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2010)
Survey on National Skills Outlook(2010)
- 저자
- 한상근 정윤경 장혜정 김나라 이종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2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2.31
- 등록일
- 2010.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전망지표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사업의 방법 3 제2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 연구 방법론 제1절 직업전망 지표의 구성 7 제2절 연구 범위 11 제3절 직업전망 조사의 실시 방법 13 1. 조사 응답자와 조사 방식 13 2. 조사 절차 14 3. 설문지 구성 16 4. 조사결과의 보정작업 17 제3장 산업과 직업구조의 변화 제1절 산업구조 개관 23 제2절 고용구조의 변화 추이 30 1. 고용구조 개관 30 2. 제조업 고용구조의 변화 34 3. 서비스산업 고용구조 변화 37 제4장 직업전망 지표의 주요결과 제1절 조사개요 41 제2절 현재의 직업전망 지표 45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45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50 3.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64 4. 2007~2008년 조사와 2009~2010년 조사결과 비교 73 제3절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76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76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79 3.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89 4. 2007~2008년 조사와 2009~2010년 조사결과 비교 98 제4절 직업세계 변화 추세 102 1. 종합지표의 변화추이 102 2. 영역별 지표의 변화추이 107 제5장 서비스직 직업전망 지표의 주요결과 제1절 현재의 직업전망 지표 121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121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125 3.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134 제2절 10년 후의 직업전망 지표 142 1. 종합 직업전망 지표 142 2.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146 3.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155 제3절 시사점 164 제6장 쟁점 분석 제1절 여성 유망직종 168 1. 현재 시점의 양성평등 169 2. 10년 후 시점의 양성평등 171 3. 양성평등 영역과 종합 지표의 교차비교 172 4. 여성 유망직업 발굴 177 제2절 이공계 직업의 위상 187 제3절 청소년들의 희망직업과 향후 전망 198 제4절 일자리 창출이 확대되는 직업과 관련된 쟁점들 202 제5절 신생직업 209 제6절 학력을 넘어선 괜찮은 직업들 213 제7절 조사결과 타당성 검토 218 제7장 요약 및 정책과제 제1절 요약 221 제2절 정책제언 223 1. 여성 친화적인 일자리 발굴 및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재진입 지원 정책 마련 223 2. 이공계 직업의 커리어 패스에 관한 체계적 연구 225 3. 청소년 대상의 진로정보서 개발·보급 및 교사의 전문성 제고 226 4. 일자리 확대 직업에 대한 지원 대책 227 5. 창업을 장려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 228 6. 학력 무관 유망 직종 발굴 및 진로설계 지원 강화 229 Summary 231 부 록 235 <부록 1>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웹 조사 화면 237 <부록 2> 정규고용 과대·과소추정 직업 목록 240 참고문헌 245
본 연구는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을 보상, 고용 현황, 고용 안정, 발전가능성, 근무여건, 직업전문성, 고용평등 등 7개 영역 측면에서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10년 후 시점에서 투자 및 신용 분석가, 치과 의사, IT컨설턴트는 직업에서 필요한 능력과 기술 향상의 기회와 승진 기회가 가장 좋은 직업, 즉 "발전가능성"이 가장 유망한 직업들로 조사되었다. 직업전문가 풀을 활용한 직업전망 조사는 본 연구의 핵심적 연구방법이다. 기존에 구축된 직업전문가 DB와 더불어 새롭게 전문가 정보를 취합하여 전문가 풀을 구축하고 직업조사에 활용하였다. ○ 주요내용 - 현재 시점의 직업전망 지표 - 10년 후 시점의 직업전망 지표 - 종합 직업전망 지표의 변화추이 - 직업에 관한 쟁점 분석
This study that succeeds the 2009 project about jobs from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attempts to develop whole occupation prospect index by carrying out a survey about jobs from social service occupations, personal care and service occupations, sales, management occupations,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occupations for this year. Concrete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building the occupation experts pool and surveying and analyzing an occupation prospect index for the social service occupations, personal care and service occupations, sales, management occupations,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occupations. Second, analyzing each occupational attributes by various standard like general occupation prospect index, sectoral occupation prospect index and occupational issue like promising occupations for woman. Third, comparing a primary result of the 2007~2008 study and a secondary result of the 2009~2010 study. Fourth, finding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and suggesting a related policy and future tasks by occupation prospect index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fth, publishing a source book of ?Korea''s Occupation Prospect Index(2010)?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about a choice of the occupation to the general public. ...
