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진로교육 및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②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진로교육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Exploring Improvement Plans for Career Education Curriculum in Response to the 2009 Curriculum Reform
- 저자
- 장명희 김선태 박윤희 최동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32-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0.31
- 등록일
- 2010.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교육과정진로교육
요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내용 3 2. 연구 방법 3 3. 연구 범위 4 제2장 국가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제1절 제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5 1. 독립된 교과를 통한 방법 10 2. 특정 교과에 일부 단원으로 편성하는 방법 17 3. 교과에 통합(infusion)하는 방법 20 4. 창의적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을 활용한 교과외 활동을 통한 방법 23 5. 교과과정에서 운영되는 진로교육 유형별 특징 및 장 단점 비교 27 제2절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31 1.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 31 2.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33 제3장 진로교육의 최근 국내 동향 제4장 외국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동향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제1절 미국 53 1. 동향 및 특성 53 2. 미국의 진로개발지침 54 3. 주 단위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사례 - North Carolina주 58 제2절 영국 62 1. 영국의 교육 시스템과 국가 교육과정 62 2. 영국의 진로교육 체제와 국가 교육과정과의 관계 66 3. 시사점 74 제3절 핀란드 75 1.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과 국가 교육과정 75 2. 핀란드의 진로교육 체제와 국가 교육과정과의 관계 84 3. 시사점 94 제5장 진로교육 교육과정 개선 방향 제1절 기본방향 95 제2절 개선 방향 96 Summary 105 참고문헌 109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총론 발표에 이어 2011년 각론 개정 고시를 앞둔 시점에서 총론의 방향과 진로교육의 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1. Research Goals and Methodologies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s considered as one of main influencers upon school career education. However, the school career education has been stressed until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ich this emphasis was not realized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at the time whe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about to be enforced, it is so important how our school can design and implement the career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revising the career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respond to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career education. For this goal,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methodologies: literature reviews, discussion with some professionals and practitioners, and organizing the advising committee. ...
<표 2-1> 제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별 교육목표와의 관계․8 <표 2-2> 「진로와 직업」 교과의 영역 및 내용요소․12 <표 2-3>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운영 현황․14 <표 2-4> 「진로와 직업」 교과서 개발 현황(2010. 2. 현재)․15 <표 2-5>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 요소․19 <표 2-6> 과목별 진로교육과의 연관성․21 <표 2-7> 학교급별 범교과 학습주제 편성․운영 현황․25 <표 2-8> 특별활동의 주당 수업시수 및 하위영역․27 <표 2-9>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유형별 현황 및 문제점(요약)․28 <표 2-10>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운영 방법에 따른 장점과 단점․30 <표 2-11>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별 교육목표․34 <표 2-12>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별 성격 및 활동․36 <표 2-13>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년별 시간배당 기준․36 <표 2-14> 중학교 진로와 직업 과목의 영역 및 내용요소․39 <표 3-1> 초․중등 진로교육 관련 주요 정책 동향․42 <표 3-2>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 계획’의 정책영역 및 정책과제․45 <표 3-3> ‘진로교육 종합계획’의 정책영역 및 정책과제․51 <표 4-1> North Carolina 주의 체계적인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내용체계․60 <표 4-2>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 체계․65 <표 4-3> PSHEe 과목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요소의 KS 단계별 비교․71 <표 4-4> 기초교육(종합학교) 의무교육과정의 과목별 최소 이수단위표․79 <표 4-5> 일반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이수 편성표․82 <표 5-1> 진로와 직업 과목의 중․고교 교육내용 비교․100 [그림 2-1] 제7차 교육과정의 편제와 진로교육 운영․10 [그림 2-2] 초․중등 교육과정 편제․33 [그림 3-1]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 계획의 비전, 목표 및 내용․44 [그림 3-2] 직업세계 체험 주간 추진 및 지원 체계․47 [그림 3-3] ‘진로교육 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추진전략 및 과제․50 [그림 4-1] 미국진로개발지침의 구조 및 내용․57 [그림 4-2] 영국(잉글랜드)의 교육훈련 체계도․63 [그림 4-3] 핀란드의 교육 학제․77 [그림 4-4] 핀란드의 진로교육 체계 개요도․87 [그림 4-5] 기초교육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진로지도 제공에 관한 가이드라인․90 [그림 4-6] 고등학교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진로지도 제공에 관한 가이드라인․91 [그림 5-1] 5개 범주의 11개 진로개발 역량요소․99 [그림 5-2]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의 목표와 접근방법․10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진로교육 및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 2010.04.01~2010.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