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수요 지향적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육성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 Interdisciplinary and Practical Engineer on Demand-driven
저자
강경종 윤여인 정호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5.01.08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목적	5
제3절 연구의 내용	5
제4절 연구의 방법	6
제2장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이론적 고찰_9
제1절 융합기술의 개념 및 정책 동향	11
제2절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의 개념	17
제3절 공학 인재 양성 및 요구 역량	21
제4절 종합 및 시사점	35
제3장 공학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 사업 분석_37
제1절 국내 공학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 사업	39
제2절 국외 공학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 사업	49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59
제4장 융합・실무형 공학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_63
제1절 국내 대학의 융합・실무형 공학교육 프로그램	65
제2절 국외 대학의 융합・실무형 공학교육 프로그램	91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113
제5장 산업체 공학교육 및 프로그램 요구분석_117
제1절 요구분석 개요	119
제2절 융합・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공학교육 실태분석	122
제3절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에 대한 요구	126
제4절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육성 방안	131
제6장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육성 방안_135
제1절 수요 지향적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육성 방향	137
제2절 공학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 방안	139
제3절 공학 인재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 방안	152
SUMMARY_157
참고문헌_161
부  록_165
<부록 1> 설문지(안)	167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공과대학 학생들의 공학, 인문, 사회, 경영, 이학, 예술과의 융합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산업체의 요구조사,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공학 인재의 육성을 위한 정책 사업을 분석한다. 
  셋째, 융합·실무형 공학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한다. 
  넷째, 산업체의 공학교육 및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한다. 
  다섯째, 공학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 방안을 개발한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 interdisciplinary and practical engineer on demand-driven. For achieving the purpose, five contents are conduct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status of government engineering education policy, 2) analyzing the case of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3) analyzing the survey for the industry, 4) propose the direc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improvement for the interdisciplinary and practical engineer on demand-drive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FGI), experts’ council, and seminar were conducted.
<표 2-1> 융합기술 개념 비교	12
<표 2-2>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요구 부합도 국제 순위(IMD)	20
<표 2-3> 21세기에 필요한 핵심 역량	28
<표 2-4> 구글의 인재상	29
<표 2-5> IBM의 인재상	30
<표 2-6> GE의 인재상	31
<표 2-7> 듀폰의 인재상	32
<표 2-8> 지멘스의 인재상	33
<표 2-9> 삼성전자의 인재상	34
<표 2-10> SK그룹의 인재상	35
<표 3-1> 수요 지향적 공학교육혁신 방안 주요 내용	40
<표 3-2>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현황	42
<표 3-3> 공학교육 혁신 주요 성과	43
<표 3-4> 동경대 공대 대학원 개혁 사례	59
<표 3-5> 공학 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 사업 분석 종합	60
<표 4-1>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의 주요 특징	72
<표 4-2>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의 교육과정 	73
<표 4-3>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운영방법	73
<표 4-4>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육과정 구성	75
<표 4-5> 한양대학교 융합공학과 교육과정	81
<표 4-6> 한양대학교 STS(과학기술학)전공 교육과정	82
<표 4-7> Hasso Plattner Institute of Design at Stanford 프로그램	93
