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A Study of the Various Domains and Factors Pertaining to Core Competencies
- 저자
- 주인중 박동열 진미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1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0.31
- 등록일
- 2010.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기초능력성취기준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내용 3 1. 국외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사례 고찰 3 2. 국내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현황 분석 4 3.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 4 4. 직업기초능력 활용을 위한 제언 5 제3절 연구방법 5 1.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6 2. 학교급별 연구진 협의회 7 3. 델파이 조사 분석 7 4. 전문가협의회 8 제4절 연구의 범위 9 제2장 국외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사례 고찰 11 제1절 미국 12 1.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2 2. EFF(The National Institute for Literacy's Equipped for the Future) 14 3. O*NET(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 17 4. ETA(Employment & Training Administration competency model) 19 제2절 영국 23 제3절 호주 26 1. Mayer 교육위원회 26 2. ACCI(Australi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30 제4절 캐나다 33 제5절 OECD 37 1. OECD의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37 2. OECD 성인 직업기초능력 조사 40 제6절 소결 44 제3장 국내 기관별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현황 분석 49 제1절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사례 49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9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7 3. 한국교육개발원 75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9 5. 노동부 83 6. 기업체 역량 모델링 88 제2절 직업기초능력 요소 및 성취기준 비교 94 1. 직업기초능력 요소 94 2. 직업기초능력 성취기준 100 제3절 소결 101 제4장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요소 개발 105 제1절 직업기초능력 영역(안) 도출 106 1. 직업기초능력 개념 및 범위 106 2. 직업기초능력 영역 109 3. 직업기초능력 요소 및 정의(안) 도출 111 제2절 델파이 조사 115 1. 조사개요 115 2. 조사결과 123 제3절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 155 1. 모형 155 2. 대상별 적용방안 158 제5장 직업기초능력 모형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167 제1절 직업기초능력 성취기준 개발방안 168 1. 직업기초능력 수준설정 시 고려사항 168 2. 직업기초능력 하위요소별 성취기준 개발 170 3. 학교급별 직업기초능력의 적용방안 174 제2절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도구 개발 시 활용방안 176 1. 고등학생과 전문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도구 개발 및 활용 176 2.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도구 개발 및 활용 181 제3절 직업기초능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방안 183 1.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에서의 활용 183 2. 직업훈련기관에서의 활용 185 제4절 직업기초능력 운영체계 구축 방안 187 1. 기본원리 187 2. 관리 운영체계 187 3. 자격검정기준 개발 시 활용방안 192 SUMMARY 195 <부록 1> 대한상공회의소 종합직무능력(K-Test) 199 <부록 2> 제1차 델파이 질문지 201 <부록 3> 제2차 델파이 질문지 219 <부록 4> 제3차 델파이 질문지 245 <부록 5> 제4차 델파이 질문지 267 <부록 6> Spencer & Spencer 역량모델의 수준별 고려사항과 행동요소 289 <부록 7> KSS 수준별 고려사항 295 <부록 8>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 수준별 성취기준(안) 297 참고문헌 317
모든 직업 활동에서 근간이 되는 직업기초능력은 비단 사회적 요구로만이 아니라 기업에서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직업기초능력 설정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적용 대상 및 목적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수준을 다르게 설정하였고,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학교급별로 도출된 직업기초능력의 접근방법과 항목(영역, 요소, 세부요소), 성취기준이 각각 상이하게 제시되는 등 하나의 체계적인 틀을 이루지 못하여 혼란스럽다는 지적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의 모형을 구안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학교급별로 개발된 직업기초능력 모형을 비교·분석한 후 이를 종합하여 KRIVET 모형을 개발하고, 하나의 기본 틀을 기초로 학교급별 직업기초능력 영역과 요소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및 영역(안), 직업기초능력의 요소 및 세부요소(안)의 도출과정과 도출된 내용에 대해 4차례의 델파이 조사 분석을 통해 최종 확정한 결과, KRIVET직업기초능력 모형에서 직업기초능력은 '대부분의 직무유형과 직무수준에서 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지식, 기술, 태도'라고 정의되었고, 모형은 3개의 영역, 8개의 요소, 24개의 세부요소로 구성되었다. 또한 도출된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을 기준으로 고등학생과 전문대학생, 대학생과 근로자 직업기초능력 모형을 비교하고, 직업기초능력 모형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 주요내용 - 국외 직업기초능력 모형 사례 현황 분석 - 국내 기관별 직업기초능력 모형 사례 현황 분석 -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요소 개발 - 직업기초능력 모형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KRIVET Core Competency Model(KCCM)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competency models developed by KRIVET for each level of education(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based on this basic frame, linking domains and factors of each competency model So, we searched examples of competency models developed in Korea and abroad. We also confirm the model as doing four times Delphi research and holding meetings of experts with domestic and abroad competency models for each level of education. A foreign competency model is classified by three types, for teenagers, labors in industries, and adults from life long education aspects. A competency model for adults from lifelong education aspects contains EFF of America and lifetime competencies of OECD. It also shows that competency model is magnified to match with demand of industries, and has a feature of being a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or connection with function as well as qualification. We can basically look into competency models for each organization as dividing into objects or aspects. Dividing into objects is divided for teenagers and adults. In case of teenagers, including NYPI(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ion), KICE(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models focus on school education. For adults, models focus on industries and lifelong educations, KRIVET model, focusing on industries, defines core competencies and suggests domain setting and levels. KED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ion) and KICE(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tudy on abilit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as well as industries. The basic model of KRIVET competency model is completed by 4 times of delphi research for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domains and contents for the process of drawing factors and details of facto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KRIVET competency models is defined as basic common knowledges, skill and attitude necessary for performing most types of jobs and levels of jobs, and a basic model is composed of 3 domains, 8 factors, 24 details of factors. KRIVET competency model drawn from the basic model is designed by applying competency models for vocational high school, college, university students and labors An application of this competency model suggests development plans focused on a design of development and operating systems for core competencies. Development plans for a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suggests an application focused on each objects(level of schools). We also look into consideration factors of level setting and developing a standard of achievement for each details of factors and schools as development plans for a standard of fulfill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complete the work with contents of examples for application plans of developing tools of core competencies and application plans of developing a verification standard for qualification.
