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Education and Labor Market Linkage and Outcome(II)
저자
전재식 박태준 김미란 민주홍 김민경 신동균 장원섭 박재민 김진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23-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2.31
등록일
2010.12.31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분석 주제 3
  제2절 연구 방향 5
    1. 3개년 연구 프레임 5
    2. (2010년도) 연구 방향 8
  제3절 분석 자료 9
    1. 분석 자료 구성 9
    2. 실태조사: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조사’ 11
  제4절 연구의 내용 및 보고서의 구성 14
제2장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의 개념 논의들 19
  제1절 연계의 개념과 매개장치 19
    1. 연계의 개념 19
    2. 연계를 위한 매개장치 21
  제2절 교육-노동시장 이행과 매개장치 24
  제3절 자격 매개장치 중심 산학연계의 구조와 작동 조건 27
  제4절 연계체제를 구성하는 매개장치들과 위계구조 31
  제5절 매개장치들과 연구 소주제들과의 관계 34
제3장 교육-노동시장 연계에 있어서 교육과 능력의 효과 37
  제1절 문제의 제기 37
  제2절 기존 연구 41
    1. 교육투자수익률 추정 과정에서 제기된 방법론상의 이슈들 42
    2. 교육투자수익률의 변화와 원인분석 45
  제3절 기본 접근방법 47
  제4절 실증분석 결과 52
    1. 교육프리미엄의 변화 추세 52
    2. 기술진보와 교육프리미엄 55
    3. 대학입학 선발 과정에 나타난 능력의 중요성: 코호트 간 비교분석 66
  제5절 소결 73
제4장 대학에서의 취업준비와 노동시장 성과 75
  제1절 문제의 제기 75
  제2절 이론적 배경 78
    1. 대학-노동시장 이행의 개념 78
    2. 대학-노동시장 이행 준비 80
    3. 선행 연구 분석 81
  제3절  연구 방법 85
    1. 연구 대상 85
    2. 분석 방법 85
    3. 변수 설정 87
  제4절 분석 결과 92
    1. 취업여부 92
    2. 300인 이상기업 취업여부 94
    3. 1,000인 이상 기업 취업여부 96
    4. 전공 밀접 여부 98
    5. 임금 100
  제5절 소결 106
제5장 교육-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의 기업선택 111
  제1절 문제의 제기 111
  제2절  선행 연구 113
  제3절 기업선택과 전공 그리고 전공-직종 일치 현황 118
  제4절 졸업생의 기업선택과 노동시장 성과 127
    1. 기초통계 127
    2. 분석모형 132
    3. 졸업생의 기업선택과 전공-직업 일치 및 노동시장 성과 135
  제5절 소결 146
제6장 창의성에 대한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본 교육-노동시장 연계성과 151
  제1절 문제의 제기 151
  제2절 최근의 창의성 교육 논의와 선행 연구 153
    1. 창의성 교육 논의 153
    3. 창의성과 노동시장에 대한 선행 연구 160
    4. 기존 논의의 시사점: 본 연구의 창의성 개념 162
  제3절 실증적 질문들과 분석 틀 163
    1. 실증적 질문들 163
    2. 분석 틀 166
  제4절 실증분석 결과 167
    1. 창의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기본인식 167
    2. 창의성의 경제적 수익 178
  제5절 소결 205
제7장 교육-노동시장 연계장치로서 자격의 노동시장 성과 207
  제1절 문제의 제기 207
  제2절 자격증 보유 현황 및 특성 변화 210
    1. 자격증 보유 현황 210
    2. 자격증 보유와 임금 직장안정성 214
    3. 대졸자의 자격증 보유와 전공일치 218
  제3절 기본 접근방법 226
    1. 추정 모형 226
    2. 기초분석 228
  제4절 실증분석 결과 233
    1. 자격증 소지의 노동시장 성과 233
    2. 자격의 전공 관련성과 노동시장 성과 239
  제5절 소결 244
제8장 노동시장 안착에 있어 전공별 차이와 직업훈련의 영향 249
  제1절 문제의 제기 249
  제2절 선행 연구와 연구의 질문 251
    1. 선행 연구 251
    2. 연구 질문 254
  제3절 자료와 추정식 256
    1. 자료와 변수 설명 256
    2. 실증분석을 위한 추정식 260
  제4절 노동시장 안착에 있어 전공별 차이 262
    1. 직업경력 축적에 있어 전공별 차이 262
    2. 주요 일자리의 취득: 취득자 비율과 소요기간 265
    3. 일자리 이동행태: 첫 직장과 주요 일자리 간 이동을 중심으로 271
  제5절 노동시장에 안착할 확률과 직업훈련의 영향 273
  제6절 소결 278
제9장 결론 281
  제1절 연구 요약 281
  제2절 시사점 285
SUMMARY 289
참고문헌 301
<부록 1>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조사 설문지
  본 연구는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를 제목으로 하는 3개년(2009~2011년) 시리즈 연구로서, 교육과 노동시장 간 효율적인 연계방안을 찾고, 그 연계장치가 노동시장에서 어떠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인재정책에 대한 함의를 모색하기 위한 목적하에 수행되었다.