<표 2-1> 직업전망 지표의 범주와 세부항목 설명․8 <표 2-2> 2009년 평가영역별 세부항목별 가중치 산정 결과․9 <표 2-3> 수정된 가중치와 기존 가중치․10 <표 2-4> 연도별 직업전망 지표조사대상 직업․12 <표 2-5> 2010년도 조사대상 직업․14 <표 2-6> 직업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변수․16 <표 2-7> 설문조사지의 세부항목과 설명․16 <표 2-8> 임금 과소추정 및 과대추정 직업(2007~2008년)․19 <표 2-9> 임금 과소추정 및 과대추정 직업(2009~2010년)․20 <표 3-1> 전체 산업구조 변동 및 비중 추이․24 <표 3-2> 주요 산업별 종사자 비중 추이․25 <표 3-3> 산업별 경제활동 성장률 추이․27 <표 3-4> 주요 산업별 취업자수 추이․33 <표 3-5> 제조업 업종별 사업체 수 추이(2005~2008년)․35 <표 3-6> 서비스업 업종별 사업체 수 증가 추이(2000~2008년)․37 <표 3-7> 서비스업 업종별 종사자 수 변공과 증가율 추이(2001~2008년)․38 <표 4-1> 2009~2010년도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42 <표 4-2>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46 <표 4-3> 현재의 세분류 직업별 종합지표 상․하위 20개 직업․48 <표 4-4>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51 <표 4-5>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53 <표 4-6>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55 <표 4-7>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57 <표 4-8>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59 <표 4-9>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61 <표 4-10>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63 <표 4-11> 보상과 고용현황 교차비교 직업군․66 <표 4-12> 보상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68 <표 4-13> 보상과 근무여건 교차비교 직업군․70 <표 4-14> 고용현황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72 <표 4-15> 중분류 직업별 종합 직업전망 지표 변화: 전체 평균․73 <표 4-16> 중분류 직업별 종합 직업전망 지표 변화: 하위 영역․74 <표 4-17> 세분류 직업별 종합 직업전망 지표 상․하위 직업변화․75 <표 4-18>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77 <표 4-19> 10년 후의 세분류 직업별 종합지표 상․하위 20개 직업․78 <표 4-20>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80 <표 4-21>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81 <표 4-22>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82 <표 4-23>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83 <표 4-24>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85 <표 4-25>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87 <표 4-26>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88 <표 4-27> 10년 후 보상과 고용현황 교차비교 직업군․91 <표 4-28> 10년 후 보상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93 <표 4-29> 10년 후 보상과 근무여건 교차비교 직업군․95 <표 4-30> 10년 후 고용현황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97 <표 4-31> 10년 후의 세분류 직업별 종합지표 상․하위권 변동사항 (2007~2008년 조사와 2009~2010년 조사의 비교)․99 <표 4-32>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0년 후)․100 <표 4-33>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의 변화(10년 후)․101 <표 4-34> 현재와 10년 후 직업전망 지표의 스피어만 상관계수․102 <표 4-35> 종합 직업전망 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104 <표 4-36> 현재와 10년 후 종합지표 교차비교 직업군․106 <표 4-37> 영역별 직업전망 지표 변화추이(10년 후-현재)․108 <표 4-38> 현재와 10년 후의 보상 영역 교차비교 직업군․110 <표 4-39>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현황 교차비교 직업군․112 <표 4-40>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114 <표 4-41> 현재와 10년 후의 발전가능성 교차비교 직업군․116 <표 4-42> 현재와 10년 후의 근무여건 교차비교 직업군․118 <표 4-43> 현재와 10년 후의 직업전문성 교차비교 직업군․120 <표 5-1>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122 <표 5-2> 현재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 상․하위 20개 직업․124 <표 5-3>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26 <표 5-4>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27 <표 5-5>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28 <표 5-6>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29 <표 5-7>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31 <표 5-8>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32 <표 5-9>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33 <표 5-10> 현재의 보상 - 고용현황 교차비교 직업군․136 <표 5-11> 현재의 보상 -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137 <표 5-12> 현재의 보상 - 근무여건 교차비교 직업군․139 <표 5-13> 현재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영역의 교차비교 직업군․141 <표 5-14>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중분류)․143 <표 5-15> 10년 후의 종합 직업전망 지표 상․하위 20개 직업․145 <표 5-16>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46 <표 5-17> 고용현황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48 <표 5-18>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49 <표 5-19>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50 <표 5-20>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51 <표 5-21>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53 <표 5-22>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54 <표 5-23> 10년 후의 보상-고용현황 교차비교 직업군․156 <표 5-24> 10년 후의 보상-고용안정 영역의 교차비교 직업군․158 <표 5-25> 10년 후의 보상-근무여건 영역의 교차비교 직업군․161 <표 5-26> 10년 후의 고용현황-고용안정 영역의 교차비교 직업군․163 <표 6-1> 양성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170 <표 6-2> 양성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171 <표 6-3> 현재의 양성평등-종합지표 교차비교 직업군․174 <표 6-4> 10년 후의 양성평등-종합지표 교차비교 직업군․176 <표 6-5> 현재의 양성평등-일자리 창출 교차비교 직업군․179 <표 6-6> 10년 후의 양성평등-일자리 창출 교차비교 직업군․182 <표 6-7> 현재의 양성평등-임금수준 교차비교 직업군․184 <표 6-8> 10년 후의 양성평등-임금수준 교차비교 직업군․186 <표 6-9> 종합 직업전망 지표값(10년 후 시점)이 좋은 이공계 직업들․188 <표 6-10> 일자리 창출이 우수한 이공계 직업들․189 <표 6-11> 일자리 성장이 우수한 이공계 직업들․191 <표 6-12> 정규고용 가능성이 높은 이공계 직업들․192 <표 6-13> 고용유지 가능성이 높은 이공계 직업들․195 <표 6-14> 자기개발 가능성이 높은 이공계 직업들․196 <표 6-15> 승진 가능성이 높은 이공계 직업들․197 <표 6-16> 청소년들의 희망직업과 종합 직업전망 지표(10년 후 시점)․199 <표 6-17> 청소년들의 희망직업과 근무환경에 대한 전망 지표값․200 <표 6-18> 청소년들의 희망직업과 고용유지에 대한 전망 지표값․201 <표 6-19> 청소년들의 희망직업과 임금에 대한 전망 지표값․201 <표 6-20> 일자리 창출이 확대되는 직업들․203 <표 6-21> 현재 시점과 미래 시점 모두 일자리 창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 직업들․206 <표 6-22> 최근에 출현한 업종들․210 <표 6-23> 새롭게 출현한 직업들․211 <표 6-24> 재직자 학력으로 본 각 직업의 요구 학력․214 <표 6-25> 종합 직업전망 지표(현재) 평균 이상의 고졸 학력 직업․215 <표 6-26> 종합 직업전망 지표(10년 후) 평균 이상의 고졸 학력 직업․216 <표 6-27> 2010 직업전망 지표와 08 OES 조사 결과의 기준타당성 지수․219 <부표 2-1> 정규고용 과소추정 직업(2007~2008년)․240 <부표 2-2> 정규고용 과대추정 직업(2007~2008년)․240 <부표 2-3> 정규고용 과소추정 직업(2009~2010년)․241 <부표 2-4> 정규고용 과대추정 직업(2009~2010년)․242 [그림 1-1]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연구 방법․4 [그림 3-1] 주요 산업별 종사자 수 변동(2000~2009년)․26 [그림 3-2]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2009년)․28 [그림 3-3] 서비스업 분야 생산지수(2009년)․29 [그림 3-4] 경제활동인구 추이(2000~2009년)․31 [그림 3-5] 전체 취업자수 추이(2000∼2009년)․32 [그림 3-6] 성별 경제활동 참가율 비교(2000∼2009년)․32 [그림 3-7] 제조업 업종별 종사자 수 변동(2005~2008년)․36 [그림 4-1] 2009~2010년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의 1인당 응답 직업 수․44 [그림 4-2] 현재 보상과 고용현황의 교차비교․65 [그림 4-3] 현재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67 [그림 4-4] 현재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69 [그림 4-5] 현재 고용현황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71 [그림 4-6] 10년 후의 보상과 고용현황의 교차비교․90 [그림 4-7] 10년 후의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92 [그림 4-8] 10년 후의 보상과 근무여건 교차비교․94 [그림 4-9] 10년 후의 고용현황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96 [그림 4-10] 현재와 10년 후의 종합지표 직업별 변동․105 [그림 4-11] 현재와 10년 후의 보상 영역 교차비교․109 [그림 4-12]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현황 영역 교차비교․111 [그림 4-13] 현재와 10년 후의 고용안정 영역 교차비교․113 [그림 4-14] 현재와 10년 후의 발전가능성 영역 교차비교․115 [그림 4-15] 현재와 10년 후의 근무여건 영역 교차비교․117 [그림 4-16] 현재와 10년 후의 직업전문성 영역 교차비교․119 [그림 5-1] 현재의 보상 - 고용현황 영역의 교차비교․135 [그림 5-2] 현재의 보상 - 고용안정 영역의 교차비교․137 [그림 5-3] 현재의 보상 - 근무여건 영역의 교차비교․139 [그림 5-4] 현재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영역의 교차비교․140 [그림 5-5] 10년 후의 보상 - 고용현황 영역의 교차비교․155 [그림 5-6] 10년 후의 보상 - 고용안정 영역의 교차비교․157 [그림 5-7] 10년 후의 보상 - 근무여건 영역의 교차비교․160 [그림 5-8] 10년 후의 고용현황 - 고용안정 영역의 교차비교․162 [그림 6-1] 현재의 양성평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173 [그림 6-2] 10년 후의 양성평등과 종합지표 교차비교․175 [그림 6-3] 현재의 양성평등과 일자리 창출 교차비교․178 [그림 6-4] 10년 후의 양성평등과 일자리 창출 교차비교․181 [그림 6-5] 현재의 양성평등과 임금 교차비교․183 [그림 6-6] 10년 후의 양성평등과 임금 교차비교․18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2010) | 2010.01.01~201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