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전략(II)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II): for Promoting Professional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 저자
- 김철희 백성준 최동선 김상태 유성상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2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1.30
- 등록일
- 2010.11.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국제개발협력교육훈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방법 및 추진 체계 4 1. 연구 내용 4 2. 연구 방법 5 3. 연구 추진 체계 7 제3절 선행 연구 분석 8 제2장 국제개발협력의 산업 및 직업 분류 제1절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11 제2절 국제개발협력의 산업 직업 분류 13 1. 분류의 필요성 13 2. 국제개발협력 산업·직업 현황 14 제3절 기존 산업 직업 분류 검토 15 1. 한국표준산업분류와의 관계 15 2. 한국표준직업 분류와의 관계 18 3. 산업 및 직업 특수분류 사례 21 4. 직업 분류의 개념 24 제4절 국제개발협력 산업 직업 분류 방안 34 1. 국제개발협력 분류의 특수성 34 2. 국제개발협력 국제분류 기준에의 적용 36 제5절 시사점 40 제3장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현황 제1절 국제개발협력 현황 45 1. 국제개발협력 변화 추이 45 2. 지원 형태별 현황 48 3. 배분 현황 51 제2절 국제개발협력 집행 체계 53 1. 국제개발협력 전달 체계 53 2. 정책 및 제도 변화 61 제3절 공공 부문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현황 62 1. 전문인력 개황 62 2. 정부 부처 및 전담 기관 64 3. 기타 기관 83 제4절 민간 부문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현황 101 1. 전문인력 개황 101 2. 국제대학원(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사례) 105 3. 민간 컨설팅 기관 121 4. 개발 NGO 124 제4장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실태 조사 제1절 조사 개요 153 제2절 조사 결과 155 1. 설문 조사 155 2. 심층 면접 조사 174 제3절 시사점 183 제5장 주요국의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사례 제1절 개요 187 제2절 일본 189 1.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189 2.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확보 - JICA의 전문인력 확보 제도 197 3.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활용 - JICA의 전문인력 파견 199 제3절 미국 203 1.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203 2.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확보 208 3.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활용 209 제4절 독일 210 1.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210 2.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확보 211 3.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프로그램 218 제5절 영국 226 1.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226 2.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프로그램 232 제6절 시사점 234 제6장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직무 분석 제1절 직무 분석 개요 237 1. 직무 분석의 목적 237 2. 직무 분석의 내용 및 방법 237 제2절 직무 분석 결과 241 1. 직무명 241 2. 직무의 정의 242 3. 직무 모형 243 4. 직업명세서 244 제3절 교육훈련 과정 248 1. 교육훈련 과정 구성 체계 248 2. 교육훈련 이수 경로 249 제7장 정책 제언 및 결론 제1절 기본 방향 251 제2절 세부 정책 제언 252 1. 개요 252 2. 주체별 개선 방안 253 제3절 결론 265 Summary 269 부록 281 참고문헌 309