  올해의 연구는 2차년도 연구다. 첫해인 2009년도 연구가 다양한 교육정책ㆍ환경 변화하에서 (주로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교육투자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와 이러한 교육투자가 생애직업경로(lifelong career path)에서 어떠한 노동시장성과를 발현하였는가를 주요 분석 주제로 삼았다면, 올해 2010년도 연구는 교육과 노동시장 간에 ‘연계’와 ‘연계체제’, ‘매개(연계)장치’ 등을 규정하고, 이를 근거로 관련 세부 연구 영역을 찾아내어, 교육-노동시장 연계장치가 노동시장에서 장ㆍ단기적으로 어떠한 성과를 나타내었는지를 분석 주제로 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투자의 장ㆍ단기적 성과, 학교-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의 노동시장 성과, 창의성 교육성과, 그리고 학력과 자격, 학생의 직업훈련과 경력경로 등의 영역에 대해 심층 분석을 시도한다.
  This  is a three year series study titled “The performance and the linkage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linkage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 and to analyze how the connection could bring a better performance, which may give implications to human resources policy. The study of 2009, the first year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how educational investments had been made and what they produced in the life career paths, under a variety of education poli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mainly focusing on university education). This year 2010 study is mainly about defining the ‘linkage’ and ‘linkage system’ and ‘linkage media’ in education and labor market. and finding the relevant detailed areas to analyze what would be their short and long achievements based on this research. 
  The term of Linkage is in a central position in linkage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 So far, we did not focus on linking  education to labor market, but did on transition from school to  labor market as separately. “Transition” refers to a shift from one phase to another or one step to another, while “Linkage” means an act to connect one object, one step, and one system to another closely.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cannot capture the concept of different objects, steps, connecting the system guidelines can be captured by the concept of linking devices. To connect the job educated youth  into a job that they desire, the subject of this study find linkage media of education institutions and businesses. The media can be a variety of devices constituted as a whole system. We define this as linkage system.
  We combined and structured qualification system as a single medium suggested in the previous research of the linkage media with media in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or labor market) to present the  below. 
  In the table, 10 elements are hierarchical stating  No. 1 is a core medium, No. 2 to 5  are main elements, and the others. 
  To make this structure work well, conditions are necessary such as healthy economy, educational excellence, and effective and  systematical structured procedures and systems of the core and the main and other media 
  Based on above mentioned media, 6 detailed sub-topics selected are as follows; ⅰ) Effects of education and ability on wage in the linkage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 ii) Employment preparation in college and labor market outcomes, ⅲ) Firms'' choices in transition from education to labor market ⅳ) Creativity and outcomes from linkage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 ⅴ) Certification and outcomes from linkage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 ⅵ) Relationship between major and landing a secure job and its influence on job training.
