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간 · 전략산업직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효율적 통합운영방안
The schemes on effectiv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 & strategy industry job training and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 저자
- 김수원 김가연 이명흔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3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1.10
- 등록일
- 2015.01.22
요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4 제3절 연구의 방법 5 제4절 연구의 범위 6 제2장 실업자 직업훈련의 의의와 최근 동향_9 제1절 실업자 직업훈련의 의의 11 제2절 실업자 직업훈련의 목적 및 기능 13 제3절 최근 실업자 직업훈련의 변화 17 제4절 시사점과 함의 21 제3장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운영 현황_23 제1절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의 현황과 문제점 25 제2절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현황과 문제점 46 제3절 훈련사업 통합에 대한 해외 선진사례 63 제4절 시사점과 함의 68 제4장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통합에 대한 전문가 의견 분석_73 제1절 델파이조사의 개요 75 제2절 델파이조사 결과 분석 76 제3절 시사점과 함의 93 제5장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통합 운영방안_97 제1절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유사점과 차이점 99 제2절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 운영의 필요성과 장・단점 102 제3절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 운영방안 105 제4절 통합 운영에 따른 적정 훈련비용 지급방안 113 제6장 결론 및 정책방향_117 제1절 결론 119 제2절 정책방향 120 SUMMARY_123 부 록_127 1. 1차 델파이 조사지 129 2. 2차 델파이 조사지 133 참고문헌_165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원에서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원활한 훈련서비스 공급과 훈련과정 관리의 효율화 도모는 물론 훈련성과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aim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integrate and operate the national infrastructure strategy industry job training and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present study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plan efficiency of seamless service delivery and training management training course in skills development training The purpose of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 strategy industry job training(abbreviation ‘national infrastructure & strategy training’) and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abbreviation ‘account'') will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training(employment, maintain employment rate, etc.) and to conduct training to improve the existing problems and meet the needs of the consumer skills training development plan and improve the quality of industrial training and vocational training the stay focused to improve. ...
<표 2-1> 실업자(실업대책) 직업훈련 현황(1998~2013년) 20 <표 3-1>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의 대상 직종 28 <표 3-2>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훈련기관 특성에 따른 심사영역 34 <표 3-3>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훈련성과 심사기준 35 <표 3-4>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훈련과정 적정성 심사기준 37 <표 3-5> NCS 기반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신청 가능 대상직종 39 <표 3-6>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역량 평가의 평가 영역 41 <표 3-7>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역량평가의 평가 기준 및 배점 42 <표 3-8> 2013년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참여자의 성별・연령별・학력별 현황 44 <표 3-9> 2013년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참여자의 훈련직종별 현황 45 <표 3-10>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훈련기관의 훈련성과 46 <표 3-11>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의 심사방법과 주요 심사내용 53 <표 3-12> 사전검토(지방관서 실시) 기준 54 <표 3-13> 심사대행기관 실시 심사의 심사기준 56 <표 3-14> NCS 기반 훈련과정 신청 시 제시방법 58 <표 3-15> 2013년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참여자의 성별・연령별・학력별 현황 60 <표 3-16> 2013년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참여자의 훈련직종별 현황 61 <표 3-17> 실업자 내일배움카드제 훈련기관의 훈련성과 62 <표 3-18>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일반적 특성 비교 70 <표 4-1>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유사점 77 <표 4-2>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차이점 78 <표 4-3>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의 장점 79 <표 4-4>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의 단점 80 <표 4-5>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장점 81 <표 4-6>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단점 82 <표 4-7>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의 문제점(개선사항) 83 <표 4-8>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문제점(개선사항) 84 <표 4-9>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에 대한 의견 85 <표 4-10>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이 필요한 이유 86 <표 4-11>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이 불필요한 이유 87 <표 4-12>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제도 운영상의 통합 가능 내용 88 <표 4-13>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훈련과정 심사상의 통합 가능 내용 89 <표 4-14>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 운영에 따른 적정 훈련비용 지급방안 90 <표 4-15>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 운영목적에 대한 초점 91 <표 4-16>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 운영시 고려해야 할 사항 92 <표 5-1> 훈련비용 항목과 산정방법(예시) 114 [그림 3-1] 국가기간・전략산업훈련 운영 방법 및 절차 27 [그림 3-2]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 운영 방법 및 절차 48 [그림 5-1] 국가기간・전략훈련과 실업자 계좌제의 통합 운영모형 10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효율적 통합운영방안 | 2014.07.11~2014.11.1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