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맞춤형 취업지원」을 통한 직업능력개발 강화 방안

Improvement of the Vocational Training via enhanced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저자
박천수 서유정 김수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31
등록일
2015.01.09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7
제4절 기대 효과와 활용	10
제2장 고용서비스 현황과 맞춤형 취업지원_13
제1절 고용서비스 제도	15
제2절 고용서비스 실태	23
제3절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	47
제4절 소결	60
제3장 고용서비스와 취업역량 평가 해외 동향_63
제1절 미국	66
제2절 호주	77
제3절 독일	93
제4절 캐나다	105
제5절 소결	114
제4장 구직자 조사와 역량 평가_119
제1절 기존의 구직자 유형 분류	121
제2절 구직자 설문조사 개요	130
제3절 조사 결과 분석	137
제4절 소결	166
제5장 정책 제언_171
제1절 구직자 유형 분류와 고용서비스 강화	173
제2절 직업능력개발훈련 강화	181
제3절 유형 분류 성과 축적과 적용 확대	186
SUMMARY_189
참고문헌_193
부  록_205
설문지	207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전반을 재검토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계층 단위가 아니라 구직자 개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분류(구직자 프로파일링) 기준과 근거를 도출한다. 이렇게 도출된 기법이 취업알선 현장에서 활용되어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구직자 분류가 적용되면 취업의욕이나 취업방법 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수강 대상자의 선발이 가능해지는 등 우리나라의 고용안정서비스의 수준이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필요한 구직자를 선별하여 직업훈련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이는 제도 개선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The government has promoted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customized support packages by life cycle and step. Especially, it has strengthened the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service to address the needs of different groups including the ones disadvantaged in the job market in order to achieve the employment rate of 70% until 2017. Accordingly, it has promoted expansion of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 by dividing the target groups of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into youth, older generations, women, working poor, people with handicap and discharged soldiers.
  Current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service has been limited to offering typical job information considered promising to the a certain target group. Consequently, ‘crowding effect’ has occurred where job placements are limited while the number of potential workers prevail and the depression of wages was inevitable along with the competition for a placement.
  Therefore, it has become highly important to select the targets of the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and tailor the service provided for th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to screen those who truly need vocational training and help them into stable employment.