<표 1-1> 각 연도별 분석 주제․4
<표 1-2> 연도별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조사’ 조사항목 설계․12
<표 1-3> 실태조사 수행 현황․13
<표 1-4> 졸업 연도별 상세 조사 현황․14
<표 2-1> OECD 보고서(2000, 2005년)에 나타난 이행 요소 비교․32
<표 2-2> 연계체제를 구성하는 매개장치들과 위계구조․32
<표 3-1> 교육프리미엄의 변화 추세(OLS 추정)․53
<표 3-2> 교육투자수익률의 변화 추세(IV 추정)․54
<표 3-3> 기술진보와 교육프리미엄(OLS 추정): 총요소생산성 증가율․56
<표 3-4> 기술진보와 교육투자수익률(IV 추정): 총요소생산성 증가율․59
<표 3-5> 기술진보와 교육프리미엄(OLS 추정): 특허출원 증가율․61
<표 3-6> 기술진보와 교육투자수익률(IV 추정): 특허출원 증가율․62
<표 3-7> 기술진보와 교육프리미엄(OLS 추정): 전문가 비율․63
<표 3-8> 기술진보와 교육투자수익률(IV 추정): 전문가 비율․64
<표 3-9> 기술진보와 교육프리미엄(OLS 추정) : 국내총생산 대비 R&D 투자 비율․65
<표 3-10> 기술진보와 교육투자수익률(IV 추정) : 국내총생산 대비 R&D 투자 비율․66
<표 3-11> 코호트별 잔여임금 분산․70
<표 3-12> 능력에 대한 보상 수준의 코호트 간 비교․71
<표 4-1> 로짓분석에 사용한 변수별 기술통계․89
<표 4-2> HLM분석에 사용한 변인별 기술통계․90
<표 4-3> 취업여부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93
<표 4-4> 300인 이상 기업 취업여부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95
<표 4-5> 1,000인 이상 기업 취업여부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97
<표 4-6> 전공 밀접 여부에 대한 로짓분석 결과․99
<표 4-7> 1982년 졸업생 임금에 대한 HLM분석 결과․102
<표 4-8> 1992년 졸업생 임금에 대한 HLM분석 결과․103
<표 4-9> 2002년 졸업생 임금에 대한 HLM분석 결과․105
<표 5-1> 이공계 출신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 일치․115
<표 5-2> 전공별 첫 직장이 중소기업인 비율․119
<표 5-3> 전공별 최종 직장이 대기업인 비율․120
<표 5-4> 전공별 현 직장의 소득․121
<표 5-5> 전공별 누적숙련축적지수․122
<표 5-6> 전공별 누적 이직 횟수․123
<표 5-7> 전공별 졸업대학의 만족도․124
<표 5-8> 전공별 대학 취업지원서비스 이용여부․125
<표 5-9> 전공별 대학 재학 중 자격증 취득 개수․126
<표 5-10> 전공별 대학 재학 중 학원교육 경험 비율․127
<표 5-11> 분석자료의 코호트별 기초통계․129
<표 5-12> 첫 직장 규모에 따른 코호트별 기초통계․130
<표 5-13> 첫 직장 규모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결과(Probit 모형)․137
<표 5-14> 첫 직장 규모에 의해 발생하는 차별적 임금성과․141
<표 5-15> 첫 직장의 규모에 의해 발생한 차별적 성과: 이직 횟수․142
<표 5-16> 첫 직장 규모에 의해 발생한 차별적 성과: 현 직장의 규모․143
<표 5-17> 직장선택의 성과와 전공-일치의 효과․145
<표 6-1> 창의성 개념․158
<표 6-2> 창의성의 점수 변화․169
<표 6-3> 시기별 창의성 간 상관계수 행렬․170
<표 6-4> 본인의 능력․172
<표 6-5> 능력 사이의 상관계수 행렬․174
<표 6-6> 직무에서의 필요성․175
<표 6-7> 주관적 능력평가와 임금(전체)․179
<표 6-8> 주관적 능력평가와 임금(1982년 졸업자)․180
<표 6-9> 주관적 능력평가와 임금(1992년 졸업자)․181
<표 6-10> 주관적 능력평가와 임금(2002년 졸업자)․182
<표 6-11> 입직 시 임금(전체)․184
<표 6-12> 입직 시 임금(1982년 졸업자)․184
<표 6-13> 입직 시 임금(1992년 졸업자)․186
<표 6-14> 입직 시 임금(2002년 졸업자)․186
<표 6-15> 졸업 연도별 창의성 지수와 임금․187
<표 6-16> 실질임금의 연평균 증가율과 창의성․189
<표 6-17> 대학과 사회생활 사이 창의성 증가 수치와 임금증가율․190
<표 6-18> 상위 3개 대학교의 확률(Probit)․191
<표 6-19> 졸업 연도별 상위 3개 대학교의 임금프리미엄․192
<표 6-20>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 조사의 직장 유형․194
<표 6-21> 직장 유형과 창의성․195
<표 6-22> 상급학교 진학과 창의성․196
<표 6-23> 창의성과 기업 규모․197
<표 6-24> 주관적 창의성 지표와 임금․200
<표 6-25> 주관적 능력과 임금(전체)	․201
<표 6-26> 주관적 능력과 임금(1982년 졸업자)․202
<표 6-27> 주관적 능력과 임금(1992년 졸업자)․203
<표 6-28> 주관적 능력과 임금(2002년 졸업자)․204
<표 7-1> 임금근로자 중 자격증 소지자 비중․212
<표 7-2> 사업체 규모별 임금근로자의 자격증 소지 비중․213
<표 7-3> 사업체 규모별 대졸 이상 임금근로자의 자격증 소지 비중․213
<표 7-4> 자격증 소지자의 평균임금 수준․214
