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진로교육 및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Exploring Improvement Plans for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in Response to the 2009 Curriculum Reform
- 저자
- 장명희 김선태 박윤희 최동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32-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0.31
- 등록일
- 2010.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교육과정전문계고
요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내용 3 2. 연구 방법 4 제2장 전문계고 직업교육 정책 제1절 전문계고의 특성변화 11 1. 학교 수의 변화 11 2. 학생 수의 변화 12 3. 교원 수의 변화 14 4. 진로 현황의 변화 15 제2절 중등직업교육 관련 정책 동향 18 1. 주요 정책 18 2. 핵심 추진 사업 28 제3절 시사점 48 제3장 전문계고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제1절 전문계고 교육과정 변화 51 1.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 51 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선 시 고려사항 62 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전문계고 교육과정의 변화 65 제2절 전문계고 교육과정 관련 연구고찰 70 1. 기초학력 관련 70 2. 보통교과 편성 및 운영 73 3. 직업기초능력 함양 74 4. 전문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77 5.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 80 6. 교육과정 체제 및 교수-학습 자료 85 제3절 전문계고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개선요구 87 1. 조사대상 87 2. 전문계고 교육과정 운영 현황 89 3.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과 관련한 난점 97 4.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 99 제4절 전문계고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106 1. 특성화고 106 2. 마이스터고 112 3. 2009년 연구 시범학교 119 제5절 시사점 126 제4장 외국의 중등직업교육과정 동향 제1절 미국 131 1.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제도 131 2. 중등직업교육과정 133 제2절 일본 137 1.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제도 137 2. 중등직업교육과정 139 제3절 영국 150 1.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제도 150 2. 중등직업교육과정 153 제4절 핀란드 163 1.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제도 163 2. 중등직업교육 165 제5절 스웨덴 170 1.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제도 170 2. 중등직업교육 172 제6절 시사점 183 제5장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 제1절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전제 187 1. 총론과 연계한 기본 방향 187 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전제 188 제2절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안 189 1. 전문계고 교육과정 총론과의 연계 관련 189 2. 전문계고 교육과정 각론 구성 방향 관련 192 3. 전문교과의 선정 관련 196 4.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199 5. 교육과정의 체제 및 개발 방법 200 제3절 2009 개정 교육과정 운영 관련 정책적 제언 201 Summary 205 부 록 209 <부록 1> 설문지 211 <부록 2> NCS 개발 영역 및 주관 부처 218 <부록 3> 전문교과 가운데 국가 교육과정 외에 자체 개발한 교과목 현황 219 <부록 4> 학과별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격종목 현황 225 <부록 5>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격종목의 개설학과 228 <부록 6> 교육과정 개발 운영 자율권 확대에 따른 효과와 문제점 및 개선요구 241 <부록 7-1> 미국의 교육 체계 243 <부록 7-2> 미국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244 <부록 7-3> 일본의 필이수교과 과목 일람표 245 <부록 7-4> 일본의 전문학과에서 개설되는 각 교과 과목 247 <부록 7-5> 영국의 교육체계 248 <부록 7-6> 핀란드의 교육체계 250 <부록 7-7> 핀란드 직업계고의 계열 및 하위자격과정 251 <부록 7-8> 핀란드 핵심교과의 핵심내용(ex: 뷰티 케어 계열) 253 <부록 7-9> 스웨덴의 교육제도 255 <부록 7-10> 스웨덴의 고등학교 프로그램별 교육내용 256 참고문헌 259
최근 정부는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을 통하여 취업기능 강화, 현장맞춤형 직업 교육과정 운영, 직업기초능력 강화로의 전문계고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고등학교 직업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전문계고 교육과정 각론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 도출을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 전문계고 운영 실태 문헌, 외국의 교육과정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교현장 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현장방문,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밖에 전문가협의회, 토론회 및 세미나를 통해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은 총론과의 연계 및 각론 구성 방향, 전문교과의 선정, 교수-학습 및 평가, 교육과정의 체제 및 개발 방법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으로는 '(가칭)산학협력 교육과정 개정위원회' 구축, 직업교육의 운영과정과 결과에 대한 질 관리 체제 구축,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정 주기와 방법의 차별화 검토,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개정 시에 교육과정 운영 기반인 인적·물적 지원책 계획 등을 제안하였다 ○ 주요내용 - 전문계고 직업교육의 특징과 정책 동향 분석 - 전문계고 교육과정 운영실태(관련 연구고찰, 운영 현황 및 개선 요구, 주요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 외국의 중등직업교육과정의 동향(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제도, 중등직업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방법, 교과내용, 질 관리 및 평가, 인증 및 자격체계와의 연계, 주요 정책 및 이슈 등) 분석
Recently government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such as enhancement of Employability, Customized curriculum, and key competence based on “Advancement Plan of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and environmental change.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as follows: 1)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in vocational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Korea; 2) analysis of implementing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 such as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needs analysis for improvement, and case studies; 3) analysi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Japan, England, Finland, and Sweden; and 4) exploration of direc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The study employed several research methods. A review of literature was conducted including Korea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implementing statu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curriculum in overseas countries. In addition, surveys and interviews for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s. Site visits, expert discussion, and seminars were conducted as well. ...
