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Ⅲ)

Establishment of an Operation Model for Integrated Career Education(III)
저자
정윤경 이지연 이영대 최동선 김나라 남미숙 정영근 장석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2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2.31
등록일
2010.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진로교육연구학교교육과정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3차년도 연구의 필요성 1
    2. 3차년도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1. 3차년도 연구의 내용 5
    2. 3차년도 연구의 방법 9
    3. 연구학교 운영 추진 전략 13
제2장  1차년(2008) 2차년(2009)도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선행연구
  제1절  1차년도(2008) 연구 19
    1. 연구 목적 및 방법 19
    2. 연구 주요 성과 21
  제2절  2차년도(2009) 연구 36
    1. 연구 목적 및 방법 36
    2. 연구 주요 성과 38
제3장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연구학교 운영 및 성과 
  제1절  3차년도(2010) 연구학교 운영 개요 59
    1. 연구학교 운영의 필요성 및 목적 59
    2. 연구학교 운영 현황 61
    3. 연구학교 운영 모니터링 66
  제2절  3차년도(2010) 연구학교 운영 결과 분석 71
    1. 연구학교 모니터링 결과 분석 71
    2. 연구학교 참여 학생 설문조사 결과 분석 93
    3. 연구학교 수업 참관 및 면담 결과 분석 108
  제3절  소결론 119
    1. 연구학교 운영 성과 119
    2. 연구학교 운영 문제점 120
제4장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학교 운영 모델 
  제1절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123
    1. 2009개정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과통합 진로교육 123
    2.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126
    3.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의 방법 128
    4.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130
  제2절  중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136
    1. 중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의 기본 방향 및 목표 136
    2. 중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138
  제3절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143
    1.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의 기본 방향 및 목표 143
    2.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147
제5장 보급 및 정책 제언
  제1절  보급 151
    1.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 학습 자료 및 동영상 개발 151
    2. 연구학교 발표회(세미나) 개최 151
    3.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웹페이지 구축 및 DVD 제작 보급 154
  제2절  정책 제언 156
    1. 국가 차원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지원방안 156
    2. 시도 차원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지원방안 164
    3. 일선 학교 차원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지원방안 170
SUMMARY 175
참고문헌 185
  이 연구는 3차년도(2008~2010)에 걸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 연구로서 학교 교육 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을 연구하였고, 올해 3차년도(2010)에서는 1차년도(2008)의 기초연구와 2차년도(2009)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자료 및 연구를 기초로 연구학교를 운영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 적합성 높은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및 각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학습자료(인쇄자료, 수업동영상)를 개발하고 웹 구축 및 DVD로 제작·보급하였다.
Chapter 1. Introduction
This research has an ultimate goal of establishing an operation model by integrating each subject's educational objectives and motivation in the school''s curriculum education process with ''career development capacity'' to simultaneously develop curriculum education and career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whole process of an individual''s life.
This year's research involved proposing an operation model for curriculum integration through applying the first year (2008) of the basic research and the second year (2009) of career education materials as a pilot study, and concluding the third year of this research by completing career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ontent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receiving the cooper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otal of 6 schools (two schools each from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were chosen as the ''research schools''. Monitoring measures and surveys were provided as a useful framework for an analysis of operation plans for integrated career education of the research schools, procedures, and operation results. Second, based on operation plans of research schools, curriculum-integrated career education courses were conducted intensively for 1 semester from March to the end of July in 2010. In addition to this, survey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measures of integrated career education schools. Third,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career education and an overall adequacy of pilot schools; fourth, curriculum-integrated career education research schools proposed an operation model for integrated career education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results. Finally, integrated career education data were modified, developed and spread to the research schools to easily apply integrated career education in their school curricula. 
...
