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선진외국 직업분석을 통한 한국의 신규창출가능 직업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reation of New Jobs in Korea through Job Analysis in Advanced Countries
저자
이영대 유홍준
분류정보
기본연구(2010-4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0.12.31
등록일
2010.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구조 분석직업 전망신규창출직업
요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3
  제3절 연구 방법 3
  제4절 연구의 제한 4
제2장 직업구조의 변동과 전망에 대한 이론적 고찰 5
  제1절 직업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1. 전자·정보기술의 발전 6
    2. 세계경제의 통합 7
    3. 여성의 경제참여 확대 8
    4. 유엔미래포럼에서 지적한 요인들 8
  제2절 미래사회의 직업 11
  제3절 21세기의 일: 이중구조의 지속 13
    1. 혁신부문 14
    2. 주변적 부문 15
    3. 직업구성의 변화 16
  제4절 미래직업 고용형태의 변화 17
    1.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약화 18
    2. 불완전고용의 증가 18
    3. 재택근무의 확대 19
  제5절 소결 20
제3장 한국의 직업구조의 변화 23
  제1절 우리나라 고용구조의 변화 23
    1. 대분류 직업별 변화  23
    2. 성별 변화 25
    3. 종사상 지위별 변화  26
    4. 연령별 변화 27
    5. 국민소득수준에 따른 변화 28
  제2절 국제직업분류체계에 따른 우리나라와 외국의 직업구조 30
    1. 국제표준직업분류 체계 30
    2. 한국표준직업분류 체계 32
  제3절 소결 34
제4장 외국의 직업 전망 39
  제1절 호주 39
    1. 개요 39
    2. 산업·고용 트렌드 40
    3. 육성해야 할 산업과 기술 45
  제2절 미국 50
    1. 개요 50
    2. 경제 전망 50
    3. 고용 트렌드 및 시사점 52
  제3절 EU 56
    1. 개요 56
    2. 주요 내용 57
  제4절 소결 73
제5장 우리나라의 성장 가능 직업과 신규창출 가능 직업 77
  제1절 한국에서 예측된 미래의 유망직종 77
    1. 한국직업전망서의 예측 77
    2. 한국노동연구원의 예측 79
    3. 한국 신지식인 보고서의 예측 80
    4. 한국고용정보원의 차세대 직업 55개 80
  제2절 국내외의 신규창출직업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82
    1. 진미석(2002)의 여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유망직업연구 82
    2. 최영순 외(2008)의 해외직업사례를 통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방안 84
    3. 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87
    4. 한상근의 직업전망(2010) 88
    5. 미국의 수자원/녹색직업 관련 신생직업 93
    6. Peterson(2002); Sparling(2006)의 미래 신종직업 93
    7. 박영숙이 제시한 미래 신종직업 97
제6장 국내외 직업분석을 통한 한국의 신규창출직업 추출 99
  제1절 한·미·일 표준직업분류 비교 99
    1. 외국의 직업분류 및 직업구조 99
      가. 미국 100
      나. 일본 101
    2. 비교 대상 및 방법 101
    3. 비교 결과 102
      가. 일본의 특징 102
      나. 미국의 특징 103
      다. 직업 분류체계를 넘어서 사회별로 특별한 직업이 존재할 가능성 111
  제2절 우리나라에 도입 가능한 직업 112
    1. 선택된 직업 112
    2. 직업에 대한 상세화 123
제7장 결론 125
  제1절 요약 125
    1. 연구의 개요 125
    2. 직업구조의 변화와 미래 직업구조 전망 126
    3. 미래 직업구조 전망 126
    4. 향후 창출되거나 더욱 활성화 될 직업 127
      가. 호주 127
      나. 미국 127
      다. 유럽 129
    5. 직업분류를 통한 한국의 신규창출 가능 직업 분석 130
  제2절 결론 133
  제3절 정책제언 136
SUMMARY 137
부록 141
〔부록1〕델파이 조사 설문 143
〔부록2〕신규창출 가능한 직업 상세 153
참고문헌 169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으로 직업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우리나라 직업구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미래사회의 직업 전망에 따른 미래의 변화모습을 전망하여 우리나라와 외국의 직업전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 중에서 신규로 나타날 직업에 관하여 고찰한 다음 우리나라와 일본과 미국의 직업사전을 비교하여 외국에는 존재하지만 국내에는 없는 직업을 추출한 다음 이를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아 국내에 도입 가능한 직업을 추출하고 상세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ew jobs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jobs in various advanced countri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oretical studies on changes in occupational structures and career prospects for the future were envisioned.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occupational structure varies,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due to an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a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fore, considering these advanced countries and their occupational structure to analyze and gauge the future occupational structure of our country is appropriate in the present. 
 The future occupational structure will change to extent that careers will undergo a “job revolution” due to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new technology. The concept of a permanent or lifetime jobs no longer pertains; instead temporary jobs will increase and information technology-based employment systems, such as telecommuting will spread.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carries out a large scale survey every two years to forecast future jobs by looking at the economic growth, industrial production, and employment and career resources over the past 10 years. According to this survey, one out of the four new jobs in the U.S. will be education and health care service sector jobs. In addition, depending on job placement and career management services, related occupations will emerge or expand. Also, depending on the spread of Internet services, Internet publishing and web portal data is expected to emerge. 
Europe regards the growth in dependent population ratio ('08 26% → '30 38% predicted) as an important task and predicts the care, treatment and services for elders to be one of the largest job-creating industries. Jobs in this sector are so called, “white jobs.”
By 2020, depending on economic globalization, virtual services using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ring about more jobs. Jobs from the past will continue to exist but changes in jobs will require something new.
...
<표 3-1> 소득 2만 불 진입 최초년도의 한·미·일 직업구조․29
<표 3-2> 국제표준직업분류 체계 비교․30
<표 3-3> 주요 국가별 직업분포․31
<표 3-4> 제6차 한국표준직업분류 체계․33
<표 3-5> 제6차 한국표준직업분류 세세분류 주요 개정사항․33
<표 4-1> 미래의 주요 직업․70
<표 4-2> 미래를 변화시킬 직업 상위 60개․71
<표 5-1> 여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유망직업연구에 나타난 신생직업․82
<표 5-2> 해외직업사례를 통한 외국에는 존재하나 국내에는 없는 직업․85
<표 5-3>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87
<표 5-4> 최근에 출현한 업종들․89
<표 5-5> 새롭게 출현한 직업들․90
<표 5-6> 미래 신종직업․94
<표 6-1> 한미일 표준직업분류 비교표․106
<표 6-2> 한국에 도입가능하거나 활성화될 가능성이 큰 직업․113
<표 6-3> 한국에 도입가능하거나 활성화될 가능성이 낮은 직업․122
<표 6-4> 선택된 직업에 대한 상세화․123
<그림 4-1> 산업별 고용성장(2005-2009)․41
<그림 4-2> 산업별 중고령자 신규 일자리(2005-2009)․42
<그림 4-3> 산업별 청년 신규 일자리(2005-2009)․42
<그림 4-4> 고용성장 추계(1)․44
<그림 4-5> 고용성장 추계(2)․4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선진외국 직업분석을 통한 한국의 신규창출가능 직업에 관한 연구 2010.08.01~201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