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지식기술 창업 연구
Research on Knowledge Technology Entrepreneurship for Youth
- 저자
- 박동 김안국 황규희 이종선 이봉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2.31
- 등록일
- 2010.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청년창업창업교육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1. 연구의 내용 4 2. 연구 방법 5 제2장 청년 지식기술 창업 관련 이론적 논의 제1절 청년 지식기술 창업의 개념과 현황 11 1. ‘청년 지식기술 창업’의 개념 정의 11 2. 청년 고용 및 창업의 현황과 특성 14 제2절 청년 창업 관련 이론적 논의 28 제3장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 사업 실태 분석 제1절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 사업 현황 41 제2절 청년 창업 지원 사업의 운영 실태 43 1. 창업 교육 사업 43 2. 창업 경진 대회 사업 52 3. 사업화 지원 54 제3절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 사업 종합 평가 59 제4장 우리나라 청년 지식기술 창업의 실태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61 제2절 청년 지식기술 창업 실태 조사 결과 65 1. 청년 고용 일반 현황 65 2. 청년 창업에 대한 인식 68 3. 창업 교육 실태에 대한 인식 76 4. 창업 동아리 활동 및 창업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80 제3절 청년 창업 계획의 결정 요인 분석 82 제4절 분석의 시사점 86 제5장 국내외 청년 지식기술 창업 사례 및 시사점 제1절 해외의 청년 지식기술 창업 사례 91 1. 미국 스탠포드대학과 UC 버클리대학의 청년 지식기술 창업 사례 91 2. 핀란드 알토대학의 산학 융합형 청년 지식기술 창업 사례 105 제2절 국내의 청년 지식기술 창업 사례 122 1. 학생창업보육센터를 통한 청년 지식기술 창업 성공 사례 122 2. 산업 단지 내 산학 캠퍼스를 통한 청년 지식기술 창업 성공 사례 136 3. 텐어클락의 청년 지식기술 창업 성공 사례 146 제3절 국내외 사례의 정책적 시사점 158 제6장 청년 지식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제1절 대학 차원의 정책 과제 164 1. 대학 교육 과정을 통한 체계적 창업 교육 실시 164 2. 학생창업보육센터 설립을 통한 창업 동아리 활동의 활성화 166 제2절 정부 차원의 정책 과제 168 1.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 사업의 연계성 강화 168 2. 청년 창업 성공 역할 모델의 발굴 및 확산 169 3. 산학 융합 단지 구축을 통한 청년 창업 활성화 171 4. 기타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173 제7장 결론 SUMMARY 177 부록 설문지 187 참고문헌 203
본 연구는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 청년층의 고용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대학(원)생 등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지식기술 창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의 관련 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 청년 지식기술 창업 실태조사,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업교육을 경험하거나 창업동아리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계획을 수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학생들 주변에서 창업에 성공한 사람이 있으면 창업을 계획할 확률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울 이외 지역의 학생들은 서울 소재 대학생들보다 창업에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향후 청년층의 창업의욕 고취 및 청년창업 지원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대학에서는 대학 교육과정을 통한 체계적 창업교육 실시, 학생창업보육센터 설립을 통한 창업동아리 활동의 활성화 등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정부차원에서는 청년창업 지원 사업의 연계성 강화, 청년 지식기술 창업 성공 역할모델의 발굴 및 확산, 산학융합단지의 구축 및 활성화 등의 정책방안을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주요내용 - 청년 지식기술창업의 개념과 이론적 논의 - 정부의 청년창업 지원 사업 실태분석 - 우리나라 청년 지식기술창업 실태조사 - 국내·외 청년 지식기술 창업 성공사례 및 시사점 - 대학 및 정부 차원의 청년 지식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recipe for knowledge and technology start-ups that the youth such as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can directly take part in, as one of alternatives for breaking through the serious crisis of youth unemployment during a global economic depression. This Research was intended not only to suggest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present problem of youth unemployment, but also to establish a proposal for training and cultivating the creative and innovative start-ups that will lead the prospective ‘Creative Economy’ focused on knowledge and technology. To this end, the following matters were analyzed. First, the concepts of ‘youth’ and ‘knowledge technology’ were defined, and then the present status of the youth start-ups was analyzed based on the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data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SMBA). Then, Korean and foreign 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youth start-ups were reviewed, and the direction for this research was sought. Second, the government’s policies for the youth start-ups were analyzed for each ministry, and their problems were searched and assessed synthetically.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government has promoted the diversity of start-ups and job creation policies, the government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its youth start-ups support policy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expanding youth employment. Third, the actual conditions of college students, professors and business incubator center occupants related to the youth knowledge and technology start-ups were analyzed. A survey on actual conditions was conducted focused on the general status of youth employment, the awareness of the youth start-ups, start-up education, start-up activity, problems of youth employment, and recipes for the invigoration of the youth start-ups. Fourth, Korean and foreign cases that could function as role models for the invigoration of the youth knowledge and technology start-ups in Korea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youth knowledge and technology start-ups and the start-up activity support system in Silicon Valley, US and Otaniemi, Finland that have led a second IT revolution focused on the Smartphone, the implications for Korean circumstances were derived, and then were utilized to form policy initiatives. Finally, based on the foregoing analysis and implications, detailed agendas for invigorating the youth start-ups in Korea were examined. Here, the initiatives for youth start-ups and the invigoration of students’ business incubation clubs through a lived experience-based start-up education, successful start-up role model development and expansion and buildup of an industry-academia fusion complex were suggested. ...