<표 7-5> 대졸 이상 자격증 소지 임금근로자의 평균임금 수준․215
<표 7-6> 학력별 자격증 소지 임금근로자의 평균임금 수준(2005년 기준)․216
<표 7-7> 자격증 소지 임금근로자의 평균 근속연수․217
<표 7-8> 대졸 이상 자격증 소지 임금근로자의 평균 근속 연수․217
<표 7-9> 근무형태별 임금근로자의 자격증 소지 비중․218
<표 7-10> 근무형태별 대졸 이상 임금근로자의 자격증 소지 비중․218
<표 7-11> 졸업 연도별 자격증 취득자 분포․219
<표 7-12> 졸업 연도별 전공계열별 평균 취득 자격증 수․221
<표 7-13> 졸업 연도별 전공계열별 자격증 취득자 분포․222
<표 7-14> 졸업 연도별 자격증의 효과․225
<표 7-15> 자격증 및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별 첫 직장 임금․229
<표 7-16> 자격증 및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별 현재 임금․230
<표 7-17> 자격증 및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별 첫 직장 구직 소요기간․232
<표 7-18> 대졸 이상 학력소지자 대상 자격의 임금효과․234
<표 7-19> 재학 중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235
<표 7-20> 계열별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236
<표 7-21> 자격증 보유가 현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237
<표 7-22> 계열별 자격증 보유가 현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237
<표 7-23>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구직 소요기간에 미치는 영향	238
<표 7-24> 계열별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구직 소요기간에 미치는 영향․239
<표 7-25>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241
<표 7-26> 계열별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241
<표 7-27>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가 현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242
<표 7-28> 계열별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가 현 직장 임금에 미치는 영향․242
<표 7-29>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구직 소요기간에 미치는 영향․243
<표 7-30> 계열별 전공 관련 자격증 보유가 첫 직장 구직 소요기간에  미치는 영향․244
<표 8-1> 표본 구성․257
<표 8-2> 분석자료의 기초통계․258
<표 8-3> 분석대상 구성 내역․259
<표 8-4> 전공계열별 노동시장 직업경력 연수․263
<표 8-5> 경력 연수의 분포: 성별, 전공별․264
<표 8-6> 경험 일자리 수: 전공별․265
<표 8-7> 주요 일자리 취득자 비율: 전체, 전공별, 성별․266
<표 8-8> 주요 일자리 취득까지의 소요기간․267
<표 8-9> 전공별 근속 연수: 주요 일자리 여부별․268
<표 8-10> 직업의 분포: 전공별․268
<표 8-11> 산업의 분포: 전공별․269
<표 8-12> 사업장 규모의 분포: 전공별․270
<표 8-13> 첫 직장(Fj)과 주요 일자리(Mj)의 직업 변동․271
<표 8-14> 청년층의 직업변동 행태: 첫 직장-주요 일자리 간, 전공계열별․273
<표 8-15> 주요 일자리 취득 확률: Cox비례위험모형․274
<표 8-16> 직업의 상향이동에 대한 로짓모형 추정결과․276
<표 8-17> 경력변동에 대한 로짓모형 추정결과․277
[그림 1-1] 3개년 연구 계획 및 내용․7
[그림 1-2] 교육-노동시장 연계체제 규정을 통한 연구 방향 설정․9
[그림 1-3] 이용 데이터의 생성 및 연계․10
[그림 2-1]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체제․23
[그림 2-2] 연구 소주제와 매개장치와 관련성․35
[그림 4-1] 대학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구조․79
[그림 6-1] 미국 근로자의 유형별 구성비 변화 추이․161
[그림 6-2] 창의성의 생애주기 변화․171
[그림 6-3] 졸업 연도별 능력의 비교․173
[그림 6-4] 졸업 연도별 직무 필요성 평가․176
[그림 6-5] 능력별 수급 차(직무요구도)․177
[그림 6-6] 졸업 연도별 창의성 차(gap)․178
[그림 7-1] 졸업 연도별 평균 자격증 취득 수․221
[그림 7-2] 졸업 연도별 자격증의 전공 관련성․223
[그림 7-3] 전공계열별 자격증의 전공 관련성․224
[그림 7-4] 졸업 연도별 평균 자격증의 효과성․225
[그림 8-1] 노동시장 안착에 대한 분석 지표들․25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2010.01.01~201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