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분석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방안 연구
Study on Enhancing Competency for Employ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 저자
- 김현수 이용순 김민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3-1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0.31
- 등록일
- 2014.02.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7 제2장 관련 이론 및 정책 분석_13 제1절 북한이탈주민 지원 제도 15 제2절 경력경로 관련 이론 37 제3절 취업역량 55 제4절 생애사 연구 81 제5절 북한이탈주민의 경력경로 및 취업역량 91 제3장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분석_111 제1절 사례의 선정 113 제2절 생애사 분석 122 제3절 경력경로 및 경력유형 분석 157 제4절 소결 197 제4장 북한이탈주민 취업역량 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_201 제1절 조사 도구 및 조사 방법 203 제2절 북한이탈주민 근로자 채용 기업체 인식 분석 208 제3절 북한이탈주민 조력자 인식 분석 225 제4절 소결 240 제5장 북한이탈주민 취업역량 제고 방안_245 제1절 국가 247 제2절 산업체 259 제3절 북한이탈주민 265 제4절 직업교육훈련기관 271 제5절 주체별・경력 발달 단계별 취업역량 강화 방안 274 제6장 요약 및 정책 제언_281 제1절 요약 283 제2절 정책 제언 290 SUMMARY_295 참고문헌_303 부 록_313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경력경로를 분석하고, 구직과 직장 적응의 성공·실패 요인을 추출하여 이들의 경력개발 요구와 산업계의 필요에 적합한 취업역량을 지원하는 국가·산업·개인 수준의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사 분석을 통한 경력경로 및 경력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경력개발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추출한다. 셋째, 성공을 강화하고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모색한다
This study analyzes career path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extracts success and failure factors for job search and adaptation. Policy measures are suggested to support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abil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ories on career path, career types, career development, and previous research related competencies develop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were analyzed. Second, employment-related laws and policies, employment situation and trends were examined. Third, career paths and career types were analyzed through life history analysis. Fourth, competency level related to employ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was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of employers and helpers. Finally, the strengthening measures for employ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were propos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adopted for the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 survey, qualitative life history analysis, experts consultations and seminars.
<표 2-1> 정착 지원 프로세스 및 세부 내용 22 <표 2-2>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제도 및 내용 24 <표 2-3> 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 제도 27 <표 2-4> ’13년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 프로그램 세출예산안 28 <표 2-5> 북한이탈주민 취업역량 관련 사업(예) 29 <표 2-6> 훈련 과정과 취업 시 지원금 30 <표 2-7> 자유시민대학의 기초적응교육 프로그램 33 <표 2-8> 자유시민대학의 심화교육 프로그램 33 <표 2-9> 민간단체의 북한이탈주민 지원 프로그램 35 <표 2-10> 경력경로의 연구 방법 39 <표 2-11> 경력경로 관련 선행 연구 43 <표 2-12> 경력유형의 종류 47 <표 2-13> 경력개발 이론 51 <표 2-14> Super의 생애단계별 발달 과업 53 <표 2-15> 취업역량 관련 선행 연구 59 <표 2-16> 이민자 대상 연구 분야별 선행 연구 분석 62 <표 2-17> 동독이탈주민 정착 관련 주요 법률 및 지원 내용 68 <표 2-18> 동독이탈주민의 취업 지원 내용 70 <표 2-19> 독일의 해외 이주민 대상 취업 지원 내용 79 <표 2-20> 북한이탈주민 경제 활동 상태 94 <표 2-21> 북한이탈주민 채용 현황 99 <표 2-22> 북한이탈주민 일자리 발굴 및 지원 방안 종합 104 <표 2-23> 북한이탈주민의 근속 요인 106 <표 