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술융합과 조직창의성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저자
황규희 신민수 이용길 전종호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2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1.30
등록일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술융합특허기술개발
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관련연구와 연구질문
  제1절  기술융합 3
  제2절  조직창의성 9
    1. 창의성 일반 9
    2. 조직창의성 10
  제3절  연구질문 16
제3장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제1절  인적자본기업패널과 혁신조사의 활용 19
    1. 자료구축 개요 19
    2.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20
    3. 기술혁신조사 21
  제2절  국내외 특허 정보의 활용 23
    1. 국내특허 정보 23
    2. 미국 특허정보 24
  제3절  가산분포모형 43
    1. 포아송분포와 음이항분포 43
    2. 영과잉분포 45
  제4절  순서화된 로짓모형 47
제4장  표본구성과 변수추출
  제1절  표본집단과 특허 53
  제2절  조직창의성 설명변수 추출 57
    1. 인적자본기업패널 창의성 요소: 연구직 vs. 전체근로자 58
    2. 기술혁신조사에서 지식원천 변수의 추출  59
    3. 인자분석 59
    4. 산업-규모별 조직창의성 설명변수 60
    5. 산업별 규모별 특허변수 분류 62
제5장 분석
  제1절  특허수에 대한 가산모형 분석 - 특허수에 대한 양적 분석 65
  제2절  특허의 질적 측면에 대한 로짓분석 70
    1. 특허 피인용분석 70
    2. 특허융합성에 대한 분석  73
  제3절  분석결과 종합 76
제6장 결론
Summary 83
참고문헌 87
  본 연구는 근래 기술개발의 주요흐름이 기술융합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이러한 성과를 증대하기 위한 요소들이 어떠한 조건에서 영향을 끼치는지를 식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기술융합은 이종기술 간의 결합을 통하여 새롭게 나타나는 기술을 의미한다. 조직창의성에 대해서는 특허의 산출이 조직창의성의 성과로 발현된다고 보며, 이는 특허정보로 확인된다고 간주하였다. 이러한 기술융합과 조직창의성 정의에 기반하여, 기술개발로 발현되는 조직창의성의 증대를 위한 대응이 업종성격 및 기업규모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보인다.  
  ○ 주요내용
   - 인적자본기업패널과 혁신조사의 결합
   - 한국특허와 미국특허의 활용
   - 인용특허를 이용한 특허융합성 판별
   - 피인용을 이용한 특허수준 판별
   - 가산분포모형 분석
   - 순서화된 로짓모형 분석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aspect that the mainstream of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echnology convergence and tries to identify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ose elements for increase affect the outcome. The technology convergence defined in this study means the newly appearing technologies through hybridization of different technologies. This study considered that organizational creativity is expressed in the output of patents as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that can be verified by paten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is definition on technology convergence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the countermeasure to increase organizational creativity expressed in technology development appear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business type and the size of enterprise.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number of patents in Korea and America, and a qualitative analysis on American patents were implemented by combining the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of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ith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of STEPI(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and utilizing the patent information of Korea & America. Through this process, the effect of organization factors and knowledge source to patent as an organizational achievement was analyzed with focus on newly appearing technology convergences through hybridization of different technologies. Also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factors and external/internal information resources to actively counteract to technology convergence, as well as the difference of the importance on each element depending on the business specifics and the size of enterprise....
