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노동조합의 역할과 과제

The Role and Tasks of Trade Unions for Workers’ Skills Development
저자
김안국 안정화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39) , 이슈페이퍼(2014-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27
등록일
2014.11.14
주제어
직업능력개발, 노동조합, 직업능력개발 의제화, 노동조합의 직업능력개발 참여, skills development, unions, agenda for skills development, the intervention of unions into skills development
Ⅰ. 서론   2
Ⅱ. 이론 및 선행 연구   4
III. 노동조합이 직업능력개발에 미치는 영향   8
IV.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노동조합의 역할과 과제   13
V. 결론   22
참고문헌   25
  노동조합의 직업능력개발에의 참여는 정부실패를 치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별 교섭을 통해 기업특수숙련을 바라는 사업주의 이해와 통용되는 숙련을 바라는 근로자의 이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주도 직업능력개발사업에서 나타나는 훈련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우리나라의 노동조합은 조직률이 낮고 기업별 조직 형태에다가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관심도 작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동조합이 기업의 교육훈련에 영향을 미치는지,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이 노동조합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노동조합이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에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 정부의 정책과제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The intervention of Trade Unions for workers’ skills development may not only cure the government failure but also be the remedy for polarization of income, which comes from polarization of skill. Industry union can mediate the difference of interests, in which the employers want to invest firm-specific skills but employees want to invest commonly available skills like industry or occupational skills. In Korea, union organization rate is very low and unions are organized by company level. Unions are not interested in skills development of employees. In these situation, this article looks into the importancy of the intervention of trade unions for workers’ skills development and how much effect unions have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vided by companies. And this article searches the methods by which unions could participate into employees’ skills development and suggests government policies for the intervention of unions in skills development.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단기수시)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노동조합의 역할과 과제 2014.07.28~2014.10.27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