2010년 우리나라의 OECD DAC 가입에 따라 원조 규모의 양적 증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훈련이 개도국의 국가발전전략 및 빈곤 퇴치전략 등에 벤치마킹 대상이 됨에 따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은 매우 시급한 현안이다. 이 연구는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의 분류기준 검토, 우리나라 현황 및 실태조사, 주요국의 사례,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 관리자 직무분석을 토대로 교육훈련 분야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을 위하여 양적 확대 및 질적 내실화, 인력 수급 차 해소 및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유기적 연계, 컨설팅 산업 육성 및 민간 부문 활성화 지원, 국제개발 협력 전문인력 양성, 배분, 활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1. The aim of research (introduction) This research aims at support for a systematical education and train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through a defini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professionals, a feasibility analysis of the industry and jobs, understanding current facts of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grasping conditions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stitution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cooperate field, case studies on developed countries’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rofessionals, a job analysi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secto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
<표 1-1> KOICA 분야별 전문가 등록 현황(2010)․3 <표 1-2> 연도별 연구 내용․4 <표 2-1> 한국표준직업 분류의 직능 수준 체계․26 <표 2-2> DOT 체계와 O*Net 체계의 직업 분류 비교․30 <표 2-3> 한국고용직업 분류와 한국표준직업 분류의 대분류 체계․32 <표 2-4>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분류(안)․41 <표 2-5>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단계 및 역할 구분․42 <표 2-6> 엔지니어링 기술인력의 자격 기준․43 <표 2-7> KOICA 전문인력 자격 기준․43 <표 3-1> 연도별 ODA 지원 현황(순지출 기준)․46 <표 3-2> 원조 형태별 ODA 규모(순지출 기준)․49 <표 3-3> 양자 간 ODA의 분야별 지원 규모(약정 기준)․52 <표 3-4> 양자 간 ODA 지역별 지원 규모․53 <표 3-5> 부처별 ODA 예산 집행 내역(순지출 기준)․56 <표 3-6> 한국국제협력단 사업 현황(2010)․58 <표 3-7> 한국국제협력단 분야별 지원 현황(2010)․59 <표 3-8> 한국국제협력단 사업 유형별 지원 현황(2010)․60 <표 3-9> 연령 분포․69 <표 3-10> 분야별 분포․70 <표 3-11> 현퇴직 여부․70 <표 3-12> 파견 여부․71 <표 3-13> 교육 분야 연령 분포․72 <표 3-14> 교육 분야 성별 분포․72 <표 3-15> 교육 분야 현퇴직 여부별 분포․72 <표 3-16> 교육 분야 학력별 분포․73 <표 3-17> 교육 분야 소속별 분포․73 <표 3-18> 교육 분야 참여 역할별 분포․74 <표 3-19> 산업 분야별 컨설턴트 등록 현황․76 <표 3-20> 소속 기관별 분류․77 <표 3-21> 외국어 능력 구분․78 <표 3-22> 제1외국어 언어 종류․78 <표 3-23> 전문가 전공 분야별 분류․78 <표 3-24> 전문가 학력별 분류․79 <표 3-25> 자격증 보유 여부․80 <표 3-26> 현퇴직 구분․80 <표 3-27> 국제기구 근무 경험․81 <표 3-28> 사업 참여 횟수․81 <표 3-29> 기업 규모별 분포․82 <표 3-30> 사업 참여 경험별 분류․82 <표 3-31> ODA 교육원 교육목표․86 <표 3-32> ODA 교육원 추진전략․87 <표 3-33> ODA 교육원 세부 교육과정(2010)․88 <표 3-34> 대학에서의 국제개발협력 영역 및 주요 내용․101 <표 3-35> 전문가 구분 및 주요 내용․102 <표 3-36> 대학에서의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102 <표 3-37> NGO 개발 협력 전문가 구분 기준․103 <표 3-38> 경희대 국제대학원 프로그램 변화․107 <표 3-39> 경희대 국제대학원 국제개발협력 전공 학생 수(2010. 3 기준)․108 <표 3-40> 경희대 국제대학원 국제개발협력 전공 석사 과정․110 <표 3-41> 경희대 국제대학원 국제개발협력전공 박사 과정․111 <표 3-42> KISS 운영 사이클․115 <표 3-43> 국내 및 해외 원조기관 컨설턴트 단가 비교․122 <표 3-44> BOND 교육훈련(2010)․128 <표 3-45> INTRAC 교육훈련(2010~2011)․129 <표 3-46> ACFID 교육훈련 프로그램(2008~2009)․129 <표 3-47> ADCC 교육훈련 프로그램․131 <표 3-48> CIDT 교육훈련 프로그램․132 <표 3-49> RedR UK 교육훈련 프로그램․132 <표 3-50> Mango 교육훈련 프로그램․136 <표 3-51>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회원 수․139 <표 3-52> 한국 개발 NGO 해외사업 규모․139 <표 3-53> 한국 개발 NGO 대륙별 해외사업 인력 파견 현황․141 <표 3-54> 해원협 실무자 역량 강화사업 내용(2009~2010)․142 <표 3-55> 한국 개발 NGO 인력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안)․149 <표 3-56> 학사 운영․151 <표 4-1>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실태 조사 주요 항목․154 <표 4-2> 응답자 특성(정부부처․전담 기관)․156 <표 4-3> 응답자 특성(PMC․전문가)․157 <표 4-4>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의 충분 정도․158 <표 4-5>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수준의 비교 우위 여부․159 <표 4-6>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의 우수 부분․160 <표 4-7>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의 관련 정책, 제도 수립 운영 여부․161 <표 4-8> 인력 부족으로 애로를 겪은 경험․162 <표 4-9> 전문인력 양성 활용시 주체별 중요도․162 <표 4-10> 전문인력의 수원국 지역적 수요 충족 여부․164 <표 4-11>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에게 필요한 역량․165 <표 4-12>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166 <표 4-13>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교과목(안) 우선 순위(정부부처․전담 기관)․167 <표 4-14>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교과목(안) 우선 순위(PMC․전문가)․168 <표 4-15>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활용을 위한 정책 필요도․169 <표 4-16>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발굴․양성을 위한 필요 사항․170 <표 4-17>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활용 방안․171 <표 4-18> 참여 경로(계기)․171 <표 4-19> 사업 참여시 가장 큰 저해 요인․172 <표 4-20>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이수 경험․172 <표 4-21>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이수 기관․173 <표 4-22>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이수 계획․173 <표 4-23> 국제개발협력 교육훈련 이수 계획 선호 사항․173 <표 4-24> 전문인력의 정의․175 <표 4-25>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176 <표 4-26> 공공 부문 주도의 운영․177 <표 4-27>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연계․179 <표 4-28> 전문가 참여 환경․180 <표 4-29> 선진 공여국과의 비교․181 <표 4-30> 정책, 제도적 개선 방안․182 <표 5-1> JICA의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제도․190 <표 5-2> JICA 개인 연수 모집 중점 분야(A형만 대상)․192 <표 5-3> ECFA의 2007연도 세미나․연수 실적․194 <표 5-4> IDEAS 일본인 연수생 강의 커리큘럼․197 <표 5-5> JICA 전문인력 유형․199 <표 5-7> JICA의 주요 전문가 파견 분야․202 <표 5-8> 독일 고등교육기관 인력 양성 비교․214 <표 7-1> 주체별 세부 정책 제언․252 [그림 1-1] 연구 추진 체계․7 [그림 2-1] 표준직업 분류 절차․20 [그림 2-2] 전문기술인적자원 분류 체계․24 [그림 2-3] 직업 분류 기준의 도식화․27 [그림 2-4] 한국표준직업 분류와 한국고용직업 분류의 통합 체계․33 [그림 3-1] 우리나라 ODA 연도별 추이(순지출 기준)․48 [그림 3-2] 우리나라 ODA/GNI 비율 및 1인당 ODA 추이(순지출 기준)․48 [그림 3-3] 양자 간 무상원조와 유상원조 비중 추이․50 [그림 3-4] 양자 간 ODA의 분야별 지원 비중(약정 기준)․51 [그림 3-5]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 추진 체계․55 [그림 3-6] EDCF 운용 조직 및 체계․61 [그림 3-7] 한국국제협력단 조직도․67 [그림 3-8] 한국수출입은행 조직도․75 [그림 3-9] ODA 교육원 교육과정․88 [그림 3-10] KSP 사업 지역 실시 횟수(2004~2010)․93 [그림 3-11] KSP 사업 실시과제 분류(2004~2010)․94 [그림 3-12] KSP 사업 참여 컨설턴트 전공별 분류(2004~2010년)․96 [그림 3-13] KSP 사업 참여컨설턴트 출신별 분류(2004~2010년)․97 [그림 3-14] KSP 사업 참여 컨설턴트 세부 전공 분류(2004~2010년)․97 [그림 3-15] 개발 NGO 관련 주체들의 역할 분담․148 [그림 5-1] 영국 국제개발부의 훈련 개발과 조직도․228 [그림 6-1] 직무 분석 틀․238 [그림 6-2] 직무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절차․238 [그림 6-3]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 책임자의 책무․24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전략(II):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 2010.01.01~2010.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