<표 2-1> 공공연구조직의 창의성 영향요인․14
<표 3-1>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에서 추출한 조직창의성 관련 요소․21
<표 3-2> 기술혁신조사자료에서 추출한 조직창의성 관련 요소․22
<표 3-3> 산업별․규모별 국내특허 유무를 기준으로 한 기업분류(105개 기업)․23
<표 3-4> 산업별․규모별 미국특허 유무를 기준으로 한 기업분포(105개 기업)․24
<표 3-5> 융합특허로 간주되는 기업수 분포․25
<표 4-1> 미국특허에 대한 표본분포․53
<표 4-2> 국내특허에 대한 표본분포․54
<표 4-3> 미국특허에 대한 국내특허와의 회귀분석․56
<표 4-4> 미국특허에 대한 산업별‧규모별 분류․56
<표 4-5> 특허분류에 대한 산업별‧규모별 차이․57
<표 4-6> 피인용특허와 융합특허 간 연계성․57
<표 4-7> 전체 근로자와 연구직 근로자 간 상관관계․58
<표 4-8> 기술획득․협력활동․정보원천의 대상․59
<표 4-9> 조직창의성 관련 요소 인자분석․60
<표 4-10> 조직창의성 설명변수들의 산업별 비교․61
<표 4-11> 설명변수들의 규모별 비교․61
<표 4-12> 설명변수들의 규모별, IT/비IT 비교․62
<표 4-13> 산업별‧규모별 미국특허융합성에 대한 표본분포․62
<표 4-14> 산업별‧규모별 미국특허 피인용성에 대한 표본분포․64
<표 5-1> 국내특허에 대한 가산모형(counted data)․66
<표 5-2> 미국특허에 대한 가산모형(counted data)․67
<표 5-3> 국내특허: 산업별․규모별 가산모형․68
<표 5-4> 미국특허 300인 이상 기업의 산업별 가산모형․69
<표 5-5> 피인용분석(105개 기업) 로짓모형 표본구성(105개 기업)․70
<표 5-6> 피인용분석(105개 기업) Proportional Odds Assumption 검정․70
<표 5-7> 업종-규모별 피인용분석(105개 기업) 표본구성․71
<표 5-8> 피인용분석(300인 이상 기업) Proportional Odds Assumption 검정:          Score Test for the Proportional Odds Assumption(Pr > ChiSq)․71
<표 5-9> 피인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적합 통계치(Model Fit          Statistics: Intercept Only)․72
<표 5-10> 피인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적합성 검증(Pr>ChiSq           [BETA=0])․72
<표 5-11> 피인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추정․73
<표 5-12> 피인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Odds Ratio 추정․73
<표 5-13> 융합분석(300인 이상 기업) 표본구성․74
<표 5-14> 융합분석(300인 이상 기업) Proportional Odds Assumption 검정․74
<표 5-15> 융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적합 통계치(Model Fit           Statistics: Intercept Only)․74
<표 5-16> 융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적합성 검증(Pr>ChiSq           [BETA=0]:)․74
<표 5-17> 융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추정․75
<표 5-18> 융합분석(300인 이상 기업) 로짓모형 Odds Ratio 추정․75
<표 5-19> 양적․질적 분석 종합․78
[그림 2-1] 초학제 간 협력(transdisciplinary collaboration)․8
[그림 3-1] 실증분석에 사용된 데이터 구축 과정․20
[그림 3-2] 미국특허청(USPTO) 특허 검색화면․29
[그림 3-3] 검색된 미국특허청(USPTO) 등록특허․30
[그림 3-4] 미국특허 표지 및 인용특허 목록․31
[그림 3-5] 융합성 판정: 인용특허 상세내용․32
[그림 3-6] 융합성 판정: 특허정보 취합․33
[그림 3-7] 융합성 판정: 인용특허의 국제특허분류(IPC)․34
[그림 3-8] 융합성 판정: 인용특허의 국제특허분류(IPC) 정리․35
[그림 3-9] 융합성 판정: 개별특허의 융합성 판정․36
[그림 3-10] 융합성 판정: 기업에 대한 융합성 판정․37
[그림 3-11] 미국특허청(USPTO) 피인용특허 검색화면․38
[그림 3-12] 피인용분석: 인용특허 내역․39
[그림 3-13] 피인용분석: 인용특허 상세내역․40
[그림 3-14] 피인용분석: 인용특허 개수 취합․41
[그림 3-15] 피인용분석: 피인용특허 분류․42
[그림 4-1] 미국특허에 대한 국내특허 간 관계․5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점)기술융합과 조직 창의성 2010.01.01~2010.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