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NCS를 활용한 훈련과정 개발 지원 및 심사·평가 연계방안

The schemes on training development support and assessment & evaluation linkages using the NCS
저자
김수원 나현미 김가연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31
등록일
2015.01.15
요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5
제3절 연구의 방법	6
제4절 연구의 범위	10
제2장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및 심사・평가 연계 관련 제도와 체계 고찰_11
제1절 NCS의 구성 및 특징, 관련 법규	13
제2절 NCS 기반 학습모듈/훈련기준의 구성 및 특징	33
제3절 NCS 기반 훈련과정의 영역 및 구성	38
제4절 직업훈련 심사・평가의 내용 및 방법	44
제5절 시사점과 함의	61
제3장 국내외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및 심사・평가 연계 사례 분석_63
제1절 국내 사례	65
제2절 해외 사례	81
제3절 시사점과 함의	119
제4장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지원 및 심사・평가 연계에 대한 인식과 요구 분석_125
제1절 설문조사 및 인터뷰 조사의 개요	127
제2절 훈련기관 대상 설문조사 결과	129
제3절 훈련기관 관계자 인터뷰 조사 결과	159
제4절 관련 전문가 인터뷰 조사 결과	165
제5절 시사점과 함의	174
제5장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지원 및 심사・평가 연계방안_179
제1절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지원방안	181
제2절 NCS의 훈련과정 심사 연계방안	189
제3절 NCS의 훈련기관 평가 연계방안	197
제6장 결론 및 정책방향_203
제1절 결론	205
제2절 향후 정책방향	207
SUMMARY_211
참고문헌_217
부  록_221
1. 훈련기관 관계자 인터뷰 조사지	223
2. 관련 전문가 인터뷰 조사지	225
3. 훈련기관 대상 설문조사지	227
4. 현장 타당성 조사 체크리스트	241
  본 연구에서는 NCS를 활용한 훈련과정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훈련과정 개발 지원을 위한 방안과 더불어 NCS 기반 훈련과정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훈련의 품질 유지 및 제고를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평가 및 훈련과정 심사에 연계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enabled the NCS-based training courses, with plans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support so as to develop a training course us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actively conducted. Aims to derive a plan to link the skills development training institutions evaluation and training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screening for such training.
  Looking at the main NCS-based training and development support, and review the evaluation linkage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termined in the NCS-based training course development support needed to develop their own training institutions teaching the test system and recognition system. And the limited time that is deemed necessary to support the actual cost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to ensure tr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this is deemed necessary in the provision of corporate and institutional apparatus for providing equipment and training institutions free of charge subject.
  Second, in conjunction with the NCS training for screening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enter-based training course on the NCS since 2016 that has developed over the entire job judging the NCS and completed training criteria based learning modules and training materials development.
  Third, for evaluation of the linkage with training facility NCS is preferably set as a separate item in the evalu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ssess whether NCS applied since 2016 with the development and NCS are completed throughout the training standards and job-based learning modules and training materials development.
<표 2-1>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류체계	17
<표 2-2> NCS 능력단위 설명	18
<표 2-3> NCS 수준체계	19
<표 2-4> 평생경력개발 경로의 활용 대상	21 
<표 2-5> 직무기술서의 구성요소	22
<표 2-6> 채용・배치・승진 체크리스트의 구성요소	23
<표 2-7> 자가진단도구의 구성요소	24
<표 2-8> 훈련과정/과목 단독 편성(예시 1)	25
<표 2-9> 훈련과정/과목 통합 편성(예시 2)	25
<표 2-10> 출제기준(시안) 조합 편성(예시)	26
<표 2-11> NCS 학습모듈 개발 현황	36
<표 2-12> NCS 기반 훈련기준 개발 현황	38
<표 2-13> 훈련과정 구성요소별 세부내용	39
<표 2-14> 훈련과목 Profile의 구성요소 및 세부내용	43
<표 2-15>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의 심사방법과 주요 심사내용	46
<표 2-16> 사전검토(지방관서 실시) 기준	47
<표 2-17> 심사대행기관 실시 심사의 심사기준	49
