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철강산업의 녹색화에 대응한 기술 인력 양성 방안

Cultivating Technological Human Resources in Response to the Greening of the Iron and Steel Industry
저자
황규희 김현수 김상진 이상돈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1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1.30
등록일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철강산업기술인력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목적과 연구질문 5
  제3절  연구방법 6
제2장  철강산업과 인력양성 현황
  제1절  국내외 철강산업 현황 17
  제2절  철강산업 인력 양성 관련 현황 29
제3장  철강산업 녹색화와 관련 기술 전망
  제1절  기술전망의 필요성과 방법 43
  제2절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철강산업 녹색화 전망 46
  제3절  미래 기술수요 분석 56
  제4절  미래 숙련수요를 위한 기술지도(TRM) 114
제4장  철강산업 인력수요 변화와 대응
  제1절  기술 부문별 인력수요 117
  제2절  인력구성 변화와 새로운 직업의 등장 131
  제3절  철강산업 인력수급 전망 139
  제4절  인력수요변화에 대한 인력양성의 방향성 145
제5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주요 결과 151
  제2절  기여와 한계 154
SUMMARY 157
<부록 1> 기술 분야별 직업변화 전망 167
<부록 2> 기술 분야별 인력양성 정보 175
<부록 3> 철강산업 관련 학과 목록 205
참고문헌 209
  본 연구에서는 철강산업의 녹색화에 대응한 인력양성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요구에 한정하지 않고 녹색화에 대응한 향후의 인력수요 방향성에 대한 대응을 도모한다. 본 연구는 철강산업 녹색기술 전망을 수행하며 미래 숙련수요를 전망하는 한편, 세부 기술별 요구인력 수준의 성격이 다름에 따라 대응방안 마련도 차별적이어야 함을 보이고, 나아가 현재의 인력양성 현황을 진단하며, 향후 인력양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타 에너지 다소비 산업 및 제조업 일반의 녹색화에 대응한 인력양성 방안 마련을 위한 분석방법론을 모색하였다.  
  ○ 주요내용
   - 철강산업과 인력양성 현황
   - 철강산업 녹색화와 관련 기술 전망
   - 철강산업 인력수요 변화와 대응
   - 기술 분야별 직업변화 전망
   - 기술 분야별 인력양성 정보
  This study aims to forecast the future skills deman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future workforce cultivation in steel industry. Additionally, the analysis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can help to plan the direction for future workforce cultivation in response to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cluding energy efficiency, of other energy intensive industry and the manufacturing sector in general. 
  This study reviews the likely job changes and workforce cultivation in response to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cluding energy efficiency, in steel industries. It follows a systematic approach in reviewing the following clusters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echnologies and techniques. 
  (1) Alternative fuels and resources 
  (2) Energy efficiency processes 
  (3) Recycling by industry
  (4)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5) Carbon Capture and Storage
  (6)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This study forecasts the skills to be required according to the technology outlook based on TRM by IEA scenarios, and shows how the skills composition ratio will change. And then, the changes on related jobs and skills demand according to technology area diagnostics that newly had appeared in the participation of related technology experts, job analysis experts and training & education experts is deduced. Finally, on the basis of the outlook on this skills and job changes, the direction for education & training is presented.
