-5>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ㆍ306
<표 7-6> 참여기관 유형(중복응답)ㆍ307
<표 7-7> 직업교육훈련 기관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ㆍ308
<표 7-8> 자격증 취득 가능 여부, 학습비지원 여부 및 지원기관(중복응답)ㆍ308
<표 7-9> 직업교육훈련 경험의 도움정도: 개인적 차원ㆍ310
<표 7-10> 직업교육훈련 경험의 도움정도: 직업능력관련ㆍ310
<표 7-11> 직업교육훈련 과정의 만족스러운 점ㆍ311
<표 7-12>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 관련 정보검색 경험ㆍ312
<표 7-13>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 관련 정보수집 여부ㆍ312
<표 7-14>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정보 습득 경로ㆍ313
<표 7-15>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참여희망 프로그램 유무 ㆍ313
<표 7-16>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참여희망 프로그램 참여여부ㆍ313
<표 7-17> 직업교육훈련 과정에서 어려운 점ㆍ314
<표 7-18> 근로빈곤층 집단의 일반적 특성 ㆍ316
<표 7-19> 근로빈곤층의 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신뢰 수준 및 네트워크 정도ㆍ316
<표 7-20> 자주 만나는 사람들의 특성ㆍ317
<표 7-21> 공식적, 비공식적 모임 또는 단체 참여여부ㆍ318
<표 7-22> 근로빈곤층의 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적 참여수준ㆍ319
<표 7-23> 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비경제적 성과와 사회통합 수준ㆍ319
<표 7-24> 근로빈곤층의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ㆍ322
<표 7-25> 근로빈곤층의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ㆍ324
<표 7-26> 근로빈곤층의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경제적, 비경제적 성과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ㆍ325
<표 7-27> 근로빈곤층의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경제적, 비경제적 성과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ㆍ326
<표 7-28> 사회적 자본: 신뢰, 네트워크, 참여ㆍ329
<표 7-29> 일반인과의 비교: 각종 성과지표 점수ㆍ329
<표 7-30>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ㆍ330
<표 7-31>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ㆍ332
<표 7-32> 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가 경제적, 비경제적 성과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ㆍ333
<표 7-33>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경제적, 비경제적 성과 및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ㆍ335
<표 8-1> 연도별, 성별 등록장애인 현황ㆍ343
<표 8-2> 2008년 대상별 프로그램 지원 현황ㆍ346
<표 8-3> 2008년 프로그램 내용별 지원 현황ㆍ346
<표 8-4> 연도별 프로그램 지원 현황ㆍ347
<표 8-5> 장애인 직업훈련 체제ㆍ348
<표 8-6> 직업교육훈련 참여실태(중복응답)ㆍ349
<표 8-7> 참여한 프로그램 유형(중복응답)ㆍ350
<표 8-8>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ㆍ351
<표 8-9> 참여기관 유형(중복응답)ㆍ352
<표 8-10> 직업교육훈련 기관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ㆍ353
<표 8-11> 자격증 취득 가능 여부, 학습비지원 여부 및 지원기관(중복응답)ㆍ353
<표 8-12> 직업교육훈련 경험의 도움정도: 개인적 차원ㆍ355
<표 8-13> 직업교육훈련 경험의 도움정도: 직업능력관련ㆍ355
<표 8-14> 직업교육훈련 과정에서 만족스러웠던 점ㆍ356
<표 8-15>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훈련프로그램 관련 정보검색 경험ㆍ357
<표 8-16>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훈련프로그램 관련 정보수집 여부ㆍ357
<표 8-17>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지 못한 이유ㆍ357
<표 8-18>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정보 습득 경로ㆍ358
<표 8-19> 직업훈련교육 참여에 따른 참여희망 프로그램 유무ㆍ358
<표 8-20> 직업훈련교육 참여에 따른 참여희망 프로그램 참여여부ㆍ359
<표 8-21> 직업교육훈련의 어려운 점ㆍ360
<표 8-22> 장애인 집단의 일반적 특성ㆍ361
<표 8-23> 장애인의 신뢰 수준 및 네트워크 정도ㆍ362
<표 8-24> 장애인이 자주 만나는 사람들의 특성ㆍ362
<표 8-25> 공식적, 비공식적 모임 또는 단체 참여여부ㆍ363
<표 8-26>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적 참여수준ㆍ365
<표 8-27> 직업교육훈련 참여에 따른 삶의 목표, 가치관과 규범, 자신의 가치, 만족감·적응·소속감ㆍ366
<표 8-28> 장애인 직업교육훈련 참여여부가 사회적 자본 수준에 미치는 영향ㆍ367
<표 8-29>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사회적 자본 수준에 미치는 영향ㆍ369
<표 8-30>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의 참여가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ㆍ371
<표 8-31>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비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ㆍ373
