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신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 교육 혁신방안
The Innovation of Science·Technical Education for Strengthening Nation's New Competitiveness
- 저자
- 장창원 신도철 장병열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0.31
- 등록일
-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과학기술인재정책인력양성
요 약 제1장 서 론_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2. 배경 사례 4 3. 본 연구의 목적 9 제2장 과학 기술 교육의 인식 현황 11 1. 과학 기술 교육 인식현황과 개선과제 13 2. 과학 기술 교육 현황 16 3. R&D 성과 및 확산 현황 32 제3장 이론적인 배경 37 1. 신 경쟁력 정의 39 2. 과학 기술과 연계된 경제성장 실증연구 55 3. R&D 성과 확산과 과학 기술 인재양성 연계 61 4. R&D 확산 정책 및 제도 이론과 현황 64 제4장 과학·기술 인력수급 현황 및 전망(2010~2020)_69 1. 과학·기술 인력의 공급 전망 ① 71 2. 과학·기술 인력의 공급 전망 ② 77 3. 과학·기술 인력의 수요 전망 89 4. 과학·기술 인력 수급 전망 124 제5장 선진국의 과학·기술 인재정책 혁신 사례 및 시사점_139 1. 미국: R&D 확산을 위한 정책 및 제도 141 2. 영국: R&D 성과와 과학·기술 연계 161 3. 일본: 과학·기술 정책의 방향과 전략 178 4. 시사점 189 제6장 국가 신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제점과 정책과제_195 1. 문제점 197 2. 정책과제 205 제7장 요약 및 결론_231 1. 요약 233 2. 결론 252 SUMMARY_255 참고문헌_259
본 연구는 향후 10년간 이러한 과학·기술 교육 부분의 신 경쟁력 구축이 필연적인 상황에서 우리 경제가 지향하게 될 과학·공학·기술·수학 교육의 중요성 인식과 확산을 위한 대응으로 과학·기술 교육의 변화 속도를 받아들이고, 이를 능가하는 인재육성정책 및 제도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음을 밝힌다. 왜냐하면, 우리 사회에서 1970년대까지는 교육혁명의 속도가 기술발전의 속도를 앞질렀기 때문에 압축적 경제성장의 기반으로 빈부격차를 줄일 수 있었고, 신규 대졸 청년층의 경쟁력 제고로 취업률을 엄청나게 높였던 사실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inforce human development policy (talent training policy) and system in order to accept the situation of new competitiveness of power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ical education. As the speed of education reform surpassed the speed of technical development since the 1970s in our Korean society, Korea was able to not only decreas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ut also increased the college graduate employment r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and make efforts on spreading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science, engineering, technology, and math. ...
<표 2-1> PISA 2009 국제 비교 결과 17 <표 2-2> TIMSS 2007년 수학 성취도 결과 19 <표 2-3> IMSS 2007 과학 성취도 결과 19 <표 2-4> 전국 20개 대학 이과 신입생의 중․고 수학 성적 21 <표 2-5> 전국 20개 대학 이과 신입생의 중․고 수학 성적 대학별 비교 22 <표 2-6> 전국 20개 대학 이과 신입생의 중․고 수학 성적 등급별 비교 23 <표 2-7> 전국 20개 대학 이과 신입생의 중․고 수학 성적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의 비교 23 <표 2-8>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물리Ⅱ 과목을 이수하는 학생 수 24 <표 2-9> 2005~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응시자 수 25 <표 2-10> 국가경쟁력 순위 -사회 인프라 부문- (2010년) 26 <표 2-11> 국가경쟁력 순위 국제 비교 -교육분야- (2010년) 27 <표 2-12> 우리나라의 교육 경쟁력 연도별 추이 28 <표 2-13> 연도별 EAC/CAC/TAC 인증평가 대학 및 프로그램 현황 29 <표 2-14> 국가별 SCI 논문 발표 수 현황(2008년) 30 <표 2-15> 국내 대학교수 1인당 SCI 논문 발표 현황(2007년) 31 <표 3-1> 우리나라 생산요소별 경제성장 기여도 추정 59 <표 4-1> 전공 중분류별 해당학과 73 <표 4-2> 학력별 졸업생 전망 80 <표 4-3> 과학기술 관련학과의 범위 81 <표 4-4> 과학기술인력 신규 공급 전망 83 <표 4-5> 전문대학의 과학기술 인력 신규 공급 전망 84 <표 4-6> 대학의 과학기술 인력 신규 공급 전망 85 <표 4-7> 대학원(석사)의 과학기술 인력 신규 공급 전망 87 <표 4-8> 대학원(박사)의 과학기술인력 신규 공급 전망 88 <표 4-9> 표준직업분류에 의한 과학기술 관련 직종(직업) 92 <표 4-10> 주요국별 취업자 1인당 연간 노동시간 97 <표 4-11> 주요국별 국내 총투자율 97 <표 4-12> 잠재성장률 전망을 위한 생산요소에 대한 전제 99 <표 4-13> 성장요인과 잠재성장 전망 101 <표 4-14> 산업생산구조의 장기변화 추이: 대분류 기준 104 <표 4-15> 취업구조의 장기변화 추이: 대분류 기준 106 <표 4-16>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118 <표 4-17>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120 <표 4-18>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122 <표 4-19>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124 <표 4-20> 전체 과학기술 인력의 전공별 수요 전망 126 <표 4-21> 과학기술 인력의 학력별․전공별 수요 전망(전문학사, 학사) 129 <표 4-22> 과학기술 인력의 학력별․전공별 수요 전망(석사, 박사) 130 <표 4-23> 전체 과학기술 인력의 수급차 전망(2011~2020) 132 <표 4-24> 과학기술 인력 학력별(전문학사․학사) 수급차 전망(2008~2018) 135 <표 4-25> 과학기술 인력 학력별(석사․박사) 수급차 전망(2008~2018) 137 <표 5-1> 새로운 혁신의 형태와 혁신 내용 145 <표 5-2> 국가, 지방, 지역의 전달 수준 173 <표 5-3> 서비스 혁신 인재 육성 추진 프로그램의 프로젝트 개요 188 [그림 2-1] IBM의 ‘T’ 자형 인재 34 [그림 3-1] 한국의 1인당 경제성장을 위한 각 생산 요소의 추정치 기여율 63 [그림 4-1] 신규인력 공급 전망 절차 78 [그림 4-2] 전공별 졸업생 수 전망 절차 78 [그림 4-3]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 흐름도 94 [그림 4-4] 실제GDP와 잠재GDP 전망 결과 102 [그림 4-5] 인력수급 전망 흐름도 112 [그림 4-6] 인력수급차 전망 도출 방법 113 [그림 4-7] 직능원 인력수급 총량 및 신규인력 전망 모형 115 [그림 5-1] 미국 전문 이학 석사 과정 개설 대학 분포 16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국가 신 경쟁력제고를 위한 과학·기술교육 혁신 방안 | 2011.01.01~201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