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교수연구업적 관련 변수들․7
<표 2-1> 고등교육교원의 고용 현황: 2009년․12
<표 2-2> 고등교육교원의 고용 추이: 설립유형별․13
<표 2-3> 고등교육교원의 고용 추이: 전체, 종사상 지위별․14
<표 2-4> 비정규직 교수의 구성 변화: 설립유형별, 순인원 기준․17
<표 2-5> 고등교육기관의 담당 강좌 수: 종사상 지위별, 2009년․19
<표 2-6> 고등교육기관 및 재학생 추이․20
<표 2-7> 대학교수 법정정원 확보율․21
<표 2-8> 대학 전임교원의 전공별 분포: 2009년․22
<표 2-9> 대학 전임교원의 전공별 고용구성 추이․23
<표 2-10> 성별, 연령별 대학 전임교원의 성, 연령별 구성 추이․24
<표 2-11> 대학 전임교원의 학위취득지별 구성 추이․24
<표 2-12> 대학 전임교원의 채용과 이직․26
<표 2-13> 대학교수와 강사의 임금: OES․30
<표 2-14> 4년제 사립대학 전임교원의 임금 추이․31
<표 2-15> 사립대학 전임교원의 월평균임금과 상대임금: 성, 나이, 근속․32
<표 2-16> 사립대학 전임교원의 평균임금과 상대임금: 학교특성․33
<표 2-17> 사립대학 전임교원의 상대임금: 소속전공계열, 연구업적의 질․34
<표 2-18> 대학교수의 1인당 논문실적 추이․35
<표 2-19> 전공계열별 논문 실적의 분포: 학술지 등급별․35
<표 2-20> 대학교수의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 추이․35
<표 2-21> 분석대상: 모집단과 표본․37
<표 2-22>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39
<표 2-23> 교수의 임금결정요인에 대한 회귀추정결과: 대학교․41
<표 2-24> 교수의 임금결정요인에 대한 회귀추정결과: 전문대학․42
<표 3-1> 관측치 수․61
<표 4-1> 분석에 사용된 자료의 주된 내용․79
<표 4-2> 대학 간 이동 교수와 비이동 교수의 성별, 연령별 분포․87
<표 4-3> 대학 간 이동 교수와 비이동 교수의 전공분포 및 교직 경력․88
<표 4-4> 대학 간 이동 교수와 비이동 교수의 연구 실적 및 임금수준․89
<표 4-5> 대학 간 이동 교수와 비이동 교수 소속 대학의 특성․90
<표 4-6> 이직 교수들의 지역간 이동 실태․91
<표 4-7> 이동 전후 대학 특성의 변화․92
<표 4-8> 대학 간 이동 교수와 비이동 교수의 대학유형별 분포․92
<표 4-9> 분석에 사용한 설명변수․94
<표 4-10>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기초통계․95
<표 4-11> Cox 비례해저드모형 추정 결과(대학소재지 더미변수 포함)․98
<표 4-12> Cox 비례해저드모형 추정 결과(서울 소재 대학)․99
<표 4-13> Cox 비례해저드모형 추정 결과(서울 이외 지역 소재 대학)․99
<표 5-1> 조사된 표본의 구성․106
<표 5-2> 교수업적평가 실시 현황․107
<표 5-3> 교수업적평가의 공개와 그 수준․107
<표 5-4> 교수업적의 평가방법․108
<표 5-5> 교수업적 평가 시 평가의 순위나 비교의 기준(중복응답)․108
<표 5-6> 업적평가 시 트랙구분 여부․108
<표 5-7> 교수업적평가 시 항목별 평가 여부․109
<표 5-8> 교수업적평가 시 영역별 비중(%)의 평균치․110
<표 5-9> 호봉제와 연봉제 실시 여부: 학교유형별․111
<표 5-10> 대학의 직원에 대한 연봉제 실시 현황․111
<표 5-11> 연봉제 적용 대상과 그 기준(중복응답)․112
<표 5-12> 연봉제 미도입 사유: 학교유형별․113
<표 5-13> 호봉제 하 교수 임금총액의 구성비: 직급별, 학교유형별․114
<표 5-14> 민간 사업체 상용근로자의 임금구성 체계(2006년)․114
<표 5-15> 연봉제 하 교수 임금총액의 항목별 구성비: 직급별, 학교유형별․115
<표 5-16> 호봉제 하 임금차등 여부․116
<표 5-17> 연봉제 하 성과평가에 따른 연봉차등 방식: 사립대․116
<표 5-18> 임금표(기본급/기본연봉) 유무와 유형․117
<표 5-19> 기본급 임금표가 없을 경우 신규채용자의 초임 결정․117
<표 5-20> 신규자 기본급 결정요인의 비중(%): 평균치․117
<표 5-21> 기본급 인상방식․118
<표 5-22> 임금인상의 결정방식․118
<표 5-23> 대학의 직원 노조 유무․119
<표 5-24> 부교수와 직원의 평균연봉과 편차․119