<표 1-1> 본 연구 참여 전문가 목록․7
<표 1-2> ooo 분야의 현황-니즈 대응성․9
<표 1-3> 분야별 대안기술․10
<표 1-4> TRL 단계별 평가지표․11
<표 1-5> 난이도와 차별성에 따른 녹색기술 분포․13
<표 1-6> 직무별 신규/기존 인력의 필요성․14
<표 1-7> 기술의 기초정보 예시․15
<표 2-1> 철강산업의 글로벌 위상․21
<표 2-2> 철강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상․22
<표 2-3> 철강산업의 전후방산업효과․22
<표 2-4> 철강제품의 주요 산업별 수요구조․23
<표 2-5> 철강 부문 국내 업체 현황․24
<표 2-6> 철강산업의 에너지원별 사용량․25
<표 2-7> 철강산업의 에너지 원단위 및 부가가치율․26
<표 2-8> BAT 적용 시 철강산업 에너지 절약 잠재량 및 CO2 저감 잠재량 비교․26
<표 2-9> 국내 철강산업의 총 에너지 소비요인 분해 결과․27
<표 2-10> 철강산업 종사자 수․30
<표 2-11> 재료 분야 학과 변천 현황․31
<표 2-12> 재료 분야 졸업생의 학과별 구성비․32
<표 2-13> 재료 분야 졸업생의 취업률․33
<표 2-14> 재료 분야 학과 변천 현황․34
<표 2-15> 재료 분야 졸업생의 학과별 구성비․35
<표 2-16> 재료 분야 졸업생의 취업률․35
<표 3-1> 2050년 목표 BLUE 시나리오에 의한 영역별 직접 방출량 감소․48
<표 3-2> 산업별 기술수요․49
<표 3-3> 대체연료 분야의 현황-니즈 대응성․61
<표 3-4> 분야별 대안기술․62
<표 3-5> 에너지 효율화 분야의 현황-니즈 대응성․71
<표 3-6> 분야별 대안기술․72
<표 3-7> Recycling 등 친환경 후처리 방안 분야의 현황-니즈 대응성․82
<표 3-8> 분야별 대안기술․83
<표 3-9> 친환경 철강제품 분야의 현황-니즈 대응성․92
<표 3-10> 분야별 대안기술․92
<표 3-11> CCS 분야의 현황-니즈 대응성․107
<표 3-12> CCS 분야별 대안기술․109
<표 3-13> 철강산업 녹색기술 실현시기 Road Map․115
<표 3-14> CCS 녹색기술 실현시기 Road Map․116
<표 4-1> 난이도와 차별성에 따른 직무수요 변화 전망․131
<표 4-2> 신규 직업 생성 전망․132
<표 4-3> 난이도와 차별성에 따른 철강산업 녹색기술 분포․133
<표 4-4> 난이도와 차별성에 따른 CCS 기술 분포․134
<표 4-5> 신규 R&D 인력수요가 높은 기술․135
<표 4-6> 신규 기술․기능 인력 수요가 높은 기술․136
<표 4-7> 기존 R&D 인력의 녹색화가 예상되는 기술․137
<표 4-8> 기존 기술․기능 인력의 녹색화가 예상되는 기술․138
<표 4-9> 철강산업의 인력수요 전망․139
<표 4-10> 철강산업의 고용규모 전망․140
<표 4-11> 철강산업의 성장수요 및 대체수요 전망(2010~2019)․142
<표 4-12> 철강산업의 신규 고용 전망(2010~2019)․144
<표 4-13> 철강산업 인력양성의 방향성․149
[그림 1-1] 주요국의 에너지 원단위 추이(1980~2007)․3
[그림 2-1] 글로벌 철강산업의 구조적 변화․18
[그림 2-2] 세계 철강산업에서 아시아 및 한․중․일의 위상․19
[그림 2-3] 부문별 에너지 원단위(1970∼2000)․25
[그림 2-4] 분야별 교과목 편성 운영 현황․37
[그림 2-5] 학과별 교과목 편성 현황․38
[그림 2-6] 산업요구 지식․스킬 반영 정도․38
[그림 2-7] 졸업생(근로자)의 지식․스킬 이수 정도․39
[그림 2-8] 졸업생(근로자)의 지식․스킬 업무활용 만족도․40
[그림 3-1] 제조업에서의 기술별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전망․48
[그림 3-2] 2006년 BAT 기반 에너지 절감 잠재 가능성․52
[그림 3-3] 철강산업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세부 기술별 기여 전망․53
[그림 3-4] 1970년~2050년까지 BLUE 시나리오의 철강 스크랩 가용성과 재활용 비율․55
[그림 3-5] 2006년~2050년까지 BLUE 시나리오에 의한 철․철강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57
[그림 3-6] 포스코의 CO2 배출분포․58
[그림 3-7] 2006년~2050년까지 시나리오의 최종 에너지 소비․61
[그림 3-8] 고로 Top Gas Recycling 기술의 개념도․73
[그림 3-9] 석탄화학(COG를 이용한 중간화합물 생산공정)․84
[그림 3-10] 차세대 고강도 스틸의 개발방향․90
[그림 3-11] 2050년까지의 GHG 감축을 위한 CCS 기술 발전․100
[그림 3-12] CCS 프로젝트 라지 스케일(large-scale) (>1 MtCO2/year)․103
[그림 3-13] 일본의 CO2 대량 배출지 및 염대수층 저장을 위한 저장소․10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철강산업의 녹색화에 대응한 기술인력 양성 방안 2010.01.01~201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