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장 따돌림의 실태조사와 방지 방안 연구: 제조업을 중심으로

Research into the current state of workplace bullying and the intervention: The story of Manufacturing industry
저자
서유정 김수진 이지은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2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9.30
등록일
2015.01.08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5
제2장 직장 따돌림 선행연구와 국내외 법령 분석_15
제1절 직장 따돌림의 정의	17
제2절 국내외 직장 따돌림의 현황	22
제3절 직장 따돌림의 원인 및 영향	25
제4절 직장 따돌림 관련 국내외 법령	37
제5절 소론	59
제3장 따돌림 측정도구의 개발_61
제1절 선행연구의 따돌림 측정도구	63
제2절 제조업 근로자 면담 분석	72
제3절 설문도구의 개발	81
제4절 소론	87
제4장 양적・질적 분석 결과_89
제1절 설문조사 결과 분석	91
제2절 인사담당자 면담결과 분석	116
제3절 소론	123
제5장 결론 및 제언_127
제1절 분석결과 논의	129
제2절 제언	131
SUMMARY_137
참고문헌_141
부  록_155
1. 따돌림 문항(1차 목록)	157
2. 직장 따돌림 설문지	16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제조업 분야의 따돌림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세부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 적합한 직장 따돌림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다. 
  둘째, 제조업 분야의 따돌림 실태를 분석한다(따돌림 발생 비율, 주요 가해자 등). 
  셋째, 따돌림이 개인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에 미치는 손실 비용을 산출한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따돌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한다. 
 Workplace bullying causes employe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sufferings and the enterprises loss of productivity. The magnitude of the workplace bullying issues has long been recognised and researched in the Scandinavian and Western European countries, which resulted in the large body of literature and anti workplace bullying legislations in these countries. 
  In South Korea, Workplace bullying is receiving significant recognition from the mass media and yet, only a little of the interest has been shared by the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in South Korean context, most of them were conducted at a small scale and were unable to show the picture workplace bullying in South Korea. Where the body of literature is already small, research within the manufacturing sector has been even more scarce despite that manufacturing takes up a large part of South Korean industry and employment. 
  Facing these issue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into the workplace bullying in manufacturing industry. Firstl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examining the research conducted within and outside of South Korea. The anti-workplace bullying legislation of Norway, Belgium, and Canada were also discussed.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legal legislation highlighted the lack of the research into workplace bullying and of the policy support for bullying intervention. ...
<표 1-1> 직장 따돌림 본 조사 대상	11
<표 1-2> 설문 응답자 분포	12
<표 2-1> 직장 따돌림의 선행변수	26
<표 2-2> 직장 따돌림의 부정적 영향	33
<표 2-3> 직장 따돌림으로 인한 손실비용(따돌림 1건 기준)	35
<표 2-4> 벨기에의 기존 법령	44
<표 2-5> 벨기에의 직장 따돌림 관련 법령	46
<표 2-6> 직장 내 성희롱 및 폭언・폭력 방지법	57
<표 3-1> NAQ-R의 문항	64
<표 3-2> LIPT의 문항	66
<표 3-3> Quine의 NHS 설문 문항	69
<표 3-4> KBAQ 문항	70
<표 3-5> 면담자 특성	73
<표 3-6> 따돌림 측정도구의 하위 영역	81
<표 3-7> 설문 문항 구성 	84
<표 3-8> KICQ 문항의 하위 영역	85
<표 4-1> 설문 응답자 특성	93
<표 4-2> KICQ의 내적일치도	94
<표 4-3> NAQ-S와 KICQ, 주관적 따돌림 지수의 기초통계	95
<표 4-4> NAQ-S와 KICQ, 주관적 따돌림의 상관	95
<표 4-5> NAQ-S의 하위 영역과 KICQ의 하위 영역의 상관	96
<표 4-6> KICQ의 요인분석	97
<표 4-7> 생산성과 직업만족도 기초통계	98
<표 4-8> KICQ와 생산성, 직업만족도의 상관	98
<표 4-9>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03
<표 4-10> 가해자의 직급(중복응답)	103
<표 4-11> 가해자 성별	104
<표 4-12> 응답자 성별과 가해자 성별의 교차분석	105
<표 4-13> 직장 따돌림 집단의 직업만족도, 생산성, 유휴시간 차이 분석	106
<표 4-14> 직장 따돌림과 학교 따돌림 집단의 교차분석	108
<표 4-15> 직장 따돌림과 회사 내 직급의 교차분석	109
<표 4-16> 따돌림의 주요 원인	110
<표 4-17> 회사에 따돌림을 호소하지 않는 이유	112
<표 4-18> 응답자가 희망하는 회사의 조치	113
<표 4-19> 따돌림으로 인한 연간 손실 비용 산출(항목별 1인 기준)	115
<표 4-20> 면담자 특성	116
<표 4-21> 직원 소통창구 운영과 신원보호 여부	117
<표 4-22> 기업별 분쟁 조사 및 처리 진행 비용	121
[그림 1-1] 측정도구 개발 및 실태 조사 절차	8
[그림 1-2] 연구 추진 전략 및 절차	13
[그림 2-1] 본 연구의 직장 따돌림 정의	21
[그림 3-1] 근로자 면담 진행 과정	73
[그림 3-2] KICQ 개발 과정	83
[그림 4-1] 집단별 따돌림 피해자의 비율	10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직장 따돌림의 실태조사와 방지 방안 연구: 제조업을 중심으로 2014.04.01~2014.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