<표 4-8> 미국 올린대학 Triangle 프로그램의 양성인력 및 교육목표	98
<표 4-9> 미국 올린대학의 교육과정	99
<표 4-10> MIT Media Lab 개요	100
<표 4-11> MIT Media Lab 운영 예산 및 인원 	101
<표 4-12> MIT Media Lab 학위과정	101
<표 4-13> MIT Media Lab의 연구 그룹	103
<표 4-14> 핀란드 IDBM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105
<표 4-15> 핀란드 IDBM 프로그램의 PDP 수업 특징	107
<표 4-16> 핀란드 IDBM 프로그램의 PDP 프로그램 효과	108
<표 4-17> 핀란드 IDBM 프로그램의 디자인 팩토리(Design Factory) 주요 내용	109
<표 4-18> 일본 Keio University D. School의 미션	110
<표 4-19> Keio University의 D. School 학위과정	112
<표 4-20> 융합・실무형 공학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종합	114
<표 5-1> 산업체 요구조사 내용	119
<표 5-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20
<표 5-3> 응답자 기업의 일반적 특성	121
<표 5-4> 공학교육의 융합・실무형 인재 양성의 장애요인	123
<표 5-5>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의 역량 중요도	126
<표 6-1> 수요 지향적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육성 방안	138
<표 6-2> 융합연계전공 교육과정 구성 방안	139
<표 6-3> 공학분야 융합전공의 교과목(예시)	142
<표 6-4> 융합공학부(과) 교육과정 운영 방안	143
<표 6-5> 융합교과목 운영 방안	144
<표 6-6> 전공 연계 봉사활동 프로그램 일부 예시	149
<표 6-7>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양성을 위한 문제해결능력 향상 프로그램	150
<표 6-8> 공학분야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운영 우수 사례	153
<표 6-9> 산업동향 및 요구분석 방안	155
[그림 2-1] 국가 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의 비전체계	14
[그림 2-2] NBIC 국가 융합기술지도의 원천융합기술 도출과정	15
[그림 2-3] 21세기 융합시대의 인재상 변화	26
[그림 2-4] 21세기 융합시대에 필요한 이공계 필요 역량 범위 확대	27
[그림 3-1] 공학교육혁신지원센터 현황도	41
[그림 3-2] 2단계 공학교육 혁신사업 추진 계획	44
[그림 3-3] 공학교육인증 지원사업 운영 체계	45
[그림 3-4] 산업융합 특성화 인력양성 사업 추진 전략	47
[그림 3-5] IT 융・복합 인력양성센터 지원사업의 비전 및 전략	48
[그림 3-6] 일본 사회변화와 산업계 요구의 인재상	58
[그림 4-1] 연세대학교 융합형 인력의 3대 역량	66
[그림 4-2]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융합 인재상	67
[그림 4-3] 연세대학교 융합학부 융합 인재상	68
[그림 4-4] 연세대학교 공학 계열 융합교육 모델	69
[그림 4-5] 연세대학교 글로벌 융합공학부 교육과정	70
[그림 4-6]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운영 현황	71
[그림 4-7]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통합적 문화 연구트랙 교육과정	76
[그림 4-8] 한동대학교 TECH+형 인재 육성	77
[그림 4-9] 한동대학교 글로벌 에디슨 아카데미(GEA) 학부 조직	78
[그림 4-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업 연계형 장기현장실습(IIP) 개요	84
[그림 4-11] 기업 연계형 장기현장실습(IIP) 운영 프로세스	85
[그림 4-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MSDE 프로그램	87
[그림 4-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M 프로그램	89
[그림 4-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GTM 프로그램	90
[그림 4-15] 미국 Stanford University D. School의 융합 학문 분야	91
[그림 4-16] Bootcamp Bootleg가 제시하는 창의적 디자인사고의 기본 원리	96
[그림 4-17] 미국 올린대학 Triangle 프로그램 운영 현황	97
[그림 4-18] 핀란드 IDBM 프로그램의 융합 학문 분야	106
[그림 4-19] 핀란드 IDBM 프로그램의 PDP 수업 진행 절차	107
[그림 4-20] 일본 Keio University D. School의 융합 인재상	111
[그림 4-21] 일본 Keio University D. School의 리얼 프로젝트 과정	112
[그림 5-1] 공학교육의 융합기술 연구/산업 인력양성의 적절성	122
[그림 5-2] 대학 배출 공학 인력의 융합연구 및 산업발전 유용성	124
[그림 5-3] 공학교육과 산업현장 직무의 차이	125
[그림 5-4] 공학분야 신입사원의 실무적응능력	127
[그림 5-5] 실무에 필요한 인재 확보를 위한 대안	128
[그림 5-6] 해당 산업체의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의 필요성	129
[그림 5-7] 해당 산업체의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확보 정도	130
[그림 5-8] 해당 산업체의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적정 인원	130
[그림 5-9] 공학교육에 대한 요구 사항	131
[그림 5-10] 인재 선발 및 육성 시 중요 역량	132
[그림 6-1] 수요 지향적 융합・실무형 공학 인재 육성 방안의 비전	137
[그림 6-2] 융합전공 모형 예시	141
[그림 6-3] 융합형 캡스톤 디자인 운영 모형	145
[그림 6-4] 캡스톤 디자인 운영 프로세스	146
[그림 6-5] 전공 연계 봉사활동 프로그램 운영 프로세스	148
[그림 6-6]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요소	151
[그림 6-7] 산업체 전문가 활용 체계화 방안	152
[그림 6-8] 계약학과 프로그램 개발	15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수요지향적 융합·실무형 공학인재 육성 방안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