<표 2-1> 한국 표준 산업 분류에 입각한 지식기술 산업 현황․12 <표 2-2> 우리나라 청년층 경제 활동 상태의 추이․16 <표 2-3> 벤처 기업 창업자의 연령 분포․21 <표 2-4> 연령대별 창업 동기․22 <표 2-5> 창업 시 업종 선택의 이유․22 <표 2-6> 창업 과정 상의 애로 사항(중복 응답)․23 <표 2-7> 창업에 대한 정보 습득의 출처․24 <표 2-8> 습득한 창업 정보에 대한 만족도․24 <표 2-9> 현 창업 직전의 직업․25 <표 2-10> 창업의 비용․26 <표 2-11> 창업 비용 중 자기 자본 비율․26 <표 2-12> 현 사업의 영업 활동 애로 사항․27 <표 2-13> 현 사업을 그만두고 회사에 취업할 의사․28 <표 3-1>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 사업의 유형별 운영 현황․42 <표 3-2> 연도별 창업 강좌 지원 실적․43 <표 3-3> 창업 동아리 지원 현황․45 <표 3-4> 창업 대학원 지정․운영 현황․47 <표 3-5> 창업 대학원 졸업생 배출 및 창업 현황․47 <표 3-6> 기술 창업 학교 운영 현황․48 <표 3-7> 중소 벤처 창업 경진 대회 운영 실태․53 <표 4-1> 수도권의 대학(원)생 수와 교수의 비중․62 <표 4-2> 응답자 표본의 특성․64 <표 4-3> 전공 분야로의 취업의 어려움 정도․67 <표 4-4> 창업에 대한 관심 여부․69 <표 4-5> 대학(원)생의 창업 계획 수립․70 <표 4-6> 대학(원)생의 창업 계획 수립에 대한 집단별 인식 차이․71 <표 4-7> 대학(원)생의 창업 계획 수립에 대한 연령대별 인식 차이․72 <표 4-8> 창업 계획에서 주변 친지의 창업 성공이 미치는 집단별 영향 차이․73 <표 4-9> 대학(원)생의 창업 의향 분야․74 <표 4-10> 아이디어만으로 창업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집단별 인식 비교․75 <표 4-11> 창업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집단별 인식 비교․76 <표 4-12> 창업 교육 경험과 창업 계획 유무의 연관성․77 <표 4-13> 창업 교육의 차별화 필요성․78 <표 4-14> 창업 교육의 실시 시기․79 <표 4-15> 창업 교육의 정규 교과 과정 포함 여부․79 <표 4-16> 창업 동아리 활동 경험과 창업 계획 수립의 연관성․81 <표 4-17> 청년 창업 환경에 대한 집단별 인식 비교․82 <표 4-18> 모형의 설명 변수들의 상관 분석 결과․84 <표 4-19> 청년 창업 계획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84 <표 4-20> 서울 소재 대학과 그 밖의 지역 대학의 창업 관련 카이제곱분석 결과․86 <표 5-1> 호서대학교 창업 동아리 분포․131 [그림 2-1] OECD 시기별 고용률(15~24세)․15 [그림 2-2] 한국의 경제 성장률과 취업자 증가율, 청년 취업자 증가율추이․18 [그림 2-3] 연령대별 신설 법인 수 추이․19 [그림 2-4] 소기업의 39세 이하 경영자 비율 추이․20 [그림 2-5] 정보의 프로세싱과 개인적 의사 결정의 구조․32 [그림 2-6] 기업가의 단계적 발전 모형․32 [그림 2-7] 바이그레이브의 창업 과정 모형․33 [그림 2-8] 티몬스의 창업 성공 모델(Timmons model)․36 [그림 3-1] 대전광역시의 대학 창업 300 프로젝트 지원 체계도․58 [그림 5-1] 실리콘 밸리 청년 지식기술 창업 단계 및 모형․103 [그림 5-2] 오타니에미 사이언스 파크의 산학 융합형 창업 보육 네트워크․107 [그림 5-3] 오타니에미 사이언스 파크의 단계별 창업 지원 프로그램․114 [그림 5-4] 순환형 벤처 창업 지원 시스템․124 [그림 5-5] 호서대학교의 벤처 창업 예비 교육 과정․125 [그림 5-6] 호서대학교의 창의성 함양 교육 과정 체계도․126 [그림 5-7] 호서대학교 순환형 학생창업보육센터 체계도․129 [그림 5-8] 학생창업보육센터 지원 체계․130 [그림 5-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엔지니어링 하우스 개념도․137 [그림 5-10] EH 참여 졸업생 만족도 설문 조사 결과․138 [그림 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창업 프로그램 프로세스․14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중점)청년 지식기술창업 연구 | 2010.01.01~201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