<표 2-18> NCS 기반 훈련과정 신청 시 제시방법	50
<표 2-19>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훈련기관 특성에 따른 심사영역	52
<표 2-20>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훈련성과 심사기준	53
<표 2-21>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훈련과정 적정성 심사기준	54
<표 2-22> NCS 기반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신청 가능 대상직종	56
<표 2-23>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역량평가의 평가 영역	58
<표 2-24>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역량평가의 평가기준 및 배점	59
<표 3-1> 한국폴리텍Ⅱ대학 인천캠퍼스의 NCS 기반 과정 수 및 인원	67
<표 3-2> 광주공업고등학교의 NCS 활용 현황	79
<표 3-3>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NCS 활용 현황	81
<표 3-4> 자격수여기관 승인 기준 및 지표	114
<표 3-5> 자격수여기관의 주요 업무	117
<표 3-6> 자격수여기관 관리를 위한 일반조건	118
<표 3-7> 자격수여기관 관리를 위한 인증조건	119
<표 3-8> 자격수여기관 관리를 위한 평가조건	120
<표 3-9> 국내 NCS 활용 사례 비교	123
<표 3-10> 호주와 영국의 사례 비교	126
<표 4-1> 훈련기관의 일반적 사항(1)	132
<표 4-2> 훈련기관의 일반적 사항(2)	133
<표 4-3>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경험	134
<표 4-4>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건수	134
<표 4-5> 훈련종류별・훈련대상별・훈련직종별 개발 건수	135
<표 4-6>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주체(담당자)	136
<표 4-7> 전체 훈련과정 중 NCS 기반 훈련과정의 비율	137
<표 4-8> 훈련기관 자체 지역 산업체 요구조사 실시 및 NCS 반영 여부	138
<표 4-9> NCS 기반 훈련과정 시 애로사항(복수응답)	139
<표 4-10> 향후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계획	139
<표 4-11> 향후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계획 건수	140
<표 4-12>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계획이 없는 이유	141
<표 4-13> NCS 능력단위, NCS 활용패키지, NCS 학습모듈에 대한 인식정도	142
<표 4-14> NCS 능력단위 세부내용의 훈련과정 개발・운영에의 적용에 대한 적절정도	144
<표 4-15> NCS 활용패키지 세부내용의 훈련과정 개발・운영에의 적용에 대한 적절정도	146
<표 4-16> NCS 학습모듈 세부내용의 훈련과정 개발・운영에의 적용에 대한 적절정도	147
<표 4-17> NCS의 능력단위, 활용패키지, 학습모듈의 훈련과정 개발에의 활용 비중정도	149
<표 4-18> NCS의 능력단위, 활용패키지, 학습모듈의 훈련과정 개발 도움정도	150
<표 4-19>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활용에서 나타난 만족도	151
<표 4-20>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활용을 통해 나타난 훈련성과	152
<표 4-21>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활용을 통해 나타난 성과	152
<표 4-22> NCS의 훈련과정 심사와 연계하여 반영 필요부문	153
<표 4-23> NCS의 훈련기관 평가와 연계하여 반영 필요부문	155
<표 4-24> 심사・평가와 연계하여 NCS 반영 여부 판단 기준	156
<표 4-25> 심사・평가와 연계하여 NCS의 적절한 반영 비율	156
<표 4-26> 심사・평가와 연계하여 우선 지원이 필요한 부분	157
<표 4-27> 교・강사 연수의 적절한 방안(방법, 방식, 시기)	158
<표 4-28> 맞춤형 컨설팅의 적절한 방안(대상, 방식, 시기)	159
<표 4-29>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활용 관련 문제점(복수응답)	160
<표 4-30>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활용 관련 개선이 필요한 사항(복수응답)	161
<표 5-1> NCS 기반 훈련과정 개발 지원 연수 및 설명회의 단계별 주요내용	189
<표 5-2> NCS 기반 훈련과정 도입에 따른 교원의 역할	193
<표 5-3> 산업체 및 훈련기관 측면의 산학협력 지원 내용	194
<표 5-4> 직업능력개발계좌제 및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의 훈련과정 심사의 심사기준 개편(안)	197
<표 5-5> 훈련기관 평가의 평가기준(집체훈련) 개편(안)	205
<표 6-1> 훈련과정 개발 지원 및 심사・평가 연계 로드맵	216
[그림 1-1] 연구의 접근방법	7
[그림 2-1]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기능	14
[그림 2-2] NCS 개발 및 활용 체계	15
[그림 2-3] NCS 분류체계도(예시)	16
[그림 2-4] NCS 능력단위의 구성	18
[그림 2-5] NCS 학습모듈의 개념도	33
[그림 2-6] NCS 학습모듈의 구성체계	35
[그림 2-7] NCS 기반 훈련기준의 구성체계	37
[그림 2-8] 훈련과정 설계 단계별 주요내용	42
[그림 3-1] 국내 우수사례 분석틀	66
[그림 3-2] (주)에이원의 NCS 활용 사례	72
[그림 3-3] (주)에이원의 NCS 활용내용	73
[그림 3-4] 경북전문대학교의 NCS 기반 교양-전공교육 연계체계	75
[그림 3-5] 경북전문대학교의 NCS 기반 교양교육체계(생애능력체계)	76
[그림 3-6] 수성대학교의 NCS 기반 교육과정내용	78
[그림 3-7] 광주공업고등학교의 NCS 활용 예 1(정밀기계과)	80
[그림 3-8]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NCS 활용 경력개발경로 모형(안)	82
[그림 3-9] 국외 우수사례 분석틀	83
[그림 3-10] ASQA의 주요 역할	85
[그림 3-11] RTO 관광기관 비율 및 ASQA 기관 구성	87
[그림 3-12] 3가지 기준 간의 관계	91
[그림 3-13] RTO 인증 절차	93
[그림 3-14] 영국의 일반교육과 직업교육훈련/자격제도 운영체계	108
[그림 3-15] 영국의 자격제도 운영체계	109
[그림 3-16] 자격수여기관 승인 절차	113
[그림 6-1] NCS의 훈련 심사・평가 연계체계	21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NCS를 활용한 훈련과정 개발 지원 및 심사·평가 연계 방안 2014.01.01~201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