<표 1-1>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연구 세부 내용․4
<표 1-2>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연구학교 선정 현황․10
<표 1-3>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연구학교 관련 기관의 역할․11
<표 1-4> 연구학교 책임자 및 직능원 담당 연구진 현황․15
<표 1-5> 연구학교 교사 대상 연수 현황․16
<표 1-6> 연구학교 교과위원회 현황․17
<표 2-1>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을 위한 진로개발 역량의 하위 요소 및 정의․22
<표 2-2> 도덕과 개정 교육과정과 진로개발 역량의 관련성(예시)․24
<표 2-3> 도덕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목표, 성취 기준 및 학습 방법(예시)․25
<표 2-4> 도덕과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지도 사례․26
<표 2-5> 초등 및 5개 교과별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디자인․45
<표 2-6> e-learning 자료 제작방법 및 내용․47
<표 3-1> 참여 연구학교의 현황․62
<표 3-2> 연구학교 운영 일정(초등학교)․63
<표 3-3> 연구학교 운영 일정(중학교)․64
<표 3-4> 연구학교 운영 일정(고등학교)․65
<표 3-5> 학교 현장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운영 기반 평가 구성․69
<표 3-6>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및 활동 평가 구성․70
<표 3-7>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학습 자료의 적합성 평가 구성․71
<표 3-8> 연구학교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운영 기반 및 내용․76
<표 3-9> 연구학교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 현황(초등학교)․78
<표 3-10> 연구학교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 현황(중학교)․79
<표 3-11> 연구학교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 현황(고등학교)․80
<표 3-12> 초등학교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학습 자료 개발 현황․81
<표 3-13> 중학교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학습 자료 개발 현황․81
<표 3-14> 고등학교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학습 자료 개발 현황․81
<표 3-15> 초등학교․교과별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학습 자료․82
<표 3-16> 중등학교․교과별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교수․학습 자료․84
<표 3-17>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동영상 현황․88
<표 3-18> 연구학교별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진로개발역량 분포․90
<표 3-19> 학교급별․학년별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진로개발역량 분포․91
<표 3-20> 과목별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진로개발역량 분포․92
<표 3-21> 전반적인 설문조사 응답자 현황(4월 기준)․94
<표 3-22>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효과분석 사전-사후조사 참여 현황․95
<표 3-23> 교과와 함께 배우는 진로교육에 대한 필요성․96
<표 3-24> 교과와 함께 배우는 진로교육 수업과 보통 수업과의 비교(초등학교)․97
<표 3-25> 교과와 함께 배우는 진로교육 수업과 보통 수업과의 비교(중ㆍ고등학교)․98
<표 3-26> 교과와 함께 배우는 진로교육 수업 만족도․99
<표 3-27>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전후 변화: 초등학교 도덕교과․100
<표 3-28> 교과에 통합된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 및 진로개발 인식의 사후검사 공변량 분석 결과: 초등학교 도덕교과․101
<표 3-29>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전후 변화: 중학교 도덕교과․102
<표 3-30> 교과에 통합된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 및 진로개발 인식의 사후검사 공변량 분석 결과: 중학교 도덕교과․103
<표 3-31>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전후 변화: 중학교 수학교과․104
<표 3-32>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 및 진로개발 인식의 사후검사 공변량 분석 결과: 중학교 수학교과․105
<표 3-33>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전후 변화: 고등학교 국어교과․106
<표 3-34>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 및 진로개발 인식의 사후검사 공변량 분석 결과: 고등학교 국어교과․107
<표 4-1> 초등학교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의 예(6학년 수학)․129
<표 4-2>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편성 준비 단계의 세부 내용․131
<표 4-3>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심의단계의 세부 내용․133
<표 4-4>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운영단계의 세부 내용․134
<표 4-5>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운영 평가 및 피드백 단계의 세부 내용․135
<표 4-6> 중학교의 단계별․영역별 진로교육 목표 체계․137
<표 4-7> 학교교육과정위원회의 주요 분과별 업무 예시․139
<표 5-1> 지역 단위 연구학교 발표회 현황․153
[그림 1-1]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연구의 주요 내용․방법․8
[그림 2-1] 개별 교사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28
[그림 2-2] 학교 수준의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29
[그림 2-3] 교과위원회의 단계별 작업 모델․30
[그림 2-4]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연구의 추진 전략․37
[그림 2-5] 5개 범주의 11개 진로개발 역량 요소 및 설명․39
[그림 2-6] 도덕과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인쇄책자 표지 ․45
[그림 2-7] e-learning 수업보조자료 예시: 초3 국어 ‘영미가 아파요’․47
[그림 3-1] 가람초등학교의 운영 조직․72
[그림 3-2] 진잠초등학교의 운영 조직․73
[그림 3-3] 비산중학교의 운영 조직․73
[그림 3-4] 영동중학교의 운영 조직․74
[그림 3-5] 남주고등학교의 운영 조직․74
[그림 3-6]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의 운영 조직․75
[그림 4-1]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130
[그림 4-2] 중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138
[그림 4-3] 고등학교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의 목표․146
[그림 4-4] 학교급별 진로개발 역량의 수준․147
[그림 4-5]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148
[그림 5-1] 연구학교 발표회 일정․152
[그림 5-2]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웹페이지․155
[그림 5-3] 교과에 통합된 진로교육 DVD 케이스 및 CD․15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Ⅲ) 2010.01.01~201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