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창출과 지원
Study of Job Creation and Support for Baby Boomers
- 저자
- 손유미 김찬훈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0-3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0.10.31
- 등록일
- 2010.10.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베이비붐세대일자리창출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관련문헌 분석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1. 연구의 내용 7 2. 연구의 방법 7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11 제2장 베이비붐 세대 분석 제1절 베이비붐 세대의 정의와 특성 13 1. 인구 분포 13 2. 베이비붐 세대의 성장 15 3.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관계와 노후준비 17 4.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욕구와 일자리 19 제2절 노동시장 특성 분석 21 1. 베이비붐 세대의 노동시장현황 22 2. 산업별 취업자 분포 29 3. 직종별 취업자 분포 34 4. 베이비붐 세대 노동시장의 특징과 시사점 38 제3장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정책과 현장 사례 제1절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경로 41 제2절 일자리 정책 45 1. 고용유지(고용연장) 정책 45 2. 사회적 기업 정책 48 3.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 53 4. 시니어 창업 58 5. 귀농 귀촌 정책 60 6. 해외파견 정책 65 제3절 현장사례 분석 69 1. 사회적 기업 69 2. 사회적 공헌 일자리 사례 76 3.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귀농 귀촌 사례 80 4.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언 81 제4장 외국 사례 제1절 외국의 베이비붐 세대와 지원정책 83 1. 미국과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의 정의와 특징 83 2. 베이비붐 세대 지원정책 85 제2절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관련사례 92 1. 일본 92 2. 미국 98 제5장 일자리 정책방향과 제언 제1절 정책방향과 추진전략 107 제2절 정책제언 110 1. 베이비부머 지원 재단 설립 110 2. 사회공헌형 일자리 공모사업(시범) 추진 111 3. 베이비부머 일자리 지원 서비스망 구축 114 4. 직업능력개발계좌제를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지원 115 5. 베이비부머를 위한 새로운 일자리 발굴 116 Summary 119 부 록 125 참고문헌 131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중심축으로 활약하여 왔던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이들의 은퇴가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가 그들이 이제껏 쌓은 사회적 지식과 노동경험을 은퇴 이후 어떠한 일자리에서 발휘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베이비붐 세대의 생계 유지 뿐만 아니라 사회와 소통하는 기제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가 지닌 각종 경험 및 자산을 공공성과 결합하여 이들의 새로운 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가 진출할 수 있는 제3섹터(사회적 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회적 공헌 일자리 등)에서의 일자리에 특히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과 요구를 분석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일자리와 취업지원 서비스 관련 대책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분석, 데이터 분석, 외국 사례 분석 및 FGI를 통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에 대한 요구와 전망을 분석하였다. ○ 주요내용 - 베이비붐 세대의 주요 특징 -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정책과 현장 사례 - 외국의 베이비붐 세대 현황 및 지원 방안 - 일자리 정책 방향과 제언
1. Overview Recently, it is discussed how much the social and economical impact of baby boomers' retirement would be. Baby boomers, who are born in 1955~1963, comprise approximately 14.6%(712 millions) of general population and have been played a key role for our economic development. Moreover, they experienced not only rapid economic growth, but also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and Global Finance crisis in 2008. Their retirement from labour market would be critical event to both baby boomers and society. Especially, job for baby boomers is important, because it means a communication tool with a society as well as a way of livelihood. Some governmental policies for baby boomers are founded recently with the Ministry of Labour an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but the comprehensive policy that make baby boomers' social experience and knowhow combine with publicity and support the new start for baby boomer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to draw up some measures and job creation to support baby boomers, especially the third sectors'' job (e.g. community business, social enterprise, etc). For this study, are employed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 literature review, panels of expert and case studies of Japan and United States. ...
<표 2-1>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14 <표 2-2> 고령자의 취업의사 및 취업을 원하는 이유․19 <표 2-3> 베이비붐 세대의 전반적 특징․20 <표 2-4> 세대별 경제활동참가율․24 <표 2-5> 베이비부머의 경제활동현황․24 <표 2-6> 연령대별 취업자 구성비․26 <표 2-7> 베이비부머 취업자 분포(전체)․27 <표 2-8> 베이비부머 취업자 분포(남자)․28 <표 2-9> 베이비부머 취업자 분포(여자)․28 <표 2-10> 베이비부머 산업별 취업자 분포(전체)․29 <표 2-11> 연령대별․성별 취업자 비율 상위 5개 산업․33 <표 2-12> 베이비부머의 직종별 취업자 분포․34 <표 2-13> 연령대별 취업자비율 상위 5개 직종(전체)․37 <표 2-14> 연령대별⋅성별 취업자 비율 상위 5개 직종․37 <표 3-1> 베이비붐 세대의 전직과 일자리 지향별 일자리 경로․43 <표 3-2>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경로별 전망과 지원정책방안․43 <표 3-3> 고용연장 관련 정책․46 <표 3-4> 국가고용전략 2020․47 <표 3-5> 관계부처의 사회적 기업 육성현황․49 <표 3-6> 사회적 기업 유급근로자 유형․52 <표 3-7> 일자리 선호도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53 <표 3-8>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부부처 정책․55 <표 3-9>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책․56 <표 3-10> 한국과 일본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교(현 시점)․57 <표 3-11> 1인 창조기업 사례․60 <표 3-12> 귀농․귀촌 관련 정책사업․61 <표 3-13> 사회공헌형 일자리 사례․76 <표 4-1> 한⋅미⋅일 베이비붐 세대의 비교․84 <표 4-2> 고령자 노동정책에 대한 한⋅미⋅일 비교․86 <표 4-3> 정년제도에 대한 한⋅미⋅일 비교․89 <표 4-4> 고용창출에 대한 한⋅미⋅일 비교․90 <표 4-5> 고용지원에 대한 한⋅미⋅일 비교․92 <표 4-6> 단카이 세대를 위한 일자리․94 <표 4-7> Encore Career 홈페이지 구성․102 [그림 2-1]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구조․14 [그림 2-2] 연도별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15 [그림 2-3]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와 오늘(1)․16 [그림 2-4]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와 오늘(2)․16 [그림 2-5]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지출구성․17 [그림 2-6]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방법․18 [그림 2-7] 경제성장률 및 1인당 GDP․23 [그림 2-8]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참가율 추이․25 [그림 2-9] 연령대별⋅산업별 취업자 비율(전체)․31 [그림 2-10] 연령대별⋅산업별 취업자 비율(남자)․32 [그림 2-11] 연령대별⋅산업별 취업자 비율(여자)․32 [그림 2-12] 연령대별⋅직종별 취업자 비율(전체)․35 [그림 2-13] 연령대별⋅직종별 취업자 비율(남자)․35 [그림 2-14] 연령대별⋅직종별 취업자 비율(여자)․36 [그림 3-1] 베이비붐 세대의 주요 일자리 경로․42 [그림 3-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요․54 [그림 3-3] 2005~2009년 귀농가구 수․63 [그림 3-4] 2009년 연령별 귀농현황․63 [그림 3-5] 전문가 해외파견사업․68 [그림 5-1]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창출과 지원정책의 목표와 과제․109 [그림 5-2] 사회공헌형 일자리 공모사업(시범) 추진도․112 [그림 5-3] 2011년 사회공헌형 일자리 공모사업(총 10억) 구성(안)․113 [그림 5-4] 사회공헌형 일자리 공모사업(시범) 추진체계․11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베이비붐세대 일자리 창출과 지원 | 2010.05.01~2010.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