<표 1-1> 국가별 웹사이트 주소․5 <표 1-2> 전문가 토론회 및 세미나 일정표․7 <표 2-1> 전문계고 학교 수 변화․12 <표 2-2> 전문계고 학생 수 변화․13 <표 2-3> 전문계고 학년별 학생 수 변화․13 <표 2-4> 전문계고 교원 수 변화․14 <표 2-5> 전문계고 전문교과의 교원 수 변화․15 <표 2-6> 전문계고 졸업자의 진로 현황 변화․15 <표 2-7> 전문계고 졸업 후 전공 분야 취업률 변화․16 <표 2-8> 전문계고 졸업자의 산업분야 및 직업별 취업률 변화․17 <표 2-9>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2005. 5.)」의 전문계고 관련 내용․20 <표 2-10> 「희망을 실현하는 전문계고 육성전략(2007. 2.)」의 주요 내용․22 <표 2-11> 마이스터고 육성정책의 주요 내용․23 <표 2-12> 현행 전문계고 유형 비교․25 <표 2-13> 「교육희망사다리」 구축 방안 지원내용․28 <표 2-14> 연도별․시도별 직업교육 특성화고 운영 학교 수․30 <표 2-15>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고 운영 모형별 비교․31 <표 2-16> 정부부처별 지원 특성화 분야․33 <표 2-17> 2009년 기업-공고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참여 학교 현황․34 <표 2-18> 전문계고 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 지원 대상 사업 분야(예시)․36 <표 2-19> 마이스터고 육성 추진 현황(2009. 12. 기준)․37 <표 2-20> 직무체계 및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현황(KSS)․41 <표 2-21> 직업능력표준의 개발현황(NOS)․43 <표 2-22>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현황․45 <표 2-23>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46 <표 2-24> 국가직무능력표준(KSS)의 능력단위별 운영 방안의 장단점․47 <표 3-1> 제7차 교육과정의 계열별 필수 이수 과목․54 <표 3-2> 제7차 교육과정․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59 <표 3-3> 교과 교육과정 기준의 적합성과 적정성 제고를 위한 요소별 내용․63 <표 3-4>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기준․75 <표 3-5> 전문계고 전문교과 개설 과목의 종류․78 <표 3-6> 계열별 기술․가정 교과 대체과목․79 <표 3-7> 전문교과의 계열별 필수과목 개설 현황․80 <표 3-8>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필수과목 개설 현황․81 <표 3-9> 직업탐구영역 과목별 응시현황․83 <표 3-10> 전공기초영역의 시험과목 및 시험범위․84 <표 3-11> 수준별 수업 자료․85 <표 3-12> 조사 대상 학교의 일반 현황․88 <표 3-13> 학과별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격종목 현황․89 <표 3-14> 국가 교육과정 외에 자체 개발한 인정교과서 현황․91 <표 3-15> 계획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종류․93 <표 3-16> 창의적 체험활동 담당교사별, 운영방법별, 적용학년별 빈도․94 <표 3-17>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교과 및 프로그램 운영 여부(중복 응답)․95 <표 3-18>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교과 및 프로그램 종류․95 <표 3-19>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교과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중복 응답)․96 <표 3-20> 학과별 교육과정 개발․편제 시 어려운 요소․98 <표 3-21> 자체적으로 인정도서 등의 교재개발 시 애로사항(중복 응답)․99 <표 3-22> 부진학생들의 기초학력 제고를 위한 의견․100 <표 3-23>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개편방향의 대한 의견․101 <표 3-24> 전문교과 교육과정에서 지정된 계열별 필수과목의 적절성․102 <표 3-25> 계열 개편 방향에 관한 의견․103 <표 3-26> 계열별 필수과목 가운데 조정 또는 삭제가 필요한 과목(중복 응답)․104 <표 3-27> 설립유형에 따라 삭제가 필요한 계열별 과목에 대한 의견․105 <표 3-28> 산업체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고 비교․111 <표 3-29> 21개 마이스터고 학과 및 교과 이수단위 비교․113 <표 3-30> 21개 마이스터고 2007개정 교육과정 대비 신규교과목․116 <표 3-31> 교육과정 개정 교육과정 시범학교의 운영형태 및 문제점․121 <표 3-32> 핵심능력(능력단위)별 수행기준 분량 및 수업시수․124 <표 3-33> 2010년 1학기 조경설계 분야 수업 계획․125 <표 4-1> 일본의 교과․과목의 분류․143 <표 4-2> 우리나라와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 비교․151 <표 4-3> 영국의 직업교육관련기관 및 역할․152 <표 4-4> 영국의 자격 내용체계․156 <표 4-5> 영국의 직무기술과 다른 자격기준 간의 관계․159 <표 4-6> 영국의 직무기술의 교과별 내용․160 <표 4-7> 핀란드 고등학교의 핵심교과․166 <표 4-8> 핀란드 직업계고의 학점 구성․168 <표 4-9> 핀란드 핵심교과의 평가기준 예시(예 뷰티케어 계열)․169 <표 4-10> 핀란드 직업교과의 핵심내용 및 평가기준 예시(예 뷰티케어 계열)․169 <표 4-11> 스웨덴의 고등학교 프로그램․175 <표 4-12> 스웨덴의 핵심교과별 이수 학점․177 <표 4-13> 외국의 중등교육 체제와 직업교육 교육과정 동향․179 [그림 1-1] 연구절차 및 방법․9 [그림 2-1] 직업교육체제 혁신 방안의 비전․19 [그림 2-2] 희망을 실현하는 전문계고 육성 전략(2007. 2.)․21 [그림 2-3]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성장경로(Career Path) 모형․24 [그림 2-4]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념․39 [그림 2-5] NCS의 단계별 핵심 추진 사항․40 [그림 3-1] 동구여자상업고의 교육과정 운영․107 [그림 3-2] 한국경마축산고의 인력 양성 모형․109 [그림 3-3] 경북항공고의 기술인력 협력육성 개념도․110 [그림 4-1] 일본의 교육체계․138 [그림 4-2] 슈퍼전문고로 지정된 학교 수 추이․14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진로교육 및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 2010.04.01~2010.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