<표 5-25> 교수업적평가 결과의 임금 반영 여부․120
<표 5-26> 업적평가 결과의 임금 반영 여부: 교수직급별․120
<표 5-27> 업적평가 결과의 급여반영 방식(중복응답)․121
<표 5-28> 업적평가의 급여반영 시 항목별 비중(%)의 평균치․122
<표 5-29> 개인별 인센티브제도 실시와 지원 실태․123
<표 6-1> 미국의 고등교육기관 분류: 카네기 재단․130
<표 6-2> 연방정부의 연구개발예산․141
<표 6-3> 2009~2010년 미국 대학교수의 직위별 평균연봉: 학교유형별․150
<표 6-4> 고등교육기관 유형과 재학 형태별 학생비율: 2007년․154
<표 6-5> 프랑스 고등교육 교원 수: 2008~2009년․156
<표 6-6> 2011년 교원자격리스트 등록 일정표․159
<표 6-7> 교수와 매트르 드 꽁페랑스의 임용․채용 결과: 2008년․165
<표 6-8> 직급체계와 임금: 매트르 드 꽁페랑스(maître de conférences)․167
<표 6-9> 대학교수의 직급과 임금: 대학교수․168
<표 6-10> 프랑스 교수의 임금수준․168
<부표 1> 대학교수(고등교육교원)의 고용 추이: 전체, 종사상 지위별․206
<부표 2> 대학교수(고등교육교원)의 고용 추이: 설립유형별, 종사상지위별․207
<부표 3> 대학교수(고등교육교원)의 고용 추이: 학교유형별, 종사상지위별․209
<부표 4> 고등교육 전임교원의 채용과 이직․211
[그림 1-1] 자료 연결 내역․7
[그림 2-1] 고등교육교원의 고용 추이: 학교유형별․13
[그림 2-2] 고등교육교원의 고용 추이: 종사상 지위별․15
[그림 2-3] 정규․비정규직 교수의 고용추이: 설립유형별, 순인원 기준․16
[그림 2-4] 전임교원 대비 비정규직의 비율 추이․17
[그림 2-5] 대학 전임교원의 전공별 분포(2009년): 학교 설립유형별․22
[그림 2-6] 대학 전임교원의 연령추이․25
[그림 2-7] 전임교원의 학위 취득지․25
[그림 2-8] 대학 전임교원의 신규채용률 추이: 학교유형별․27
[그림 2-9] 대학 전임교원의 이직자 비율 추이: 학교 설립유형별․28
[그림 2-10]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의 임금 추이․31
[그림 3-1]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수 추이․52
[그림 3-2] 신규 임용 교수 수 대비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비율의 추이․53
[그림 3-3] 대학교수 1인당 학생 수의 추이․54
[그림 3-4] OECD 국가들의 1인당 GDP와 대학교수 1인당 학생 수․55
[그림 3-5] 교수 충원율의 추이․56
[그림 3-6] 등록금 부담의 추이․57
[그림 3-7] 대학교육에 대한 지출의 상대규모 지수․58
[그림 3-8] OECD 국가들의 등록금 수준 비교․59
[그림 3-9] 교수의 상대임금․62
[그림 3-10] 로그임금 90분위~10분위 격차 추이․64
[그림 3-11] 연령대별 구성비와 그 변화․65
[그림 3-12] 연령집단별 평균 임금․66
[그림 3-13] 근로자 전체 대비 교수의 상대평생임금․67
[그림 3-14] 대학원 교육에 대한 투자의 수익률․69
[그림 3-15] 대학교수의 임금 프리미엄․71
[그림 4-1] 전체 교수 대비 타대학 이동 교수 비율 추이: 4년제 대학, 1978~2009․82
[그림 4-2] 전체 교수 대비 타대학 이동 교수 비율 추이: 전문대학, 1978~2009)․82
[그림 4-3] 전체 교수 대비 타대학 이동 교수 비율 추이: 4년제 대학, 1988~2009․83
[그림 4-4] 전체 교수 대비 타대학 이동 교수 비율 추이: 전문대학, 1988~2009․83
[그림 4-5] 신규채용 교수 대비 타대학 이동 교수 비율 추이: 4년제 대학, 1978~2009․84
[그림 4-6] 신규채용 교수 대비 타대학 이동 교수 비율 추이: 전문대학, 1978~2009․85
[그림 4-7] 신규채용 교수 수 대비 타대학 이직 교수 비율 추이: 4년제 대학, 1988~2009․85
[그림 4-8] 신규채용 교수 수 대비 타대학 이직 교수 비율 추이: 전문대학, 1988~2009․86
[그림 5-1] 대학의 연봉제 도입 추이․111
[그림 6-1] 2008~2009년 고등교육 교원의 성·연령별 분포․157
[그림 6-2] 2009년 교수자격 심사 결과․160
[그림 6-3] 자격수별 교원자격 취득자 분포도․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