<표 8-32>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비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ㆍ375
<표 8-33> 사회적 자본: 신뢰, 네트워크, 참여ㆍ376
<표 8-34> 비장애인과의 비교: 인적자본과 개인의 삶에 대한 태도 등ㆍ377
<표 8-35>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사회적 자본 수준에 미치는 영향ㆍ377
<표 8-36>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사회적 자본 수준에 미치는 영향ㆍ380
<표 8-37>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ㆍ382
<표 8-38> 직업교육훈련의 참여여부가 비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ㆍ383
<표 8-39> 직업교육훈련의 참여횟수가 비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ㆍ384
<표 9-1> 신뢰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ㆍ390
<표 9-2> 신뢰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일반인)ㆍ392
<표 9-3> 신뢰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과 일반인 비교)ㆍ393
<표 9-4> 네트워크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ㆍ394
<표 9-5> 네트워크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일반인)ㆍ395
<표 9-6> 네트워크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과 일반인 비교)ㆍ397
<표 9-7> 참여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ㆍ398
<표 9-8> 참여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일반인)ㆍ399
<표 9-9> 참여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과 일반인 비교)ㆍ400
<표 9-10> 경제활동 참여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취약계층)ㆍ402
<표 9-11> 경제활동 참여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일반인)ㆍ403
<표 9-12> 경제활동 참여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분석결과(취약계층과 일반인 비교)ㆍ404
<표 9-13> 임금소득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ㆍ406
<표 9-14> 임금소득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일반인)ㆍ407
<표 9-15> 임금소득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과 일반인 비교)ㆍ409
<표 9-16> 비경제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ㆍ411
<표 9-17> 비경제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일반인)ㆍ412
<표 9-18> 비경제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과 일반인 비교)ㆍ413
<표 9-19> 사회통합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취약계층)ㆍ415
<표 9-20> 사회통합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일반인)ㆍ416
<표 9-21> 사회통합 수준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ㆍ417
<표 9-22> The following variances are negative. (Group number 1 - Default model)ㆍ419
<표 9-23> RMSEA-기본구조모형ㆍ419
<표 9-24> Baseline Comparisons-기본구조모형ㆍ420
<표 9-25> Baseline Comparisons -대안구조모형ㆍ420
<표 9-26> RMSEA-대안구조모형ㆍ421
<표 9-27> Regression Weights: (Group number 1 - Default model)ㆍ421
[그림 2-1] 평생학습과 학습사회․9
[그림 2-2] 평생학습의 참여실태와 수요 분석․10
[그림 2-3] 평생직업능력개발의 비전·목표 및 추진전략․13
[그림 3-1] 월 실업탈피율(2005~2008)․78
[그림 3-2] 장기실업자 추이(1992~2009)․79
[그림 4-1]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126
[그림 5-1] 국내 국제결혼의 비중과 추세․135
[그림 5-2] 결혼이주민의 취업 직종․140
[그림 5-3] 결혼이주민의 경제활동별 직업교육훈련 희망․143
[그림 5-4] 2010년 정부부처의 결혼이주민 관련사업 총괄․145
[그림 5-5]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결혼이주민 대상 취·창업교육․148
[그림 5-6] 지방자치단체의 결혼이주민 지원서비스 유형․154
[그림 5-7] 결혼이주민 평생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유형․163
[그림 6-1] 2009년 3월 북한이탈주민 입국 및 거주현황 추세․236
[그림 6-2] 북한이탈주민 이주유형 및 이주경로․237
[그림 6-3] 시대별 북한이탈 유형․238
[그림 6-4]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지원체계․239
[그림 7-1] 근로빈곤층의 구성ㆍ295
[그림 8-1] 국민기초생활보장 일반수급 가구 수ㆍ344
[그림 9-1]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ㆍ418
[그림 9-2]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간의 기본구조모형ㆍ419
[그림 9-3] 평생직업교육훈련과 사회통합 간의 대안구조모형ㆍ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