<표 1-1> 델파이 조사 전문가 패널 구성․8 <표 1-2> 전문가협의회 참석자․9 <표 1-3> KRIVET 직업기초능력 연구 개발 단계․10 <표 2-1> SCANS 역량영역 및 하위능력․13 <표 2-2> SCANS 직업기초능력 수준․14 <표 2-3> SCANS 의사소통능력 중 듣기와 말하기 수준 및 성취기준 ․14 <표 2-4> EFF 스킬의 범주 및 내용․15 <표 2-5> EFF 의사소통능력 중 이해하며 읽기의 수준 및 성취기준․16 <표 2-6> O*NET 스킬의 영역 및 개념․18 <표 2-7> O*Net 직업기초능력 수준․18 <표 2-8> O*Net 적극적 듣기와 말하기의 수준 및 성취기준․19 <표 2-9> ETA 역량 모델링 역량군․21 <표 2-10> ETA 역량의 기본역량과 하위역량․21 <표 2-11> QCDA의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개념 ․24 <표 2-12> QCDA 직업기초능력의 수준․24 <표 2-13> QCDA 의사소통능력의 수준 및 성취기준․25 <표 2-14> Mayer 교육위원회 key competency 영역 및 개념․27 <표 2-15> Mayer 교육위원회 key competency 성취기준․28 <표 2-16> Mayer 교육위원회 key competency 중 Communicating and Ideas and Information 수준내용․29 <표 2-17> 고용가능 스킬 체계(Employability Skills Framework)․30 <표 2-18> HRDC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개념․33 <표 2-19> HRDC 직업기초능력 수준․34 <표 2-20> NOC 직업기초능력 전체 수준․35 <표 2-21> HRDC 직업기초능력 수준구분 기준․35 <표 2-22> HRDC 구어적 의사소통능력 성취기준․36 <표 2-23> DeSeCo 핵심능력의 분류영역과 하위요소․39 <표 2-24> PIACC의 JRA 측정역량․43 <표 2-25> 국외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사례 영역비교․44 <표 2-26> 국가별 직업기초능력 개발현황․47 <표 3-1> 전문계고․전문대학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요소․52 <표 3-2> 전문계고․전문대학 직업기초능력 수준구분의 기준 및 설정․53 <표 3-3> 전문계고․전문대학 직업기초능력 수준 및 내용․54 <표 3-4> 전문계고․전문대 직업기초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의 수준에 따른 주요 활동내용․55 <표 3-5> K-CESA 영역 및 하위영역 구성․57 <표 3-6> K-CESA 영역별 문항구성 요소 및 진단방법․58 <표 3-7> K-CESA 의사소통능력 진단평가도구의 성취기준과 해석․59 <표 3-8> K-CESA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 영역의 성취 기준 해석․59 <표 3-9> K-CESA 정보자원기술 활용역량 성취기준․60 <표 3-10> K-CESA 종합적 사고력의 성취기준 개인별 점수 보고양식 예시․61 <표 3-11> KSS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하위요소․65 <표 3-12> KSS 직업기초능력 수준분류 및 개념적 틀․66 <표 3-13> KSS의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소인 문서의 분석적 읽기능력 성취기준․67 <표 3-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영역 및 하위요소․69 <표 3-15>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지표체계․71 <표 3-16> 지적도구 활용 중 정보기기/매체 활용 항목 및 출처․73 <표 3-17> 2010년 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 시범사업 운영현황․74 <표 3-18> 한국교육개발원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영역 및 하위영역․76 <표 3-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한국인 핵심역량 영역 및 하위요소․80 <표 3-20> 핵심역량에 관한 2007년 개정 교과 교육과정 분석결과 종합․82 <표 3-21> 노동부 기초직업능력표준 영역 및 하위능력․84 <표 3-22> 노동부 기초직업능력표준 영역별 수준내용․85 <표 3-23> 노동부 기초직업능력표준 영역 중 의사소통능력표준에 따른성취기준․87 <표 3-24> Skills Indicator 역량진단도구․88 <표 3-25> HRD Press 일부 진단도구 및 하위요소․90 <표 3-26> SHR 컨설팅 직무성격 진단․91 <표 3-27> SHR 컨설팅 직무동기 진단․92 <표 3-28> Mercer 컨설팅 역량군과 역량명․93 <표 3-29> 학교급별 직업기초능력 요소 비교․96 <표 3-30> 기관별 직업기초능력 요소 비교․97 <표 3-31> 학교급별(또는 대상별) 국내 기관별 직업기초능력․101 <표 3-32> 국내 기관별 직업기초능력 연구 개요․102 <표 4-1> KRIVET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요소(안)․113 <표 4-2> KRIVET 직업기초능력 세부요소 및 정의(안)․114 <표 4-3> 델파이 전문가 패널 구성․116 <표 4-4> 델파이 전문가 패널 현황․117 <표 4-5> 델파이 조사 설문지의 발송 및 수집 기간․119 <표 4-6> 델파이 패널 수에 따른 내용 타당도 비율(CVR)의 최소값․120 <표 4-7> 델파이 조사지 문항 구성표․123 <표 4-8> 1차 델파이 조사 통계 분석 결과․125 <표 4-9> 1차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후 수정내용․128 <표 4-10> 2차 델파이 조사 통계 분석 결과․133 <표 4-11> 1, 2차 델파이 조사에 대한 의견 합의도 및 수렴도 분석 결과․135 <표 4-12> 2차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후 수정내용․137 <표 4-13> 3차 델파이 조사 통계 분석 결과․141 <표 4-14> 2, 3차 델파이 조사에 대한 의견 합의도 및 수렴도 분석 결과․143 <표 4-15> 3차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후 수정내용․145 <표 4-16> 4차 델파이 조사 통계 분석 결과․149 <표 4-17> 3, 4차 델파이 조사에 대한 의견 합의도 및 수렴도 분석 결과․151 <표 4-18> 4차 델파이 조사 의견 반영 후 수정내용․153- KRIVET 직업기초능력 최종 영역, 요소, 세부요소와 정의 - <표 4-19>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155 <표 4-20> KRIVET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정의․156 <표 4-21> KRIVET 직업기초능력 요소 및 정의․156 <표 4-22> KRIVET 직업기초능력 세부요소 및 정의․157 <표 4-23>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과 고등학생 모형․158 <표 4-24>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과 전문대학생 모형․159 <표 4-25>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과 대학생 모형․161 <표 4-26>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과 근로자 모형․164 <표 4-27> KRIVET 직업기초능력 모형과 대상별 모형 종합․165 <표 5-1> 직업기초능력 세부요소별․수준식별 고려사항(예시)․171 <표 5-2> 직업기초능력 세부요소별 성취기준(예시)․172 <표 5-3> 능력형 검사도구 형태의 평가방법․177 <표 5-4> 연구수행절차 및 단계별 설문조사․178 <표 5-5>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국가자격 선정 관련 주체별 주요 활동․191 <표 5-6> 자격검정영역 분류에 따른 자격검정기준 개정(안)․194 [그림 1-1] 연구추진체계․6 [그림 2-1] ETA 역량 모델링의 구조․20 [그림 2-2] QCDA 직업기초능력 구조․25 [그림 2-3] ACCI/BCA 직업기초능력의 고용적합능력으로의 변환과정․32 [그림 2-4] DeSeCo 핵심역량 영역분류․39 [그림 2-5] 국외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사례 수준 비교․46 [그림 3-1] 영역별 평가결과화면 예시․62 [그림 3-2] K-CESA 종합적 사고력 결과 페이지 예시․63 [그림 3-3] K-CESA 글로벌 역량 결과 페이지 예시․63 [그림 3-4]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측정의 개념화․77 [그림 3-5] 직업기초능력 요소 비교․99 [그림 3-6] 국내 직업기초능력 모형들의 수준 비교․100 [그림 4-1] KRIVET 직업기초능력 개념 및 범위 도출․108 [그림 4-2] KRIVET 직업기초능력 영역 구성․110 [그림 4-3] 직업기초능력 구성요소 종합․112 [그림 5-1] 학교급별 직업기초능력 세부요소별 성취기준 마련 절차․174 [그림 5-2] 행동척도형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활용단계․179 [그림 5-3]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활용(예시)․180 [그림 5-4]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평가결과 해석(예시)․181 [그림 5-5] K-CESA 진단 시스템 도식화․182 [그림 5-6] KSS 중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직종별 훈련기준개발 모형(안)․186 [그림 5-7] 국가자격체계 관리․운영체계(안) (도입 초기)․188 [그림 5-8] 국가자격체계 관리․운영체계(안) (도입 초기 이후)․188 [그림 5-9] 직업기초능력 자격검정절차․19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 2010.01.01~2010.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