3-1>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114 <표 3-2> 북한이탈주민 재북 직업별 현황 115 <표 3-3> 생애사 면담 사례의 눈덩이 표집 117 <표 3-4> 생애사 면담 일정 119 <표 3-5> 북한이탈주민 면담 대상자의 특성 121 <표 3-6>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이동경로 159 <표 3-7> 북한이탈주민의 현재 직업선택경로 167 <표 3-8> 경력연계형 경력유형 170 <표 3-9> 경력개척형 경력유형 173 <표 3-10> 경력단절형 경력유형 175 <표 3-11> 면담 대상 북한이탈주민의 경력유형 177 <표 4-1> 북한이탈주민 인력의 기업체 활용 실태 설문 조사 개요 204 <표 4-2> 북한이탈주민 조력자 대상 인식 설문 조사 개요 205 <표 4-3> 북한이탈주민 채용 기업체의 고용주 및 동료 대상 설문 문항 206 <표 4-4> 북한이탈주민 조력자 대상 설문 문항 207 <표 4-5> 북한이탈주민 채용 기업체 일반 현황 209 <표 4-6> 북한이탈주민 채용 정보 취득 경로 210 <표 4-7> 북한이탈주민 근로자의 평균 임금 수준 211 <표 4-8> 채용 시 북한(또는 제3국)에서의 직업 경험 고려 정도 212 <표 4-9> 직무배치 전 교육훈련 실시 여부 212 <표 4-10> 직무배치 전 교육훈련 기간 213 <표 4-11> 북한이탈주민 대상 교육훈련 내용 213 <표 4-12> 교육훈련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 213 <표 4-13> 북한이탈주민 대상 필요 직업교육 내용 214 <표 4-14> 북한이탈주민 근로자의 승진 시 고려 사항(중복 응답) 215 <표 4-15> 효과적인 경력개발 방안 215 <표 4-16> 기업체 관계자가 바라본 북한이탈주민 근로자의 직장 내 애로점 216 <표 4-17> 북한이탈주민 근로자의 이직 사유(중복 응답) 217 <표 4-18> 근속 유도를 위한 회사의 조치 217 <표 4-19> 직장생활 정착을 위한 효과적 방안 218 <표 4-20> 남한 근로자 대비 북한이탈주민의 부족 역량(종합, 중복 응답) 219 <표 4-21> 남한 근로자 대비 북한이탈주민의 부족 역량(상세, 중복 응답) 220 <표 4-22> 북한이탈주민 고용 유지에 영향 변수의 정의 및 측정 기준 221 <표 4-23> 기업체의 북한이탈주민 채용 만족도 분석 결과 222 <표 4-24> 기업체의 북한이탈주민 임금 분석 결과 223 <표 4-25> 기업체의 북한이탈주민 고용 영향 분석 결과 224 <표 4-26> 현 직장에 대한 정보 취득 경로(취업 보호담당관 응답) 225 <표 4-27> 북한이탈주민 취업 유망 직군(한국표준직업분류) 226 <표 4-28> 북한이탈주민 취업 유망 직종(한국고용직업분류표) 227 <표 4-29> 북한이탈주민 취업 지도 시에 고려하는 중요 요인 228 <표 4-30> 취업 지도 시 북한(제3국)에서의 경력 반영 가능성 고려 여부 228 <표 4-31> 북한(제3국)에서의 경력 반영이 어려운 이유 229 <표 4-32> 북한이탈주민이 괜찮은 일자리 확보가 어려운 이유 230 <표 4-33> 고용단계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점 230 <표 4-34> 취업 후 직장 내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점 231 <표 4-35> 남한 직원과의 채용 과정에서 차별 가능성 232 <표 4-36> 임금, 교육훈련, 승진 부문의 별도 관리 가능성 232 <표 4-37> 북한이탈주민의 이직 사유 233 <표 4-38> 안정적인 직장생활 정착을 위한 방안 233 <표 4-39> 북한이탈주민 대상 직업교육훈련과 산업체요구 간 차이 여부 234 <표 4-40> 필요 직업교육훈련 내용 235 <표 4-41> 직업교육훈련 과정 이수 시 장애 요인 235 <표 4-42> 경력개발을 위한 필요 사항 236 <표 4-43> 북한이탈주민의 경력개발 장애 요인 237 <표 4-44> 경력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정부 취업지원금 제도 237 <표 4-45> 정부 취업지원금 제도의 효과성 여부 238 <표 4-46> 남한 근로자 대비 부족한 취업역량 238 <표 4-47> 남한 주민 대비 북한이탈주민의 부족한 취업역량(상세) 239 <표 5-1> 주체별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역량 개발 내용 276 [그림 1-1] 주요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 10 [그림 2-1] 북한이탈주민 취득 자격에 대한 국가기술자격 검정 면제 절차 21 [그림 2-2] 9개의 아이콘으로 나타내는 경력유형 49 [그림 2-3] 자서전적 내러티브 인터뷰 진행 절차 85 [그림 2-4] 생애사 연구 내용상 형식적 분류 기준표 88 [그림 2-5] 생애사 데이터 분석 과정 90 [그림 2-6] 직업훈련 분야별 취업 도움 정도 95 [그림 2-7] 자격증 분야별 취업 도움 정도 96 [그림 2-8] 북한이탈주민의 경제 활동 참가율 97 [그림 3-1]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114 [그림 3-2]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 115 [그림 3-3]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유형(경력연계형) 169 [그림 3-4]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유형(경력개척형: 창업) 172 [그림 3-5]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유형(경력개척형: 취업) 174 [그림 3-6]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유형(경력단절형: 취업) 176 [그림 5-1] 주체별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역량 강화 방안 275 [그림 5-2] 경력 발달 단계별 취업역량 강화 방안 27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분석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방안 연구 | 2013.01.01~2013.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