  Coming problem the above issues, the study addresses the state and problems of the current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service, analyses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and drew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a survey on the service users of the Employment Centers, their state of service use and demands are analysed. The result reveals that job seekers could be divided into: targets of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targets who lack the  willingness to work, targets lacking in employment skills, and targets lacking in work skills. ...
<표 1-1> 주요 선행연구 결과(국내)	8
<표 2-1>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구조	21
<표 2-2> 우리나라 취업알선서비스 전달체계	26
<표 2-3> 워크넷 구인・구직 및 취업 동향(2008~2013년)	28
<표 2-4> 고용안정사업(2014년 현재)	36
<표 2-5>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장애인 채용 이유(2010년)	38
<표 2-6> 직업능력개발훈련 공급 체계	44
<표 2-7> 맞춤형 취업지원 사업	50
<표 2-8> 취업성공패키지 참가자 취업역량 평가(사전진단) 기준 및 배점	54
<표 2-9> 취업역량 평가 결과별 등급 및 서비스 제공 기관	55
<표 2-10> 희망리본사업의 자립역량 평가항목 및 배점	55
<표 2-11> 희망리본사업의 자립역량 진단표	57
<표 3-1> 고용・훈련 관련 법・제도와 고용서비스 역할	66
<표 3-2> 고용서비스 3단계	67
<표 3-3> 두 지역 원스톱센터의 비교  	68
<표 3-4> WPRS의 독립변수	72
<표 3-5> 미국 실업급여 수혜자의 WPRS 추이	74
<표 3-6> 프로파일링에 따라 연계된 고용서비스 추이	76
<표 3-7> 호주의 JSCI 세부 항목	84
<표 3-8> 구직자 유형별 제공되는 서비스	86
<표 3-9> 구직자의 태도 측면 분류	89
<표 3-10> 구직자 프로파일링 	97
<표 4-1> 구직자 유형별 특성과 취업지원서비스	121
<표 4-2> 구직자 선호 서비스에 따른 유형별 특성	122
<표 4-3> 구직자 유형별 특성	124
<표 4-4> 고용센터의 실업급여 수급자 분류 및 서비스 유형 	125
<표 4-5> 구직자 유형 분류 기준	127
<표 4-6> 설문 문항 구성	130
<표 4-7> 응답자 중 취업성공패키지 고려 대상	135
<표 4-8> 구인정보 검색 	137
<표 4-9> 취업알선 상담 횟수	137
<표 4-10> 입사원서 제출 횟수 	138
<표 4-11> 구인업체로부터 면접 제안을 받은 횟수	138
<표 4-12> 면접 참여 횟수 	138
<표 4-13> 일자리를 제안 받은 횟수	139
<표 4-14> 응답자의 학력・자격 수준에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경우	139
<표 4-15> 구직자의 직업의식	140
<표 4-16> 구직자의 취업역량	141
<표 4-17> 구직자의 직업능력개발 필요	142
<표 4-18> 설문 문항의 정리	143
<표 4-19> 문항의 내적 일치도 결과	144
<표 4-20> 구직자의 인성검사 문항 내적 일치도 	144
<표 4-21> 요인분석 결과	146
<표 4-22> 요인 간의 상관계수 	147
<표 4-23> 요인별 일자리의 질과의 상관관계	148
<표 4-24> 요인별 구직활동과의 상관관계 	149
<표 4-25> 구직자의 특성변수 개요	150
<표 4-26> 취업성공패키지 고려 대상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52
<표 4-27> 취업의욕의 회귀분석 분산분석 결과	154
<표 4-28> 취업의욕의 회귀분석 결과	154
<표 4-29> 취업역량 I의 회귀분석 분산분석 결과	156
<표 4-30> 취업역량 I의 회귀분석 결과	157
<표 4-31> 취업역량 II의 회귀분석 분산분석 결과 	158
<표 4-32> 취업역량 II의 회귀분석 결과	158
<표 4-33> 직무역량의 회귀분석 분산분석 결과	160
<표 4-34> 직무역량의 회귀분석 결과	161
<표 4-35> 구직자 유형 분류별 특성	162
[그림 2-1] 입직 단계 고용서비스 관련 법률	17
[그림 2-2] 실업급여사업 지원 실적	32
[그림 2-3] 고용안정사업 지원 실적 	37
[그림 2-4]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사업 체계	41
[그림 2-5] 직업능력개발 추진 실적	43
[그림 3-1] 미국의 3단계 원스톱서비스	69
[그림 3-2] 호주의 고용서비스 구조	79
[그림 3-3] 호주의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80
[그림 3-4] 구직자의 태도 세분화 	88
[그림 3-5] 취약계층을 위한 통합구직경로 지원모델 	90
[그림 3-6] SOMS의 운영 구조	109
[그림 3-7] SOMS의 개인정보 입력창 	110
[그림 4-1] 취업의 기본 요소와 구직자 유형 	120
[그림 4-2] 청년층 구직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류 흐름도	123
[그림 4-3] 설문조사지 구성 과정 	129
[그림 4-4] 응답자 연령별 최종 학력 분포	132
[그림 4-5] 연령대별 응답자의 경험한 직장 수	133
[그림 4-6] 성별・연령대별 응답자의 마지막 직장 근속기간과 구직기간	133
[그림 4-7] 연령대별 응답자의 수용 가능한 고용형태	134
[그림 5-1] 구직자 분류 근거 및 제공 서비스 흐름도 	17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맞춤형 취업지원」을 통한 직업능력개발 강화 방안 2014.01.01~201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